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IT융합/기계/전자/융합 박성민 교수팀, 정전기가 생체 이식 기기 ‘수명’ 바꾼다 [POSTECH·연세대 연구팀, 안전하면서도 오래 가는 고효율 생체 이식형 기기 개발]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통한 의료 기술 혁신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특히, 심장이나 뇌 등 몸속에 이식하는 전자기기는 생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해 파킨슨병 등 난치병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한 번 이식한 전자기 2023-12-05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몸 밖에서 ‘전이성 암’ 모사해 맞춤의료 길 연다 [POSTECH·부산대 공동연구팀,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이용해 혈관·림프관 포함된 인공 암 모델 개발] [“환자에게서 채취한 세포로 암 모델 제작하면 맞춤형 치료 실현할 수 있어] 한산도대첩에서 이순신 장군은 일본군과 싸워 크게 승리를 거뒀다. 이는 주변의 지리적 환경을 파악하고 적군의 경로를 예측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결과다. 우리 몸의 ‘적’인 암도 2022-09-07573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한반도 가뭄의 ‘250년’ 기록을 파헤치다 [감종훈 교수팀, ‘자가교정 유효가뭄지수(scEDI)’ 개발…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강수량 기록 총망라해 비교·분석] [“가뭄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객관적으로 평가…향후 선제적 대응 기대”] 올해 극심한 가뭄과 폭염으로 많은 농민이 어려움을 겪었다.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일으키는 가뭄은 오늘날의 문제만은 아니다. 특히 벼농사 중심의 농업 사회였던 조 2022-09-05439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내 세포는 얼마나 뜨거울까?” [韓·日 공동연구팀, 세포 소기관별 온도 빛으로 볼 수 있는 형광 온도계 개발] 회사에서 팀마다 각기 다른 업무를 처리하듯이, 세포에서도 여러 소기관이 각자 맡은 역할을 쉴새 없이 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세포 소기관의 온도가 미세하게 변화하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세포 속 변화를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최근 한국과 일본 공동연구팀이 이처럼 미 2022-09-01540 대학소식 POSTECH 예비창업팀, 과기정통부 한국형 아이코어 사업 우수 팀 선정 [산경과 석사과정 황윤태 씨, ‘스마트 아쿠아팜 플랫폼’ AI 기술로 광어 양식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해 눈길] ‘아쿠에이아이’ 팀(대표: 산업경영공학과 석사과정 황윤태 씨, 지도교수 최동구)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과 KIC-DC(Korea Innovation Center Washington DC)가 주관하는 ‘2022 공공기술기 2022-09-01491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팀, ‘오염 제로’ 열교환기로 에어컨 청소 걱정 던다 [POSTECH·삼성전자 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실리카 나노입자 덧씌워 열교환기의 윤활액 코팅의 지속성 대폭 향상] 여러 해 동안 유난히 더운 여름이 이어지면서 이제 에어컨은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에어컨을 사용할 때는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한데, 이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미생물에 의해 열교환기의 표면이 쉽게 오염되기 때문이다. 오염되면 열이 잘 전달되 2022-08-31390 연구성과 신소재 김연수 교수팀, 몸속에서도 전기 통하는 ‘특별한’ 하이드로겔로 신경 조절한다 [POSTECH·케이메디허브 공동연구팀, 신경에 도포할 수 있는 전기 전도성 하이드로겔 개발] [“쥐 좌골 신경에 이식 후 저전류 전기 자극 가해 신경 조절 성공”] 우리 몸의 중심에서 여러 기관을 통제하는 신경에 이상이 생기면 몸을 움직이거나 감각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신경을 조절하면 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문제나 통증을 개선할 수도 있다고 알려져 2022-08-301,031 대학소식 ‘현대미술 거장부터 국민배우까지’…최정상 강사진 POSTECH에 뜬다 [문명시민교육원, 내달 12일까지 강연 리뷰단 ‘파이스 프렌즈(PICE FRIENDS)’ 첫 기수 모집] [박서보 화백·김영옥 배우·연세의대 인요한 교수·김초엽 작가 등 각 분야 대표하는 초호화 강사진 총출동] 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국민배우, 특별귀화 1호 의사, 화제의 SF 작가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스타’들이 POSTECH에 총출동한다. 이들이 P 2022-08-30290 연구성과 화공 이기라 교수팀, 원하는 빛만 반사하는 만능거울 나왔다 [POSTECH·성균관대 교수팀, 초고굴절률 메타물질과 저굴절률 고분자 결합해 반사경 개발] [“가시광선·근적외선 영역에서 역대 최고 굴절률 기록…정밀 반도체 공정·고해상도 디스플레이 기술 적용 기대”] 하루에 꼭 한 번씩은 보게 되는 거울.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원리에 의해 우리는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거울은 일상생활뿐만 아니라 반 2022-08-29557 대학소식 POSTECH, 한인 최초 아이비리그 의대학장 초청 강연 연다 [코넬대 의대 어거스틴 초이 학장 특강 오는 26일 개최 예정…‘美 의학 교육의 변화’ 주제 강연] POSTECH이 미국 코넬대학교 의과대학 어거스틴 초이(Augustine M.K. Choi) 학장의 초청 강연을 오는 26일 이 대학 국제관에서 개최한다. 앞서 2017년 어거스틴 초이 학장은 코넬대를 비롯해 아이비리그 의과대학장에 선임된 최초의 한인으로 화 2022-08-25281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징검다리’ 놓아 저전력 반도체 소자 실현한다 [손준우 교수팀, 반도체 소자 속에 백금 나노 입자 ‘쏙‘…소비전력 절반 ‘뚝’] [메모리 효과 ‘100만 배’ 연장…차세대 저전력 소자 활용 기대] 청계천에 가면 징검다리를 건너는 시민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천 양쪽의 길을 잇는 징검다리만 있으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단 몇 걸음 만에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 속에도 이처럼 ‘징검다리’를 2022-08-2348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