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철강·에너지소재 강윤배 교수, 일본 ‘ISIJ International’ 부편집장 임명 [일본 학위·경력 전무한 외국인으로서는 ‘최초’…4월부터 4년간 활동]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강윤배 교수(46)가 일본철강협회(ISIJ, The Iron and Steel Institute of Japan)의 국제학술지 ‘ISIJ International’의 부편집장(Associate Editor)으로 최근 임명됐다. ISIJ International은 세 2022-04-04124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스마트 렌즈로 ‘실시간’ 연속혈당 측정한다 [한세광 교수팀, 스마트 콘택트렌즈 연구자 임상시험 성공] [바이메탈 나노입자 충진 다공성 수화젤로 고민감도 당센서 구현] 구글렌즈로 알려진 눈물 속의 당을 분석해 당뇨병을 진단하는 콘택트렌즈 기술이 이미 화제가 된 바 있었지만, 당센서의 민감도가 낮아서 혈당(血糖)과 누당(淚糖)의 상관관계가 검증되지 않아 임상시험이 중단되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2022-04-0445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 ‘이것’ 때문에 물속에서도 접착력 유지한다 [차형준 교수팀, “표면접착력 잃은 단백질에 홍합 속 ‘시스테인’ 단백질 더하면 접착력↑”] [기존 수중접착소재에 더하면 접착력 향상 ‘기대’] 화장실 벽에 접착식 칫솔꽂이를 잘못 붙이면, 얼마 지나지 않아 바닥으로 떨어지고 만다. 화장실에 있는 수분이 표면 접착력을 떨어지게 만들기 때문이다. 반대로, 홍합은 물속 한가운데서도 바위에 단단히 붙어 ‘질긴’ 2022-03-31273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치매의 적’ 단백질 응고, 인공세포로 샅샅이 파헤친다 [IBS‧POSTECH·대구가톨릭대 연구팀, 인공세포 이용해 세포 내 단백질 응고 생성·전파 과정 밝혀] 현대 의학이 발전을 거듭해왔지만, 아직까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는 질병이 있다. ‘치매’라고도 불리는 알츠하이머병이 그것인데, 단백질의 응고가 질병을 일으키는 이유 중 하나로 알려졌을 뿐 정확한 진행 과정을 알기는 어려웠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인공 2022-03-30370 연구성과 화공 김동표 교수팀, 삽시간에 고순도 정밀 의약품 대량생산한다 [김동표 교수팀, 금속 3D 프린팅으로 특수 미세반응기 제작] [“1초 내로 정밀 의약품 합성…10분에 20g 만드는 데 성공”] 영화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서 움파룸파족은 빠른 시간 안에 각종 초콜릿을 대량으로 만들어낸다. 이 움파룸파족처럼 약물을 구성하는 핵심 화합물도 삽시간에 대량생산하는 기술이 나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1초 내로 고순도의 정밀 2022-03-29151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장수풍뎅이’처럼 민감하게 습도 느끼는 센서 나왔다 [POSTECH·ETRI 공동연구팀, 실시간 감지 광학 습도 센서 개발] [“기존 센서 대비 속도 1만 배 ↑…저렴하게 대량생산도 가능”] 남미에 사는 ‘헤라클레스 장수풍뎅이’는 습도에 따라서 색깔이 변하는 신기한 특징이 있다. 이는 장수풍뎅이의 껍질 내부가 사각형 구멍이 이어진 다공성 격자 구조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특정 파장의 빛을 받으면 이를 반사 2022-03-28191 대학소식 POSTECH, 포스코케미칼과 배터리 소재 인재육성 나선다 포스텍이 배터리 소재인 양/음극재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포스코케미칼과 협약을 맺었다. 포스텍과 포스코케미칼은 22일 ‘e-Battery Track’ 과정을 신설하여 포스텍의 에너지소재대학원과 배터리 인재 양성을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식에는 민경준 포스코케미칼 사장과 김무환 포스텍 총장을 비롯하여 양 기관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2022학년 후기 대 2022-03-231,127 연구성과 IT융합 김철홍 교수팀, 말초혈관, 단 1mm도 놓치지 않고 3D로 살핀다 [김철홍 교수팀, 광음향·초음파 합친 족부 영상 기술 개발] 우리 몸은 마치 정교한 네트워크와 같이 심장에서부터 몸의 말단까지 수많은 말초혈관으로 이어져 있다. 이 말초혈관에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으면 상처가 잘 낫지 않거나, 심지어 괴사에 이를 수도 있다. 특히나 말초혈관질환은 사람이 움직이고 생활하는 데 가장 중요한 ‘발’에서 주로 나타나 더욱 주의가 2022-03-23157 연구성과 기계 김기현 교수팀, 안구건조증 환자를 위한 비침습 결막 술잔세포 검사법 제시 [김기현 교수팀, 비침습 고속 결막 술잔세포 영상장비 개발] 안구 표면에 점액을 분비하는 결막 술잔세포(conjunctival goblet cells)는 눈물막(tear film)의 뮤신층을 형성하고 눈물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결막 술잔세포의 기능 저하 및 사멸은 눈물막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며 염증을 유발해 안구건조증 등 다양한 안구 표면 질환을 일으키 2022-03-22128 연구성과 화공 김철주 교수팀, ‘레고’ 조립하듯 원자도 조립한다 [김철주 교수팀, 웨이퍼 크기에서 원자 조립하는 기술 개발]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꿈의 장난감’으로 꼽히는 블록 장난감의 대명사 레고는 조립법에 따라 우주선이나 멋진 건물 등 정해진 모형으로 만들 수 있지만, 마음대로 조립해 새로운 모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러한 블록 장난감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크기의 블록을 조립해 새로운 물질을 만드는 기술이 2022-03-2122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