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4주 단기 앱 개발 과정 ‘Apple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앱 개발 과정을 통해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높이는 단기 집중 교육] [2월 18일까지 참여자 모집,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는 코딩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4주 단기 앱 개발 교육 과정인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이면 학력, 경력, 성별에 2025-02-1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팀, 표면장력 제어로 숨겨진 정보 드러난다! [이효민 교수팀, 다단계 습윤 패턴 활용한 새로운 광학 암호화 기술 개발] 화학공학과 이효민 교수 · 통합과정 류민 씨 연구팀이 표면의 ‘습윤 패턴’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광학 암호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디지털 2024-11-01157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차세대 전자 소자를 위한 새로운 산화물 공정 개발 [정대성 교수팀, 다층 용액공정 이용한 안정적인 고유전율 산화물 트랜지스터 개발] 최근 화학공학과 정대성 교수팀이 이중 가능성 리간드를 도입한 차세대 전자 소자 개발에 중요한 ‘솔-겔(Sol-Gel)’ 산화물 트랜지스터를 학계에 보고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Advanced 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 2024-10-30190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콘택트렌즈로 구현한 홀로그램, 차세대 AR 기술 가능성 열다 [POSTECH·KAIST·KIMM, 히알루론산 수분 감응형 결합에너지 이용한 메타표면 트랜스퍼 프린팅]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경태 씨, KAIST(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 고지우 박사, KIMM(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박사 공동 연구팀이 보습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Hyaluronic 2024-10-30202 연구성과 물리/융합 박경덕 교수팀, 초고속 양자터널링 광공진기 개발, 반도체입자 제어의 새로운 장을 열다 [박경덕 교수팀, 차세대 초고속 반도체입자 변조기 개발 성공] 물리학과 · 융합대학원 박경덕 교수 연구팀이 초고속 양자터널링 광공진기를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상온에 존재하는 반도체입자를 나노스케일의 극미세 공간에서 초고속으로 변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반도체입자는 이차원 반도체의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결정하는 기본 단위로, 개별 입자의 물리적 특성이 고 2024-10-23372 대학소식 ARPA-E(에너지고등연구계획원장) 에블린 엔 왕 원장, 22일 POSTECH서 특별 강연 [2050 탄소중립 위한 차세대 에너지 시스템 및 한-미 미래에너지 자원 개발 방안 모색] 미국의 지속 가능한 에너지 기술 개발에 앞장서고 있는 ARPA-E(미국 에너지고등연구계획원장) 에블린 엔 왕(Evelyn N. Wang) 원장이 22일 POSTECH을 방문,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 혁신’이라는 주제로 특별 강연을 개최한다. 2024-10-23163 연구성과 친환경소재/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첨단 금속 3D 프린팅 격자 구조, 국방 과학기술에 새 장을 열다 [김형섭 교수팀, 격자 구조 전단 변형 거동 연구로 국방 분야 혁신 가능성 제시] POSTECH 연구진이 316L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3D 프린팅 격자 구조의 전단 변형 거동을 심층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방 과학기술에서 경량화와 강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설계 방안을 제시하며, 국방 및 방위산업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 2024-10-21288 연구성과 화공 윤용주 교수팀, “새로운 촉매를 제안해줘” AI가 제시한 해답은? [윤용주 교수팀, 최첨단 AI 기술로 친환경적 프로필렌 생산 효율 획기적 향상] 화학공학과 윤용주 교수 · 통합과정 박지수 씨 · 정일준 박사 연구팀이 인공지능(이하 AI) 기술을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는 ‘프로판(Propane) 산화 탈수소화 반응’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촉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환경·에너지 촉매 분야 최상위 2024-10-21234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진동 잡고, 에너지 만드는 ‘일석이조’ 소자 탄생 [노준석 교수팀, 카이랄 구조 메타물질로 진동 제어하고 에너지 수확하는 소자 개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기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 이건 씨 연구팀은 모든 방향의 탄성파를 제어하여 진동을 줄이고, 이와 동시에 고성능의 파동 에너지를 수확하는 혁신적인 메타물질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재료과학 및 응용 물리 분야 2024-10-21176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소리와 빛으로 진단하다” 광음향 영상 기술 총망라 [김철홍 교수팀, 의료 영상의 미래를 변화시킬 핵심 기술 광음향 영상 리뷰 논문 보고]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 박정우 박사후연구원(現 경북대 의생명융합공학과 교수), 인공지능연구원 최성욱 박사후연구원(現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 연구팀이 최근 독일 에를랑겐대 병원(University Hospi 2024-10-15321 대학소식 POSTECH 이동건 대학원생, ‘인공지능의 한국어 능력 평가 경진대회’서 금상 수상 [개인 참가자로 출전해 ‘대화 맥락 추론’ 과제 정복… 국립국어원장상 및 상금 300만 원] 인공지능대학원 석사과정 이동건 씨(지도교수 유환조)가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이 주최한 ‘2024년 인공지능의 한국어 능력 평가 경진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이 대회는 국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인공지능 및 자연어 처리 대회 중 하나로 올해는 ‘인공 2024-10-14376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