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POSTECH-UTS 연구진, 상온에서 작동하는 hBN 점결함 기반 ‘양자 광원’ 기술 구현] 최근 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통합과정 박규나 씨 연구팀은 시드니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이고르 아로노비치(Igor Aharonovich)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하여 2025-01-1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정대성 교수팀, 와이파이보다 100배 빨리 데이터 전송하는 전등 나온다 [POSTECH·아주대·인하대 연구팀, RGB 파장을 혼합해 가시광 무선 통신 맞춤형 광원 개발] 라이파이(Li-fi)는 가시광(빛)을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기술이다. 전파를 사용하는 와이파이(Wi-fi)보다 속도가 100배 이상 빠르며, 대역폭이 높아 많은 정보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또, 빛이 도달하는 영역에만 데이터를 보내기 때문에 보안도 2023-12-11536 연구성과 신소재 오승수 교수팀, 압타머는 사람을 살리고, 이온 보호막은 압타머를 살리고 [오승수 교수팀, 다양한 압타머 응용 연구 위한 새로운 방법 제시] 압타머(aptamer)는 바이러스나 단백질, 이온, 소분자 등 다양한 표적 물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핵산*1이다. 열과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3차원 결합을 통해 특정 효소나 표적 단백질을 억제할 수 있어 신약 개발 분야에서 항체를 대체할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또, 대장암 등 조기 2023-12-11353 연구성과 환경/수학 민승기 교수팀, 지구온난화가 한반도 상륙 태풍 위력 키웠다 [민승기 교수팀, 3km 초고해상도 기후모델로 태풍 극한 강수 팽창 밝혀내] 작년, 36명의 사상자를 낸 태풍 힌남노는 기상청 관측 이래 아열대성 해양이 아닌 북위 25도 이상에서 발생한 첫 번째 슈퍼 태풍으로 유명하다. 또, 올해 충북 오송에서는 예상치 못한 집중 호우로 순식간에 하천이 범람하며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이처럼 유례없는 2023-12-11377 대학소식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기업시민 경영과 ESG 아이디어 공유의 장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 개최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 기업시민 경영과 ESG 아이디어 공유의 장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 개최 포스텍 기업시민연구소는 대학생 및 포스코그룹 임직원 등과 함께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Corporate Citizenship Level up Ground)’를 개최하여, 기업시민 경영과 ESG에 관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자리를 가졌다. 기업시민 레벨업 그 2023-12-07344 연구성과 IT융합/기계/전자/융합 박성민 교수팀, 정전기가 생체 이식 기기 ‘수명’ 바꾼다 [POSTECH·연세대 연구팀, 안전하면서도 오래 가는 고효율 생체 이식형 기기 개발]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통한 의료 기술 혁신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특히, 심장이나 뇌 등 몸속에 이식하는 전자기기는 생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해 파킨슨병 등 난치병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한 번 이식한 전자기 2023-12-05398 대학소식 POSTECH·POSCO 인재창조원, ‘청년 AI·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4기 개강 [POSTECH 전문 교수진들의 AI와 Big data 교육 무료 제공] [기초 원리와 프로그래밍 관련 강좌 8개와 특강 6개 구성] POSTECH과 POSCO 인재창조원이 함께 진행하는 ‘청년 AI(인공지능) · Big Data(빅데이터)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이 4일 개강한다. 이 교육은 스마트 시대의 핵심기술인 AI와 Big Data에 2023-12-04556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수소 경제를 위한 그린 암모니아 생산, 황이 보여준 새로운 가능성 [용기중 교수팀, 친환경 · 고효율 암모니아 생산 공정 시대 열어] 겨울이 제철인 홍어의 톡 쏘는 맛과 향은 삭히는 과정에서 생기는 암모니아(NH3) 때문이다. 호불호가 갈리는 맛의 세계와 달리 산업계에서는 암모니아가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암모니아는 비료나 나일론 등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며, 수소 함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친환경 수소 에너지 기술 분야 2023-12-04370 대학소식 친환경/신소재 김형섭 교수, 인도공학한림원 외국인 석학회원 선정 친환경소재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가 최근 인도공학한림원(이하 INAE, India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외국인 석학회원(foreign fellow)으로 선정되었다. 김 교수는 고엔트로피 합금*1 연구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합금을 개발했으며, 소성 변형과 금속 3D 프린팅, 그래핀 합성법 확 2023-12-01272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정전기를 붙잡아라”… 트랩으로 센서 한계 돌파 [Deep trap으로 정전기 센서 성능 지속 성공] 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2023-12-01286 대학소식 POSTECH 김철홍·송호진 교수, 2024 IEEE 석학회원 선임 [전기 전자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 회원 중 최상위 0.1% 대상 선정 영예]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 기계공학과 · 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와 전자전기공학과 · IT융합공학과 송호진 교수가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임되는 영예를 안았다. 김철홍 교수는 광음향 · 초음파 기술로 임상용 영상 장비개발과 임상시험 2023-12-0135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