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2025-01-1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팀, 선박의 새로운 친환경 갑옷, 생태계를 지켜라 [이상준 교수팀, 실리콘 기반 지속 가능한 방오 · 방빙 · 저마찰 표면 기술 개발] 최근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통합과정 박규도 씨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의 새로운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해 해양 생물 부착 및 결빙 방지, 마찰 감소 성능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코팅 과학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인 ‘응용 표면 과학(Appli 2024-11-29154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빛을 완벽히 제어하다, 결정 변화 통한 메타렌즈 혁신 [POSTECH · 고려대, 온도 변화에 따른 졸-겔 이산화 티타늄 결정 변화 이용해 고효율 메타렌즈 개발]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연구팀이 고려대 신소재공학과 이헌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고효율 메타렌즈를 위한 새로운 개념의 이산화 티타늄(TiO2) 소재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최근 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2024-11-28169 연구성과 화학 박선아 교수팀, 나노클러스터로 ‘빛의 시간’을 늘리다 [POSTECH, 구조에 따른 발광 특성 변화 구현한 새로운 나노소재 기반 구조체 개발] 화학과 박선아 교수팀은 화학과 류순민 교수, 심지훈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새로운 나노클러스터(nanocluster)*1 기반 구조체를 성공적으로 합성하고, 그 구조에 따라 발광 특성이 달라지는 원리를 규명했다. 이 연구는 나노 분야 국제 학술지인 ‘ACS 나노(A 2024-11-26185 연구성과 화학/첨단재료과학부 황승준 교수팀, 지구온난화 막는 신비의 광물 제올라이트 [황승준 교수팀, 제올라이트(Cu-ZSM-5) 모방한 탄화수소 활성화 촉매 개발] 화학과 · 첨단재료과학부 황승준 교수 연구팀은 중요 에너지원이자 강력한 온실가스 중 하나인 메탄가스(methane)를 유용한 화합물인 메탄올(methanol)로 전환하는 ‘제올라이트(zeolite)’를 모방한 탄소-수소 활성화 촉매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새로운 형태 2024-11-26135 연구성과 기계 김진태 교수팀, 피부로 세상을 보다 [POSTECH · Georgia Tech · Northwestern 연구팀, 피부 밀착형 무선 햅틱 기술로 실시간 감각 피드백 제공, 시각 · 감각 제약 넘어서는 혁신적 경험 실현] 기계공학과 김진태 교수는 미국 조지아 공대(Georgia Tech) 매트 플라빈(Matt Flavin) 교수, 노스웨스턴대(Northwestern) 하경호 박사와 존 라저스( 2024-11-25625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유체로 빛의 초점 바꾸고 광 무선 통신 미래 열다 [노준석 교수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 통한 재구성 가능 지능형 표면 구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재경 씨 연구팀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를 이용해 광 신호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광 무선 통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 2024-11-21217 연구성과 물리/융합 박경덕 교수팀,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 극한 나노 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제어한다 [박경덕 교수팀,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2차원 반도체의 무작위 전자 확산 난제 극복 성공] 물리학과 · 융합대학원 박경덕 교수 연구팀이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나노 공간에서 2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 광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자 분포는 2024-11-21163 연구성과 물리 김범준·김기석 교수팀, 양자 컴퓨팅 혁신의 열쇠 ‘나선성 메커니즘’, 마침내 밝혀지다 [김범준·김기석 교수팀, 칼코젠 화합물 나선성 전하 밀도파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통합과정 김광래·김현우·하승혁 씨 연구팀은 김기석 교수, 복진모 연구원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서 ’나선성 전하 밀도파*1(Chiral Charge Density Wave, CDW)‘ 현상을 관측하고, 그 메커니즘을 세계 2024-11-18277 연구성과 화학 박선아 교수팀, 출력과 에너지, 한 구조체 안에 담다 [박선아 교수팀, 분자 단위 기공 개질로 빠르고 가역적인 산화환원 활성 유도] 화학과 박선아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인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2024-11-14179 연구성과 친환경소재/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고온 합금의 게임체인저, 새로운 전략의 탄생 [김형섭 교수팀, 계층 구조 통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 지닌 산업용 금속 소재 개발] 친환경소재학과·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규모의 헤테로(hetero) 계층 구조를 개발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경제성,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합금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금속 분야 국제 학술지인 ‘악타 머티리얼리아(Acta Materia 2024-11-13178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