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스마트 피펫 팁’으로 똑똑하게 “용액 농도 측정해요” [피펫으로 액체 운반할 때 농도 바로 측정하는 기술 개발] 정량의 액체를 운송하기 위해 연구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실험 장비 중 하나는 피펫(pipette)이다. 피펫으로 액체를 운송하는 동안 다른 기계 도움 없이 액체 농도를 바로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돼 용액에 대한 화학 반응을 실험 중간에 빠르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반응 예측이 중요한 제약 2017-08-141,444 연구성과 물리 김승환 교수팀, 의료사고 ‘수술 중 각성’, 이젠 “걱정 말아요” [의식과 무의식의 기준 수치화(數値化)…마취심도측정 장비 개발 및 상용화 나서]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는 어디일까? 의식과 무의식의 수준(Level)을 어떻게 숫자로 정량화할 수 있을까? 이 오랜 질문의 답에 ‘물리학’이 도전했다. 마취가 되거나 깰 때 의식과 무의식 간 나들목의 경계와 깊이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돼, 뇌의 신비에 2017-08-091,786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바다의 보석 ‘진주’ 형성 비밀 찾았다 [진주조개 단백질 역할 규명 통한 진주층 형성 핵심 메커니즘 밝혀] 풍요와 다산의 상징, 진주는 진주조개 속으로 들어온 이물질이 진주층으로 감싸지면서 만들어진다. 오색찬란한 광택의 보석으로 바뀌는 이 과정은 아직까지도 비밀에 휩싸여 있어 그 신비로움을 더한다. 진주를 구성하는 진주층은 진주조개 껍질의 안쪽에 위치하며 영롱한 빛깔을 가질 뿐 아니라 바위보다 2017-08-081,339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콘택트렌즈로 당뇨진단”…스마트 헬스케어 렌즈 본격 상용화 [POSTECH-PHI BIOMED-인터로조 연구팀, World Class 300 선정] 눈은 우리 몸속의 변화를 그대로 보여준다. 간이나 췌장에 문제가 생기면 눈동자가 노란빛을 띠는 것처럼 모든 장기의 변화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눈의 특성을 반영, 눈에 착용만 해도 당뇨 같은 질병을 바로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 콘택트렌즈가 본 2017-07-312,215 대학소식 신소재 백승미 씨 ‘NanoSPD7 젊은 연구자상’ 수상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 백승미(지도교수 김형섭) 씨가 ‘강소성공정을 통한 나노재료학회 (NanoSPD7,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nomaterials by Severe Plastic Deformation)’가 선정, 수여하는 ‘젊은 연구자상’(Young Researcher Award)을 수상했다. 백 씨는 ‘제어된 2017-07-261,691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생체모방 통한 이산화탄소 자원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자원화 해법, 누에고치에서 찾다] 전 세계가 급격한 기후변화로 시달리고 있다. 이런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주범으로는 다양한 원인들이 지적되고 있지만, 특히 ‘온실가스’로 불리는 이산화탄소의 과다한 배출이 큰 비난을 모으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인공뼈나 플라스틱 같은 새로운 자원으로 만들고자 하는 2017-07-142,637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북극 온도 상승이 식물 활동성 감소로 이어진다는 사실 처음 밝혀내 [북극 온난화 ‘나비효과’로 곡물 생산 감소] 지구온난화는 빙하소실로 인한 해수면 상승, 제트기류 변화로 인한 기상 이변 등을 불러와 지구 곳곳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친다. 베이징에 있는 나비의 날갯짓이 미국 뉴욕에서 허리케인을 불러 올 수 있다는 나비효과처럼 북극의 온난화가 미국과 캐나다 지역의 식물 광합성 등 활동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저하 시킨다는 연구 2017-07-111,180 대학소식 POSTECH, ‘최고 가치창출대학으로’ 출간 “우리 대학들의 새로운 미래설계” POSTECH이 자기혁신에 대한 의지와 대학의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은 ‘최고 가치창출대학으로(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 지음)’를 출간했다. 1986년, 연구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에서 국내 처음으로 연구중심대학을 표방하며 도전의 길에 나섰던 POSTECH이 개교 30주년을 맞은 전환점에서 연구중심대학에서 한 2017-07-101,893 대학소식 POSTECH 조정팀 ‘옥스퍼드 기다려!’ 창단 1년 만에 꼴찌에서 2등으로 도약 “조정의 본 고장 영국에서 옥스퍼드 조정팀과 대결 꿈꿔요” 부산 서낙동강 조정경기장에서 한 편의 각본 없는 드라마가 펼쳐졌다. 지난해 5월 창단한 신생팀, 경기경험도 적고 선수층도 얇아서 1년 동안 각종 대회에서 꼴찌를 도맡아 하던 POSTECH 여자 조정팀이 결승선을 두 번째로 통과한 것이다. 예선 재경기 끝에 극적 2017-07-051,724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슬래그 이용한 리튬이온전지 전극소재 합성기술 개발 [산업 폐기물 슬래그가 휴대폰․전기차 고용량 배터리로?] 철강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 슬래그(slag)의 연간 생산량은 약 4~5억 톤. 이 양은 전 세계 무기 폐기물의 1/3에 달할 정도다. 이런 슬래그는 시멘트나 콘크리트 골재 등에 활용되어 왔다. 이런 산업폐기물 슬래그를 스마트폰 속 배터리로 활용하는 기술이 POSTECH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2017-06-281,45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