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기계 김동성 교수팀, 장기 유사체 배양을 위한 물질투과성 ‘3차원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 개발 [균일하고 안정적인 배양…생존력·기능 향상된 스페로이드 기대] POSTECH 연구팀이 인체 장기의 기능과 구조가 유사한 3차원 세포 응집체를 장기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고기능성 3차원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 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통합과정 김도희씨, 이성진씨 연구팀은 생존 능력과 기능성이 향상된 스 2021-07-141,012 신소재 김형섭 교수-기계 이승철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의 한계 극복한다 [POSTECH-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미세조직 이미지 초해상화 기술 개발] 최신 8K 프리미엄 TV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초해상화 영상 기술이 재료과학 연구의 필수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 영상에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POSTECH과 한국재료연구원(원장 이정환) 공동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분석장비로부터 얻은 저해상도 전자 2021-07-14409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느 방향이든, 어떤 빛이든 스핀홀 효과 만든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통합과정 김민경씨 연구팀이 최초로 임의 편광 또는 무편광된 입사 빛에서의 광스핀홀 효과를 최초로 검증했다. 이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과학 저널인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Laser and Photonics Reviews)’ 7월호 표지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광스핀홀 효과는 굴절·반사 현상에서 빛이 2021-07-13388 기계 박재성 교수팀, 분자 움직임 추적해 ‘나노 입자’ 하나까지 파헤친다 [순차적 조광 및 추적에 의한 세포 밖 소포 분석] 물질과 빛의 상호작용 원리를 바탕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나노미터(nm) 크기 분자들의 브라운 운동을 추적해 관찰하고, 하나하나의 생체 나노 입자가 가진 서로 다른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나노 입자 추적분석법은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나노 입자 정량법으로, 촬영된 영상 속에 있는 2021-07-08531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팀, 지구 자기권 ‘분기된 전류 시트’ 현상 원인 규명 [POSTECH-PAL 연구팀, 우주 및 핵융합 플라즈마 연구 광범위한 적용 기대] 지구 자기권과 자기화 플라즈마 물리의 난제 중 하나로 꼽히는 ‘분기된 전류 시트’ 현상의 원인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규명됐다. 물리학과·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포항가속기연구소 윤영대 박사 공동연구팀이 비평형 상태의 플라즈마 전류 시트*1가 비충돌 평형화하는 과정을 이 2021-07-07635 화학 이인수 교수팀,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대사 자율운동 조절로 분자 운반 향상하는 하이브리드 금속 나노모터] 생물체 내 대사작용에 의한 자율운동은 분자, 단백질, 세포기관 등 모든 규모의 생명활동에서 핵심적인 신호요소 중의 하나이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는 자율운동을 통해 더 높은 농도의 포도당을 향해 헤엄쳐 이동하거나 독성 환경으로부터 벗어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러한 생체 내 자 2021-07-06409 전자 이남윤 교수,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와 대한전자공학회(IEIE)의 공동상인 “젊은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 전기전자공학부 이남윤 교수가 국제전기전자학회(IEEE 회장: Susan K. Land)와 대한전자공학회(IEIE 회장: 삼성전자 공준진)가 공동 주관하고 해동과학문화재단(이사장: 김영재 이사장)이 후원하는 “젊은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올해의 수상자로 선정된 이 교수는 6G 통신시스템을 위한 원천 송수신 기법 및 차세대 모바일 인공지능 서비스를 2021-07-06598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창문 하나 바꿨을 뿐인데···” 투명성, 에너지 효율 동시에 잡는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태양 빛에 투명한 복사 냉각 소재 개발] 2016년 발효된 파리협정 이후 121개 국가가 ‘2050 탄소중립 목표 기후동맹’에 가입하는 등 전 세계가 화석연료 소비 줄이기에 나섰다. 우리 정부 역시 작년 12월 7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하면서 ‘탄소중립 2021-07-05682 POSTECH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 개최 POSTECH 수학연구소(PMI)와 수리 데이터과학 연구소(POSTECH MINDS)가 공동으로 주관해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을 개최한다. 이번 일주 수학 심포지움 2021은 일주학술문화재단 및 태광그룹의 설립자인 고(故) 일주(一洲) 이임용 회장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개최되며, 7월과 8월에 4개의 행사로 구성된다. 주요 2021-07-02318 환경 홍석봉 교수팀, 세계 촉매시장 판도 바꿀 제올라이트 촉매 합성 성공 [새로운 석유 접촉분해용 제올라이트 촉매 발견] POSTECH 연구팀이 정유·석유화학 산업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는 제올라이트 원천소재를 찾아냈다. 연구결과는 7월 2일 세계 최고의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환경공학부 홍석봉 교수팀은 자체 개발한 합성전략인 ‘다중무기 양이온 방법’과 ‘전하밀도 비대칭 방법’ 2021-07-021,96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