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위기를 기회로!“ 전화위복의 물리학 [POSTECH·미국 NEU 공동연구팀, 광(光) 손실 메타 격자를 활용한 빛 전송 성공] ‘빛’은 아주 민감하고 취약하다. 물질의 특성에 따라 빛이 표면에서 흡수되거나 튕겨져 나올 수 있고, 열에너지 등 다른 에너지로 전환될 수도 있다. 또, 빛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이러한 모든 현상을 ‘광(光) 손실’이라고 2023-05-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는 당신의 움직임을 알고 있다” [김진곤·정운룡 교수팀, 고분자와 자외선 이용해 정전기 촉각 센서 개발] [“단 하나의 전극으로 다양한 신체 움직임 감지해”] 예기치 못하게 나타나 더 따갑게 느껴지는 정전기. 불청객으로 느껴지는 이 정전기도 쓸모가 있다. 신체의 움직임으로 전기적 신호를 만들어내는 정전기 소자(Triboelectric nanoagenerator, TENG)*1가 전력 공급 2022-05-23537 연구성과 기계 이승철 교수팀, 물리식 접한 AI, 배터리 용량 예측 향상시킨다 [POSTECH·한양대 공동연구팀, AI에 물리 지식 더해 배터리 용량 예측 성능 최대 20% 높여] 자가용과 버스, 택시에 이르기까지, 최근 도로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면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수명이 다 되면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 2022-05-17562 연구성과 IT융합‧기계 김철홍 교수팀, 인공지능 광음향기술로 고속·고해상도 혈관영상 찍는다. [韓‧美 공동연구팀 딥러닝 이용한 고속 국지화영상기법 개발] [속도는 높이고 레이저 양은 줄어 환자 부담 낮추는 기술 “눈길”] 번개가 치면, 잠시 후 천둥소리가 들려온다. 번개가 지나간 주변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이 빛이 열로 변하는 과정에서 물질이 팽창해 소리를 내기 때문이다. 바로 이것을 광음향 현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현상을 응용해 몸속을 찍는 광 2022-05-1637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사람도 ‘피카츄’처럼 전기 만들 수 있을까? [노준석 교수팀, 메타물질로 압전 에너지 수확 효율 높이는 방법 소개] [“진동·소리로 전기 생성 가능성 有…향후 웨어러블 기기 적용 기대”] 피카츄는 잠을 자면 양쪽 뺨에 전기가 생겨난다. 머지않아 우리도 피카츄처럼 특정 행동으로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지 모른다. 우리 곁에 진동이나 소리 형태로 존재하는 파동 에너지는 마찰이나 열에 의해 쉽게 사라지는데 2022-05-11569 연구성과 생명 김종경 교수팀, “새살이 솔솔”…상처 난 위(胃) 되돌리는 유전자 찾았다 [POSTECH·IBS·美 밴더빌트대 공동연구팀, 위 줄기세포 활성 조절하는 유전자 밝혀] 음식을 소화시키는 위(胃)에 문제가 생기면 식사를 하는 것조차 고통스러운 일이 된다. 다행히 우리 몸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데, 위장에 있는 줄기세포인 위장주세포는 일반적으로 활동하지 않다가 조직에 상처가 나면 활발히 치료를 돕는다고 알려졌다. 다만 어 2022-05-10340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덥고 습한 ‘겨울’, 범인은 바로 너(?) [감종훈 교수팀, 2019~2020년 러시아 서북 지역의 덥고 습한 겨울 원인 밝혀] [“기후 모델 미래 전망 데이터 분석 결과, 인류 활동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원인“] 찌는 듯한 더위의 여름엔 찬 바람이 쌩쌩 부는 겨울이 그리워진다. 강한 추위와 더위 모두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지만, 겨울 날씨가 습하고 따뜻하더라도 또 다른 문제가 생긴다. 가령 2019 2022-05-0927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더 세게, 더 멀리’ 스핀하는 적외선 찾았다 [노준석 교수팀,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고 효율의 광스핀홀 효과 구현] [“빛 이동량은 파장 10배, 효율은 70%…고효율 초소형 광학 소자에 적용 기대”] 국내 연구진이 ‘더 세고, 더 멀리’ 스핀하는 적외선을 찾아냈다. 근적외선 영역에서 최고 효율의 광스핀홀 효과를 구현한 것인데, 광스핀홀 효과란 빛이 굴절할 때 입사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빛이 이동하는 2022-05-04316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 프린팅 ‘지방조직’으로 비만 잡을까 [POSTECH·부산대 공동연구팀, 인-배스 3D 바이오프린팅으로 체외 지방조직 개발] [비만 환자와 유사한 환경에서 배양 시 실제 생리학적 변화 나타나…비만 치료·신약 개발에 활용 기대] 다이어트는 거의 모든 사람에게 평생의 숙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공공의 적’인 지방조직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러한 일이 머지 않을지도 2022-05-02527 연구성과 인공지능·컴공 곽수하 교수팀, ‘뿌연 안개도 끄떡없는’ 자율주행차 눈앞에 다가왔다 [곽수하 교수팀, 안개 낀 날씨에서 정확히 동작하는 영상인식 AI 기술 개발] [오는 6월 개최 CVPR 2022 구두 발표 논문 선정 쾌거] 자율주행 자동차를 향한 꿈이 어느덧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지만, 여전히 상용화를 위해선 넘어야 할 과제들이 있다. 갑자기 끼어든 보행자 등 예상치 못한 도로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데다가, 악천후 상황에서도 2022-04-28779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나쁜 식용유는 이제 그만”…‘형광의 연금술’로 폐식용유 거른다 [장영태 교수팀, 형광물질 이용한 폐식용유 검출 센서 개발] [“누구나 쉽게 식용유 사용 시간 측정…모든 종류 식용유에 적용 가능”] 2010년 중국에서는 하수도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추출한 ‘쓰레기 식용유’가 대량으로 유통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온 나라가 발칵 뒤집혔다. 실제로 우리가 먹는 식용유는 얼마나 깨끗할까? ‘형광의 연금술사’로 불리는 연구팀이 형 2022-04-2741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