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세계가 인정한 K-재생의료!” POSTECH 장진아 교수, 한국인 최초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 수상 [재생의료·생체재료 분야 연구 국제 학계 인정받아… 美 하버드의대 Wei Tao 교수와 나란히 선정]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가 한국인 최초로 재생의료 및 생체재료 연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의 ‘젊은 연구자상(Biomaterials Award for Young 2025-01-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소속 대학원생, ‘제1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16명 선정 [25:1 높은 경쟁률 뚫고, 총 120명 1기 장학생 명단에 이름 올려…] 최근 POSTECH 소속 대학원생 16명이 ‘제1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수혜 대상자로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이공계 대학원생들이 세계적인 연구진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연구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올해 대학원생 대상 장학사업을 신설했으며, 박사과정생 2024-04-241,156 연구성과 반도체 20년 난제 해결한 POSTECH 노용영 교수, 세계 최고 학술지 Nature 논문 게재 [텔루륨-셀레늄 복합 산화물로 고성능 비정질 p형 산화물 반도체 개발 성공]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 Ao Liu(아오 리우) 박사(포항공과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現 중국 전자과기대 교수), Huihui zhu(휘휘 주) 박사(포항공과대학교 박사후 연구원, 現 중국 전자과기대 교수)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용성 박사, 포항가속기연구소 김민규 박사와의 2024-04-231,834 대학소식 POSTECH 노용영 · 한세광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과학기술포장 수훈 [노용영 · 한세광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과학기술포장 수훈] [물리학과 신희득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 장관 표창]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가 22일 개최된 ‘2024년 과학 · 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도약장과 과학기술포장을 각각 수훈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국립과천과학관에서 과학기술 · 정보통 2024-04-23777 대학소식 환경 민승기 교수, 지속가능성 · 환경 관련 ‘Frontiers Planet Prize 2024’ 내셔널 챔피언 선정 [10년 빨라진 북극 해빙 소멸 예측으로 우리나라 대표 과학자 타이틀 획득]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프론티어 플래닛 프라이즈 2024(Frontiers Planet Prize 2024)’ 대회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내셔널(national) 챔피언으로 선정됐다. 이 상은 세계를 위협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하고, 지구 시스템(earth system)의 불안 2024-04-22620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고무처럼 죽죽 늘어나는 에너지 저장 소자, 레이저 기술로 완성하다 [POSTECH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레이저 기술로 신축성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 · 김건우 박사,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양찬우 박사 · 박성주 석사 공동 연구팀은 신축성이 우수한 소형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전자 공학 분야 세계적인 학술지인 ‘npj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 2024-04-19632 대학소식 POSTECH-주한 북유럽 4개국 대사관, 제13회 ‘노르딕 토크 코리아’ 성료 [한국-북유럽 산업 및 학계 전문가가 모여 산업 녹색 전환 위한 사례 공유] POSTECH과 주한 북유럽 4개국 대사관이 공동 주최한 제13회 ‘노르딕 토크 코리아(Nordic Talks Korea)’가 22일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이 행사는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등 주한 북유럽 4개국 대사가 함께 모여 글로벌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2024-04-19443 연구성과 화학 황승준 교수팀, 4전자 산화환원 활성 가능한 친환경 촉매 개발 화학과 황승준 교수 연구팀이 주족원소*1인 인(P)을 기반으로 한 촉매*2의 리간드*3 협동 반응성을 통해 4전자 산화환원 촉매 시스템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화학반응에서의 가용 전자 수는 반응 메커니즘과 생성물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자 수가 많을수록 화합물을 만들기에 유용한데, 여기에는 반응을 매개할 수 있는 촉매가 꼭 필요하다. 현재 널리 이용되 2024-04-18492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초고속 전자를 갖는 유기반도체 개발 [POSTECH · IBS 공동 연구팀,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 내 초고속 전자 관측 성공] 화학과 김기문 교수 · 심지훈 교수 · 이연상 박사, 물리학과 김준성 교수(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연구단)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graphene) 수준의 전자 이동속도를 갖는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켐(Ch 2024-04-16985 연구성과 물리 박경덕 교수팀, 전염병 바이러스, 분자지문 찾아가며 실시간 검출한다 [POSTECH·UNIST, 기존 한계 넘는 광대역 초고감도 능동형 나노분광센서 원천기술 개발] 물리학과 박경덕 교수 · 통합과정 문태영 · 주희태 씨 연구팀은 잘 휘어지는 연성물질을 이용하여 빈틈제어가 자유자재로 가능한 ‘광대역 나노빈틈 금 분광센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기술을 이용하면 전염병 바이러스 등 온갖 종류의 물질들을 단 하나의 나노분광센서만으 2024-04-15436 연구성과 생명/융합 조윤제 교수팀, 난청 이겨내는 희망의 시작을 알리다 [POSTECH·경희대·美USC·英Oxford, 청각 기능 관련 단백질 GPR156 구조 규명] 생명과학과 조윤제 교수 연구팀이 경희대 응용화학과 김광표 교수 연구팀,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대(USC) 브셰볼로드 카트리치(Vsevolod Katritch) 교수 연구팀, 영국 옥스포드대(University of Oxford) 캐롤 로빈슨(Carol V. Rob 2024-04-1144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