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2025-01-1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융합 한세광 교수팀, 방광암, 이제는 자가추진 나노모터로 치료한다 [POSTECH·서울의대·IBS·IBEC, 방광 내 요소 활용한 방광암 면역치료 나노모터 개발] 자율주행 자동차는 기술 혁신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나노 입자가 체내에서 스스로 움직이며 치료제를 필요한 곳에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떨까? 최근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이 이를 현실로 구현하고, 방광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2024-12-18203 연구성과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뼈 재생과 접착력, 가시광선으로 동시에 해결하다 [차형준 교수팀, 골 이식재와 접착력의 문제를 해결한 혁신적인 골 재생용 주사형 하이드로젤 개발] 화학공학과 · 융합대학원(의과학전공)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윤진영 박사, 통합과정 우현택 씨 연구팀은 무해한 가시광선을 이용해 ‘가교(cross-linking)’와 골 이식재 필요없이 ‘광물화(mineralization)’가 동시에 일어나는 골 재생용 주사 2024-12-16154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세계 최초의 투명 초음파 내시경, 암 진단의 새 지평 열까 [POSTECH·세브란스 연세암병원,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기반 고성능 광음향 내시경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김형함 교수, IT융합공학과 김재우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허다솜 씨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김희만 교수와의 연구를 통해 투명 초음파 2024-12-16160 연구성과 생명 김종민 교수팀, 생명체를 새롭게 설계하다: 혁신적인 유전자 기술의 미래 [김종민 교수팀, 인공 유전자 회로 정밀도·집적도 높이는 새로운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김종민 교수, 생명과학과 통합과정 고현섭·최승도 씨 연구팀은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 유전자 회로의 정밀성과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합성 번역 공역 장치(Synthetic Translational Coupling Element, 이하 SynTCE)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2024-12-13158 연구성과 기계 안지환 교수팀, ‘반도체+수소’, 에너지 혁명의 비밀코드 [POSTECH·美UC Merced·중앙대, 반도체 공정 기술로 전지 효율과 내구성 높일 소재 개발]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김형준 박사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머세드캠퍼스(UC Merced) 기계공학과 이민환 교수팀, 중앙대 융합공학부 박해선 교수팀과 협력하여 최신 반도체 공정인 원자층 공정을 활용, 수소 생산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고온에서 안정 2024-12-13136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산소 가리는 전해질,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였다 [POSTECH · 서울대, 입체 효과 기반 전해질(STE)로 암모니아 생산 공정 효율 향상]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 석사과정 한예빈 씨, 통합과정 임채은 · 김영비 씨 연구팀은 서울대 신소재공학과 한정우 교수 연구팀, POSTECH 화학공학과 전상민 교수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용매의 입체 효과를 도입한 전해질 엔지니어링으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을 2024-12-12115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스테로이드 약물 효과, 이제 생생하게 본다 [POSTECH · 美 FDA,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의 혈관 수축 기전 시각화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김동규 씨 연구팀은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공동 연구를 통해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이 피부 혈관에 미치는 수축 변화를 광음향 현미경 기술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개발 2024-12-1191 연구성과 화학/배터리공학 박수진 교수팀, 늘어나는 배터리, 웨어러블 기기의 한계를 넘다 [POSTECH·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충남대, 신축성 · 고에너지밀도 동시 구현한 리튬 전지 개발] 최근 POSTECH 화학과 · 배터리공학과 박수진 교수 연구팀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충남대 연구진과의 연구를 통해 신축성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모두 충족하는 배터리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인 ‘에너지 저장 재료(Energy St 2024-12-05208 연구성과 환경 이형주 교수팀, 대기오염 추적의 새로운 장을 열다 [POSTECH 이형주 교수팀, 국내 환경위성 GEMS 활용 이산화질소 농도 예측 모델 개발] 환경공학부 이형주 교수, 통합과정 김나래·신민영 씨 연구팀은 세계 최초의 가스상 대기오염 물질 추적 정지궤도위성 자료를 활용해 이산화질소(NO₂)의 시간대별 농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링 기법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인 ‘환경 2024-12-04113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리튬 전해질의 혁신, 그린 암모니아 시대를 열다 [POSTECH · KIAST, 친환경 국소 고농도 전해질 기반 그린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 통합과정 윤혜주 · 임채은 씨 연구팀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서동화 교수 연구팀, POSTECH 윤용주 교수 연구팀과의 연구를 통해 특정 부분에서 고농도처럼 작용하는 특별한 전해질을 기반으로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 2024-12-02162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