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2025-01-14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친환경소재 홍지현 교수팀, “산소를 잡아라!”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늘린 비결 [홍지현 교수팀, 산소 방출 억제를 통한 망간계 양극재의 장수명 구현]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홍지현 교수, 임국현 박사 연구팀은 차세대 리튬이온배터리(Lithum-ion-battery, LIB)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과잉층상구조소재(LLO)*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개발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에너지 분야 학 2024-12-24145 대학소식 POSTECH 박상기 · 노용영 · 장진아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박상기 교수,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의 연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박상기 교수는 ’생명해양‘ 부문, 노용영 교수는 ’정보·전자‘ 부문, 장진아 교수는 ’융합‘ 부문에서 각각 우수성과로 인정받았다. ‘국가연구개발 우수 2024-12-20199 연구성과 화공 이상민 교수팀, 인류를 위협하던 바이러스, 인류의 미래를 열다 [이상민 교수·2024 노벨화학상 수상자 David Baker 교수 공동 연구 ‘Nature’ 게재] [바이러스 모방한 나노입자 AI 설계 연구 통해 유전자 치료 기술 개발의 전환점 제시] 화학공학과 이상민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워싱턴대(University of Washington)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교수와 공동으로 A 2024-12-19384 연구성과 신소재/융합 한세광 교수팀, 방광암, 이제는 자가추진 나노모터로 치료한다 [POSTECH·서울의대·IBS·IBEC, 방광 내 요소 활용한 방광암 면역치료 나노모터 개발] 자율주행 자동차는 기술 혁신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나노 입자가 체내에서 스스로 움직이며 치료제를 필요한 곳에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떨까? 최근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이 이를 현실로 구현하고, 방광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2024-12-18206 대학소식 POSTECH 교수 3인, ‘Y-KAST’ 회원 선정 [한국 과학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0인 중 동문 포함 5명 배출] 화학과 최창혁 교수,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환경공학부 조강우 교수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oung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Y-KAST) 이학부 및 공학부 회원으로 선정됐다. Y-KAST는 만 43세 이하의 우수한 2024-12-17300 연구성과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뼈 재생과 접착력, 가시광선으로 동시에 해결하다 [차형준 교수팀, 골 이식재와 접착력의 문제를 해결한 혁신적인 골 재생용 주사형 하이드로젤 개발] 화학공학과 · 융합대학원(의과학전공)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윤진영 박사, 통합과정 우현택 씨 연구팀은 무해한 가시광선을 이용해 ‘가교(cross-linking)’와 골 이식재 필요없이 ‘광물화(mineralization)’가 동시에 일어나는 골 재생용 주사 2024-12-16159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세계 최초의 투명 초음파 내시경, 암 진단의 새 지평 열까 [POSTECH·세브란스 연세암병원,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기반 고성능 광음향 내시경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김형함 교수, IT융합공학과 김재우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허다솜 씨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김희만 교수와의 연구를 통해 투명 초음파 2024-12-16160 대학소식 POSTECH 강석형 교수,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자동화 연구로 반도체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전자전기공학과 강석형 교수가 11일 개최된 ‘반도체 기술 로드맵 포럼 및 정기총회’에서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을 받았다. ‘해동반도체공학상’은 고(故)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 유지에 따라 반도체 인재 육성을 통한 학문과 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된 국내 최고 권위의 반도체 2024-12-13150 연구성과 생명 김종민 교수팀, 생명체를 새롭게 설계하다: 혁신적인 유전자 기술의 미래 [김종민 교수팀, 인공 유전자 회로 정밀도·집적도 높이는 새로운 기술 개발] 생명과학과 김종민 교수, 생명과학과 통합과정 고현섭·최승도 씨 연구팀은 합성 생물학 분야에서 유전자 회로의 정밀성과 집적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합성 번역 공역 장치(Synthetic Translational Coupling Element, 이하 SynTCE)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2024-12-13159 연구성과 기계 안지환 교수팀, ‘반도체+수소’, 에너지 혁명의 비밀코드 [POSTECH·美UC Merced·중앙대, 반도체 공정 기술로 전지 효율과 내구성 높일 소재 개발]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김형준 박사 연구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 머세드캠퍼스(UC Merced) 기계공학과 이민환 교수팀, 중앙대 융합공학부 박해선 교수팀과 협력하여 최신 반도체 공정인 원자층 공정을 활용, 수소 생산의 효율을 높이면서도 고온에서 안정 2024-12-13140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