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내 몸에 딱 맞는 약" 찾아주는 나노물질 개발 (2011.2.28) 초고밀도 나노채널 이용한 SNP의 고감도 검출 내 체형에 딱 맞는 옷을 입듯, 내 체질과 질병에 딱 맞는 약을 찾을 수 있는 ‘맞춤 의료’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환자 별로 적합한 감기약을 찾는 것은 물론, 암 환자에게 투여하는 새로운 항암제의 효과를 투여 전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의료사고의 3%가 사망하는 혈액응고방지제 관련 사고도 막을 수 있는 유전자 … Continue reading ""내 몸에 딱 맞는 약" 찾아주는 나노물질 개발 (2011.2.28)" 2011-03-172,168 연구성과 비소의 독성을 없애는 식물 유전자 규명 (2010.11.18) 독성 준금속인 비소의 독성을 없애는 식물 유전자가 국내 연구자의 주도로 발견되었다. 이영숙 교수․송원용 박사․박지영 박사과정생(포스텍 생명과학과)․마티노이아(Martinoia) 교수 연구팀(스위스 취리히대학)이 주도하고, 슈로더(Schroeder) 교수 연구팀(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주립대)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직무 대행 김병국)의 글로벌연구실(Global Research Lab)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과학 전문지인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 속보(11월 15일)에 게재되었고, 국내 특허 출원도 완료하였다. 이영숙 교수 … Continue reading "비소의 독성을 없애는 식물 유전자 규명 (2010.11.18)" 2011-01-121,485 연구성과 암의 진단부터 치료까지 "낚시"하듯 간단히 해결하는 똑똑한 나노 호박 (2010.12.20) – POSTECH 김기문교수팀, 쿠커비투릴 이용해 세포막단백질 분리 첫 성공– 쿠커비투릴의 진단-치료 광범위한 실제 활용도 첫 증명 … Nature Chemistry 게재 발견된 지 고작 100년 된 둥글넓적한 나노크기의 호박모양 물질이 모든 종류의 암 분석과 치료, 줄기세포(stem cell)의 분석을 낚시하듯 간단히 해결하는 ‘만능’ 호박임을 증명하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학계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특히 이 ‘나노 호박’은 질병 분석 … Continue reading "암의 진단부터 치료까지 "낚시"하듯 간단히 해결하는 똑똑한 나노 호박 (2010.12.20)" 2011-01-121,118 연구성과 불량 반도체가 재부팅 없는 컴퓨터 시대 연다 (2010.12.23) – POSTECH 동문 이동헌 박사 연구팀, 반도체 결함 이용 도핑 원자 에너지 조절 기술 발표– Science지 최신호 게재 … CPU와 RAM을 하나로 만든 컴퓨터 실현에 응용 ‘기대’ 2008년 여름, 통신위성이나 군사용 제품에 사용되는 갈륨비소(GaAs) 반도체를 이용해 도핑 원자* 특성을 연구하던 이동헌 씨(당시 오하이오주립대 박사과정)는 원자가 하나 빠져 있는 격자점을 찾아냈다. 이른바, ‘불량’ 반도체였다. 시험 삼아 … Continue reading "불량 반도체가 재부팅 없는 컴퓨터 시대 연다 (2010.12.23)" 2011-01-121,964 연구성과 식물면역 높여 바이오매스 식물개발 길 연다 (2010.8.20) 식물 생장호르몬 ‘사이토카이닌’의 새로운 작용 발견···바이오매스용 식물 증산 ‘기대’ POSTECH과 고려대 연구팀이 ‘작은 고추가 맵다’는 통설을 뒤집을 수 있는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성과는 바이오매스 생산용 식물에 적용,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 확보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OSTECH 생명과학과 황일두 교수팀‧고려대 백경희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식물의 대표적인 발달 생장호르몬인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이 생장에 관여할 … Continue reading "식물면역 높여 바이오매스 식물개발 길 연다 (2010.8.20)" 2010-11-151,582 연구성과 대기에서도 안정적인 n형 유기반도체 개발 (2010.8.23) 화학공학과 박찬언 교수팀,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 절연층 도입으로 동작수명 크게 늘려세계적 소재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표지논문 소개 신문처럼 돌돌 말아 쓰는 디스플레이, 달력처럼 벽에 붙이는 TV, 입는 컴퓨터 등에 이용되는 유기 전자 소자의 필수 기술이 POSTECH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박찬언 교수‧박사과정 장재영씨 연구팀은 내열성이 뛰어난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를 절연층으로 이용해 대기 중에서도 안정적인 … Continue reading "대기에서도 안정적인 n형 유기반도체 개발 (2010.8.23)" 2010-11-151,251 연구성과 정신분열증 유전자,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 뒤흔든다 (2010.9.29) 생명과학과 박상기교수팀, 정신분열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방향 제시 美국립과학원회보 온라인판 게재 “미쳤다”는 한 마디로 표현되는 병, ‘정신분열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 DISC1이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의 정상적인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POSTECH 연구팀이 최초로 밝혀냈다. 생명과학과 박상기 교수ㆍ박영운 박사ㆍ박사과정 정재훈씨 팀이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 최신호를 통해 발표한 이번 연구결과는 그간 베일에 가려졌던DISC1과 미토콘드리아 간의 상호작용과 … Continue reading "정신분열증 유전자,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 뒤흔든다 (2010.9.29)" 2010-11-151,249 연구성과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생체활성 유도하는 기능성 세포접착제 개발 (2010.10.4) 바이오머티리얼즈 발표 “다양한 세포접착제를 혼합하여 인체의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환경 조성 가능” 인체에 안전한 홍합접착단백질에 세포의 성장과 분화 기능을 활성화하는 펩타이드를 결합하여 세포의 특성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접착력이 뛰어난 기능성 세포접착제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생체소재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 속보(9월 … Continue reading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생체활성 유도하는 기능성 세포접착제 개발 (2010.10.4)" 2010-11-151,129 연구성과 "다 그래"를 뒤집으면 ‘수소 자동차’ 원천기술 "보인다" (2010.10.5) WCU 첨단재료과학부 박문정 교수팀無水환경•고온에 높은 전도성 가진 신물질 개발 美 에너지관리국 2009년 개발목표 상회··· 기존 Nafion보다 전도율 3배 높아 공해물질이 거의 배출되지 않고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각국이 경쟁적으로 개발에 나서고 있는 ‘수소 자동차’ 연료전지의 필수 원천 기술이 POSTECH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이온전도성 물질로만 되어 있는 전해질의 전도성이 크다’는 통념을 뒤집은 이번 기술은 지금까지 수소 연료전지에 … Continue reading ""다 그래"를 뒤집으면 ‘수소 자동차’ 원천기술 "보인다" (2010.10.5)" 2010-11-151,184 연구성과 ‘현미경 속 실험실’로 나노선 성장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2010.10.22) POSTECH 오상호 교수, 나노선 성장 메커니즘 최초 규명··· Science지 게재 ‘이례적’으로 연속 연구 Science지 연이어 게재··· 나노물성 “관심”입증 ‘세계를 변화시킬 10대 신기술’로 꼽히며 활발한 연구가 진행돼온 나노선(nanowire)의 성장 메커니즘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사이언스(Science) 지는 지난 2005년에 같은 저널을 통해 발표된 연구결과의 후속 연구에 해당하는 이 논문을 이례적으로 다시 게재하며, 지금까지 베일에 가려져 있던 … Continue reading "‘현미경 속 실험실’로 나노선 성장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2010.10.22)" 2010-11-151,87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