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이승철 교수팀, 물리식 접한 AI, 배터리 용량 예측 향상시킨다 [POSTECH·한양대 공동연구팀, AI에 물리 지식 더해 배터리 용량 예측 성능 최대 20% 높여] 자가용과 버스, 택시에 이르기까지, 최근 도로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면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수명이 다 되면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 2022-05-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숨기는 ‘메타표면’이 나노물질도 꿰뚫어 본다” [메타표면을 이용한 초박막 초고해상도 이미징 구현] 가상현실 판타지 게임 ’앱솔루트 베리어‘에서는 전투 시 모습을 숨기기 위해 ’투명망토‘를 이용한다. 이 ’투명망토‘ 물질로 알려진 메타물질은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인공원자를 정밀하게 설계해 빛의 성질을 조절함으로써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메타물질을 현미경에 적용하여 ‘보이지 2019-10-011,049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암 줄기세포만 콕 집어 빛 밝히는 형광물질 개발 [생체 환경에서 암 줄기세포와 결합 … 항암 효능도 확인] 암 줄기세포만 선택적으로 추적하는 새로운 형광물질이 개발됐다. 화학과 장영태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단장 김기문) 장영태 부연구단장) 연구팀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형광물질 타이니어(TiNIR)*1 를 개발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항암 치료 가능성을 확인 2019-09-051,37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기계 임근배 교수 공동연구팀, 해양생물 유래 접착단백질 기반의 체내외 상처 봉합용 마이크로니들 접착 패치 개발 [홍합 접착단백질의 우수한 표면 접착과 기생충 유래의 팽윤성 기생 원리를 이용한 약물전달 능력을 갖춘 생분해성 접착 패치]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주연구자 전은영 박사)과 기계공학과 임근배 교수 연구팀(이중호 박사과정)은 해양생물인 홍합이 만드는 접착소재와 기생충의 팽윤성 입의 기생 원리에 착안하여, 단백질 기반의 국소 팽윤이 가능한 마이크로니들 접 2019-09-041,055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팀, 바닷물에서 리튬 캐내는 방법 개발 [금속-유기 골격체를 이용한 리튬 회수 간단 방안 제안] 우리가 매일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 태블릿PC, 노트북에 들어가는 리튬이온 배터리에는 리튬이라는 희토류가 들어간다. 리튬은 남미와 중국, 호주에 90% 이상 매장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전량 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특히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수요가 공급을 앞서 리튬 확보 경쟁도 치열해지고 2019-08-26945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나노잎’이 수소에너지 만든다 [수소에너지 생산 위한 나노잎 촉매 개발] 빛을 이용해 양분을 만들고, 산소를 만드는 일은 모두 조그만 녹색 잎에서 일어난다. ‘녹색공장’이라고도 불리는 잎은 광합성을 해서 만든 양분을 조직에 나눠 식물을 먹여 살리고, 산소를 배출해 모든 생명체가 살 수 있게 해준다. 최근 자연 잎의 광합성 메커니즘을 모방해 친환경 청정에너지인 수소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2019-08-22866 연구성과 [인터뷰] 국종성·민승기·최원용 교수 연구팀, 폭우에 폭염에…지구 몸살에 ‘과학 기술’로 처방나선 이들 페루와 칠레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리고, 인도네시아에서는 심한 가뭄이 들었다. 적도 부근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는 평년보다 최고 4℃ 이상 높았다. 한반도에도 극심한 게릴라성 집중호우가 발생,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혔다. ‘엘니뇨’를 연구하는 기후학자들에게 1997~1998년은 중요한 해다. 역사상 최대 규모의 슈퍼 엘니뇨가 전 세계의 2019-08-061,251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원자 두께 ‘멤브레인 반도체’ 세계 최초로 3차원 구현 [원자층 반도체에 균일한 돌기 만들어…양자컴퓨터‘큐빗’소자 가능성 모색] 거북선의 지붕처럼 오돌토돌 정교한 가시가 돋친 새로운 구조의 반도체 소자가 개발됐다. 신소재 조문호 교수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염한웅) 부연구단장 / POSTECH 무은재 석좌교수) 연구팀은 원자 두께 반도체 표면에 돌기가 돋은 형태의 신소재를 2019-07-311,11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AI가 자연에 없는 ‘투명망토’ 물질 설계한다 [딥러닝 활용한 메타물질 설계법 개발] SF소설이나 게임 등에 자주 등장하는 ‘투명망토’ 물질로 알려진 메타물질은 사실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물질이다.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의 인공원자를 정밀하게 설계해 빛의 편광이나 회전을 조절, 자연계에 없는 새로운 광학 성질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문제는 원하는 특성의 물질을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번 설계하고 2019-07-151,259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성 플랑크톤에서 북극 온난화 원인 찾다 바닷속에 살고 있는 식물성 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대기중 이산화탄소를 흡수, 저장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지구 온난화로 해빙이 녹을 경우, 오히려 식물성 플랑크톤이 온난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어떻게 된 일일까. 식물성 플랑크톤의 두 얼굴! 식물성 플랑크톤은 물고기의 먹이로,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또 광합성으로 대기 중 2019-07-10762 연구성과 환경 최원용 교수 공동연구팀, ‘철든’얼음에서 찾아낸 지구온난화 해결의 실마리 [온실가스 흡수하는 극지방 미세조류 번성과정 규명] POSTECH과 극지연구소 (소장 윤호일)는 극지방의 얼음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의해 지구온난화의 속도가 늦춰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바다에 사는 미세조류는 대표적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지구온난화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는데, 극지방의 얼음에서 미세조류의 성장을 돕는 철 이온이 방출되는 2019-07-0363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