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유기태양전지 치명적 단점 해결할 답 ‘저분자’에서 찾다 – KRICT-POSTECH 공동연구팀, 저분자 유기태양전지의 고질적 상분리 문제 해결 – 저분자 유기태양전지 ‘세계 최고 충전율 달성’…넓은 면적·긴 수명 가능해져 유기태양전지는 플라스틱과 같은 유기물을 이용해서 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태양전지를 의미한다. 하지만 유기태양전지의 본격적인 상용화를 가로막는 치명적인 단점이 바로 2020-04-011,505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창의IT 김철홍-이화여대 윤주영 교수팀, 암 ‘빛’으로 진단과 동시에 치료한다 [POSTECH-이화여대 공동연구팀, 초분자 프탈로시아닌 조립체 이용한 광음향 이미징 및 광열 치료법 개발] 이화여대(총장 김혜숙) 공동연구팀이 수술 없이 암세포만 골라 태워 죽이는 ’광음향 영상법‘과 ‘광열(光熱) 치료법’을 동시에 시행할 수 있는 조영제를 개발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팀,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팀, 이화여대 화학과 윤주영 교수팀은 2020-03-31701 연구성과 창의IT 박주홍 교수팀, 코로나 의심‧확진자 셀프 경로지도 프로젝트 운영 [자발적 시민참여‧IT 기술을 융합한 새로운 사회적 문제 해결 모델 제시…성숙한 공동체 의식에 “기대”] 창의IT융합공학과 박주홍 교수팀이 코로나 19 의심자와 확진자가 익명으로 참여하는 셀프 경로지도 프로젝트인 ‘COVID: Share to Survive(코로나 19: 공유를 통한 생존)’를 운영한다.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이 프로젝트(www.sharet 2020-03-30512 연구성과 창의IT 장진아 교수팀, “두근두근” 심장 되살리는 ‘바이오잉크 심장패치’ 개발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원동력이 되는 기관으로, 끊임없이 수축과 이완을 되풀이함으로써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펌프역할을 한다. 심혈관이 막히거나 심장근육의 전체나 일부가 손상되어 심장이 괴사하는 경우,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골수에서 채취한 중간엽 줄기세포(BM-MSC)의 임상 사용이 확대됐지만, 이식해도 곧 사멸한다는 것이 문제로 2020-03-261,090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막히고 딱딱해진 심장, ‘홍합’에 주목하라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심근경색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심근경색의 초기 사망률은 30%에 달할 정도로 생명과 직결되는 질병으로 사망환자의 50% 이상은 병원에 내원하기도 전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심근경색은 심장마비에 이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빠르고 적극적인 치료가 중요한데, 최근 POSTECH 연구팀이 홍합이 가진 강력하면서도 인체에 무 2020-03-24946 연구성과 ‘생명 장승기 교수팀’ 코로나19도, 새로운 전염병도 ‘15분 안에’ 진단한다 – 압타머 이용 바이러스 감염 신속 진단기술 개발 – 코로나19 진단법 개발 시작…치료제 개발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 중국 우한으로부터 시작된 코로나19가 전 세계를 위협하며 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플루 이후 11년만에 팬데믹을 선언했다. 이처럼 전염성이 높고 치명적인 새로운 전염병이 발생하면, 바이러스의 감염자를 신속하 2020-03-192,871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수소 이동 ‘고속도로’ 뚫렸다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의 동작 속도 조절하는 신소재 원천기술 마련] 전기화학 스위칭 소자는 전해질과 함께 도입된 이온의 산화환원 상태를 조절했을 때 전기, 광학,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일으키는 소자다. 소자에 가하는 전압에 따라 투과도 및 변형률 조절이 가능해 스마트 윈도우 및 엑추에이터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문제는 ‘얼마나 빨리’ 이온이 이동하느냐가 관건 2020-03-09928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 교수팀, 고통 없이 ‘인체 탐험’ 가능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나노 크기의 니켈 조영제와 레이저 이용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광음향 영상은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고통을 주지 않는 생체 영상 장비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광음향 영상 진단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심부 조직을 관찰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창의IT융합공학과 김철홍 교수, 통합과정 박별리 씨가 전남대학교 김형우 2020-03-04946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단일촉매로 정밀의약품 제조 공정 줄인다 [금속-유기-골격체 기반 통합형 나노촉매 플랫폼 개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국제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하는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전 세계가 공포에 떨고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비롯한 의약품의 빠른 배포가 요구되는 시점이지만, 복잡한 생산공정으로 인해 이 2020-02-10747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물로 ‘늘어나고 구겨지는’ 온도센서 만든다 [물 용매 용액공정 가능하고 열에 안정적인 신축성 이온 전도체 개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검역·방역이 강조되고 있다. 신체의 변화를 감지할 때 가장 먼저 체온을 측정하게 되는데, 정확하고 빠르게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옷을 입거나 악수를 하는 등 단순한 접촉만으로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온도측정센서나 인공근육의 2020-02-0664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