뉴스센터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플래시 메모리 한계 넘는 ‘강유전체 메모리’ 나왔다[강유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개발]초지능·초연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고집적·고성능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낸드 플래시는 전하 트랩 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2021-01-14READ MORE 대학소식 창의IT 김철홍 교수, ‘국제광전자공학회’ 석학회원 선정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11일, 국제광전자공학회(SPIE,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의 석학회원(Fellow)에 선정됐다. 김 교수는 차세대 광음향·초음파 융합영상 시스템 연구 분야를 크게 발전시킨 공로로 이번에 석학회원으로 선정됐다.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주립대를 거쳐 2013년 POSTE2021-01-12READ MORE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이중구조 페로브스카이트 ‘탄소 중립’ 앞당긴다[POSTECH–UNIST-성균관대 공동연구팀, 산소 공공 형성 메커니즘 규명]지구 온난화와 환경문제, 자원고갈로 인해 탈탄소화를 위한 움직임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작년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했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을 합해 0으로 만들어 순 배출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친환경 에너지와 수소 에너지로의 전환은 탄소 중립을 위한 필수요건으로 주목받고 있2021-01-11READ MORE 연구성과 화공 윤용주 교수팀, ‘거울상 이성질체’ 하나만 선택한다[카이랄 이성질체 선택 생산 나노촉매 개발]달달한 음료를 마시며 쓴맛을 느껴본 적이 있는가? 설탕보다 200배의 단맛을 내는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완전하게 다른 특성인 쓴맛을 낸다. 이런 성질은 의약품에서 전혀 예측하지 못한 부작용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거울상 이성질체를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개발해 부작용2021-01-07READ MORE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규 교수-화공 한정우 교수 공동연구팀, 싸고 흔한 니켈로 수소에너지 만든다[POSTECH 공동연구팀, 친산소성 전이금속이 도핑된 니켈 기반 촉매 시스템 개발]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문제와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시스템에서 벗어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소에너지로 전환하려는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니켈을 촉매 전극으로 사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 연료를 효율2021-01-06READ MORE 행사안내 Dec02인공지능대학원 심포지엄 ‘코로나 이후 시대, 디지털 뉴딜의 중심 AI 인재양성’ Oct28제2회 안전골든벨 Oct263분 과학토크대회, 제6회 ‘내 연구를 소개합니다’ 개최 Oct23산학협력단 명사초청특강 (국립과천과학관 이정모 관장) 개최 안내 Oct062020년 사이버 포카전 온라인 축하연 개최 안내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