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김동표 교수팀, 버려지는 나무가 수소로 다시 태어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폐목재 분해 통한 수소·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 공정법 개발] [“물분해 공정 대비 전력 소모 절반 수준…폭발 위험도 X”] ‘골칫덩이’인 버려지는 나무가 수소로 다시 태어났다. 화학공학과 김동표 교수·통합과정 임세준 씨 연구팀은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통합과정 오현명 씨와 공동으로 폐목재를 수소와 고부 2022-11-0251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눈앞에 펼쳐진 평행세계…맞춤형 VR 수업할까 [노준석 교수팀, 단일 구조체에 세 가지 정보 담는 메타 디스플레이 개발…편광 따라 다른 이미지 보여줘] [공정 단순화·초소형 크기 장점…차세대 보안 장치·맞춤형 VR 디스플레이 실현 기대감 ‘쑥’] 캠퍼스 곳곳이 메타버스로 탈바꿈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후 POSTECH은 비대면 상태로도 현실과 같은 수준의 실험과 실습을 진행할 수 있는 메타버스 강 2022-11-01381 연구성과 신소재 오승수 교수팀, 더 강력해진 코로나19 변이도 “확실히” 잡는다 [오승수 교수팀, 알파부터 오미크론까지…변이 따라 점점 더 강해지는 코로나19 중화제 개발] 끝날 듯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대유행. 예측할 수 없는 변이가 더욱 강해진 감염력과 함께 등장하며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오미크론 변이도 300여 종에 달하는 상황. 제각기 다른 이 변이를 꼼짝 못 하게 할 만능 치료제가 등장할 수 있을까? 신 2022-10-27477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히비스커스’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물리친다 [김경태 교수팀, ‘고시페틴’으로 면역세포 활성화…알츠하이머성 치매 유발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잡아먹어] 붉은빛의 히비스커스차는 추운 날씨에 몸을 녹여줄 뿐만 아니라, 면역력 향상과 혈압 관리, 체중 감량 등 다방면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히비스커스로 미지의 질병인 알츠하이머성 치매까지 물리칠 수 있다면? 생명과학과 김경태 교수·통합과정 조경원 씨 2022-10-26393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나는 섬유’로 몸속 세계 탐험한다 [김철홍·노준석 교수팀, 근접장으로 얻은 광음향 신호 영상화 최초 성공] [“렌즈 대신 광섬유 적용…초고해상도 광음향 현미경 개발의 새 지평 열어”] 현미경 덕분에 우리는 맨눈으로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세계를 탐험할 수 있다. 특히나 최근, 빛이 흡수될 때 생기는 진동을 이용해 세포나 혈관을 촬영하는 광음향 현미경이 개발되며 조영제 없이도 몸속을 속속 들 2022-10-25220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물, 마시지 말고 ‘배터리’에 양보하세요” [박수진 교수팀, 수계 전해질에서 구동하는 아연 전지 시스템 개발] [“고분자 보호층으로 전지 안정성 극대화”] 공기 없이 3분, 물 없이 3일, 그리고 배터리 없이 3시간을 버틸 수 있을까? 무게가 가볍고 고용량인 리튬이온전지는 우리가 일상에서 숨 쉬듯 사용하는 휴대전화, 노트북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유기 전해질 기반의 기존 리튬이온전지는 화재나 2022-10-24274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앗, 눈부셔”…자유자재로 옷 바꿔 입는 스마트 윈도우 [최수석 교수팀, 산란 없이 투명·밝기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스마트 윈도우 개발] [상용 디스플레이 수준인 20V 전압으로 작동…응답속도도 12ms에 불과] 햇빛이 강한 한낮에는 투명한 유리창을 통해 맞은편 건물에서 반사되는 햇빛이 들어와 눈이 부실 때가 있다. 매번 햇빛이 비치는 시간에 따라 블라인드를 조절하기도 번거롭다. 블라인드를 치고 나면 바깥이 전혀 2022-10-2034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360° 볼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눈’ [연구팀, 전 영역 동시에 인식하는 고정형 라이다 센서 개발] 빛을 쏴서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LiDAR) 센서는 자율주행 자동차가 주변 물체와의 거리를 파악하고 주행 속도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도록 돕는 ‘눈’ 역할을 한다. 예측 불가능한 도로 상황에 민감하게 대응하기 위해선 정면뿐만 아니라 옆이나 뒤를 함께 살펴야 하는데, 현재는 회전하는 라이다 센서 2022-10-19394 연구성과 화학 박선아 교수팀, 반도체 공정으로 금속 유기 골격체 전기 전도도 “73배” 높였다 [연구팀, 화학기상증착법 활용해 2차원 전도성 금속 유기 골격체 합성…최초로 박막 제작 성공] [전기 전도도 획기적으로 높여…기존 합성법의 약 73배] 금속 유기 골격체(MOF, Metal-Organic Framework)*1는 독특한 다공성 구조 때문에 물질을 분리하거나 흡수하기 쉬워, 가스 분리·저장이나 약물 전달, 촉매 등 다방면으로 활용될 수 있는 2022-10-18483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단 한 마디도 놓치지 않게”…마스크 써도 잘 들리는 똑똑한 마이크로폰 [조길원 교수팀,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목소리 정확히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패치 개발] [“재난 대응 시 의사소통용 마이크로폰으로 활용…향후 호흡기 질환 진단용 헬스케어 기기로 응용 기대”] 최근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소리가 정확하게 들리지 않아 큰 소리로 반복해서 이야기하다 보면 금세 목이 아파진 2022-10-17339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