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이승철 교수팀, 물리식 접한 AI, 배터리 용량 예측 향상시킨다 [POSTECH·한양대 공동연구팀, AI에 물리 지식 더해 배터리 용량 예측 성능 최대 20% 높여] 자가용과 버스, 택시에 이르기까지, 최근 도로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면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수명이 다 되면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 2022-05-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생명 장승기 교수팀’ 코로나19도, 새로운 전염병도 ‘15분 안에’ 진단한다 – 압타머 이용 바이러스 감염 신속 진단기술 개발 – 코로나19 진단법 개발 시작…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 중국 우한으로부터 시작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위협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플루 이후 11년만에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처럼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의 감염자를 신속하 2020-03-192,850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수소 이동 ‘고속도로’ 뚫렸다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의 동작 속도 조절하는 신소재 원천기술 마련]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는 전해질과 함께 도입된 이온의 산화환원 상태를 조절했을 때 전기, 광학,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일으키는 소자다. 소자에 가하는 전압에 따라 투과도 및 변형률 조절이 가능해 스마트 윈도우 및 엑추에이터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얼마나 빨리’ 이온이 이동하느냐가 관건 2020-03-09915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팀, 고통 없이 ‘인체 탐험’ 가능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나노 크기의 니켈 조영제와 레이저 이용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광음향 영상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고통을 주지 않는 생체 영상 장비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광음향 영상 진단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심부 조직을 관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통합과정 박별리 씨가 전남대학교 김형우 2020-03-04934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단일촉매로 정밀의약품 제조 공정 줄인다 [금속-유기-골격체 기반 통합형 나노촉매 플랫폼 개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비롯한 의약품의 빠른 배포가 요구되는 시점이지만, 복잡한 생산공정으로 인해 이 2020-02-10734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물로 ‘늘어나고 구겨지는’ 온도센서 만든다 [물 용매 용액공정 가능하고 열에 안정적인 신축성 이온 전도체 개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검역·방역이 강조되고 있다.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때 가장 먼저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정확하고 빠르게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옷을 입거나 악수를 하는 등 단순한 접촉만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나 인공근육의 2020-02-06631 연구성과 POSTECH AI대학원, 세상을 바꿀 AI 싹틔우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며 AI(인공지능) 분야 인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POSTECH의 인공지능대학원(이하 AI 대학원)이 본격적인 활동을 앞두고 있다. AI 대학원은 우수한 인재 양성을 위해 정부와 대학이 만든 프로그램으로 지난해 9월 POSTECH이 추가 선정됐다. POSTECH AI 대학원은 풍부한 AI 교육 경험과 노하우, 2020-02-043,725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 공동연구팀, 번개에 버금가는 정전기, 배터리에 저장한다 – 접촉대전 나노발전기 에너지량 높이는 신기술 제시 – 나노임프린팅 공정-폴링공정 동시 사용해 고효율 변환회로 개발 ‘찌릿찌릿’ 겨울이면 더욱 기승을 부리는 정전기. 서로 다른 물체의 마찰로 생기는 정전기는 사랑하는 연인 사이에도 불청객일 수밖에 없다. 사실 정전기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그 전압은 수만 2020-01-30998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이산화탄소 ‘공장 굴뚝에서’ 다이어트한다 [이산화탄소 직접 처리 가능한 고체산화물 전해전지 촉매 개발]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태울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생태계 오염과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고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계속돼왔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발전소나 2020-01-2882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영화가 현실로’ 양방향으로 정보 보내는 메타홀로그램 – 멀티플렉싱 가능한 메타홀로그램 광학 소자 개발 –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정보 전달…공연용, 전시용, 차량용으로 접목 홀로그램 기술은 이미 일상 속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폐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홀로그램 스티커, 자동차 앞 유리에 직접 투영돼 길을 안내하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2020-01-21686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 공동연구팀, 물 속에서 ‘스파이더맨’ 보다 강한 홍합, 그 이유는 ‘시너지’ – 표면접착단백질의 표면접착력-응집력 조절 메커니즘 제시 – 홍합 접착 분자들의 시너지 밝혀…“기존보다 강력한 수중생체접착제 나올 것” 마블에서 가장 오랫동안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캐릭터는 ‘스파이더맨’이다. 스파이더맨에게서 가장 큰 능력은 역시 끈끈한 거미줄을 발사하여 벽에 붙어 다니거나 건물 사이를 날아다니는 것이다 2020-01-1592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