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보도자료] POSTECH 김광재 교수, 정헌학술대상 수상 POSTECH 김광재 교수, 정헌학술대상 수상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김광재 교수가 정헌학술대상을 수상했다. 대한산업공학회는 최근 경기대에서 추계학술대회를 열고, 김광재 교수에게 제28회 정헌학술대상을 수여했다. 정헌학술대상은 대한산업공학회에서 매년 가장 뛰어난 업적을 나타낸 회원 한 명을 선정, 수여하며 학술실적 뿐만 아니라 2014-11-261,133 대학소식 加 워털루대 Feridun Hamdullahpur 총장 특강 캐나다에서 ‘가장 혁신적인 대학’으로 손꼽히는 워털루대(University of Waterloo)페리던 햄덜라퍼(Feridun Hamdullahpur)총장을 초청, 3일 오후4시부터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포스코국제관1층 대회의실에서 특강을 개최했다. ‘배움을 위한 열정–연구에서 영향력으로:워털루의 이야기 2014-11-25602 대학소식 포스텍 벤처창업 지원 APGC-Lab, 유치 1호 기업연구소 동시 개소 포항 강소기업 육성 생태계 조성 ‘첫결실’ – 19일 포스텍 지곡연구동‧한국형 창조경제실현 모델 구현 지역의 산업계와 대학, 지자체가 산학협력을 통해 기술 및 협력네트워크를 활성화 하고 지역 기반의 강소기업을 키우는 ‘한국형 창조경제 선도모델’이 포항에서 가시화되고 있다. POSTECH(포항공과대학 2014-11-251,088 연구성과 POSTECH, 초고속 금속 나노선 전극 인쇄 기술 개발 POSTECH,초고속 금속 나노선 전극 인쇄 기술 개발 이태우 교수팀, 어드밴스드머터리얼스 통해 발표 스마트시계 등 다양한 휴대용 웨어러블(wearable) 기기 속에 들어가는 전자소자는 크기는 작으면서도 기능을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같은 초소형․고집적소자의 전극을 빠르게 정렬해 인쇄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을 통해 개발됐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태우 교수․박사과정이영준씨 연구팀은 재료분야 … Continue reading "POSTECH, 초고속 금속 나노선 전극 인쇄 기술 개발" 2014-11-19883 대학소식 AP Forum, 英 맨체스터, 쉐필드․獨 드레스덴 벤치마킹 결과 공유 AP포럼14일,英맨체스터․獨드레스덴 방문 경험 공유 “지역발전의 핵심 키워드는 비전,파트너십,리더십” 2014 Advance Pohang Forum 벤치마킹 보고서 보기(클릭) 포항의 미래를 모색하기 위해 만들어진AP포럼(Advance Pohang Forum)관계자들이10일간의 영국 맨체스터와 셰필드,독일 드레스덴에서의 벤치마킹을 성 2014-11-171,266 연구성과 韓․獨 공동연구팀, 철계 초전도체의 비밀 풀 ‘열쇠’ 찾았다 철계 초전도체의 네마틱 상태의 원인 밝혀내 초전도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물질의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으로,전력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되기도 하지만, KTX와 같은 자기부상 열차나 병원에서 촬영하는MRI등 고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기술에도 활용된다.이와 같은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이 발견된 뒤100여년 간 다양한 물질이 발견됐고,지난2009년에는 철(Fe)계 초전도체가 발견되기도 했다.바로 이 새로운 철계 초전도체 물질에 대한 … Continue reading "韓․獨 공동연구팀, 철계 초전도체의 비밀 풀 ‘열쇠’ 찾았다" 2014-11-14875 연구성과 김준성 교수, 韓․獨 공동연구팀, 철계 초전도체의 비밀 풀 ‘열쇠’ 찾았다 철계 초전도체의 네마틱 상태의 원인 밝혀내 초전도는 일정 온도 이하에서 물질의 전기저항이 ‘0’이 되는 현상으로,전력 효율을 높이는데 활용되기도 하지만, KTX와 같은 자기부상 열차나 병원에서 촬영하는MRI등 고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기술에도 활용된다.이와 같은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이 발견된 뒤100여년 간 다양한 물질이 발 2014-11-141,434 연구성과 이정수 교수팀, 벌집모양 응용해 ‘조류독감’ 찾는 나노 그물망 개발 전자 이정수 교수팀,美NASA와 국제공동연구 성과 최근 자주 발생하면서 토착화 우려를 낳고 있는 ‘조류독감’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해낼 수 있는3차원 나노 그물망이POSTECH(포항공과대학교)과 미국NASA연구팀을 통해 개발됐다. POSTECH(포항공과대학교)전자전기공학과 이정수 교수와 박사과정 김기현씨 연구팀은NASA연구팀과 2014-11-131,513 연구성과 조동우 교수 연구팀 外, 3D프린터로 함몰된 광대뼈 완벽 재생 –포스텍–서울성모병원–․티엔알바이오펩공동 연구 ‘결실’ –얼굴모양 완벽 복원 성공, 1년 뒤면 실제 뼈 재생 기대 3D프린팅 기술로 만든 특수 인공구조물의 인체 이식을 통해 실제 뼈로 재생되도록 하는 프로젝트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성공리에 수행되었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연구팀은 2014-11-131,761 연구성과 이종람 교수팀, 나노 패턴이 형성된 ‘투명전극’으로 휘어지는 태양전지 만든다 이종람교수팀, 광 투과도와 전기 전도도 향상 기술 개발 입는 컴퓨터나 손목시계처럼 두를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등 웨어러블(wearable)기기가 각광을 받음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자들이나 태양전지에 대한 개발이 경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게가 가볍고 유연성이 좋은 유기태양전지는 간편하게 충전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기기에 2014-11-131,27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8118218318418518618718818919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