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전자 김철홍 교수팀, 갑상선 암, 이제 인공지능으로 진단한다 [머신러닝 기반 갑상선 결절 다중 매개변수 광음향 분석] 갑상선에 혹이 생기는 것을 갑상선 결절이라고 하고, 전체 갑상선 결절의 5~10%는 갑성선 암으로 진단된다. 갑상선 암은 치료 예후가 좋아 생존률도 높고, 재발도 적기 때문에 조기진단과 조기 치료가 특히 중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광음향 및 초음파와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해 비침습 검사로 갑상선 결 2021-07-01376 화학 이인수 교수팀, 뚜껑 열었다 닫았다 하며 세포 기능 조절하는 나노 구조체 합성 – 화학-효소 구획된 실리카 나노 반응기 설계 – 살아있는 세포 내부 인공 촉매 세포 기관으로…세포 기능 조절 가능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속도를 내면서 일상으로의 복귀도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희귀 혈전증 같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 때문에 두려움 또한 커지고 있다. 생명 활동은 체내의 물질이나 에너지가 이동하면서 유지되는데, 2021-06-29624 전자 이병훈 교수팀, ‘이미지 센서의 눈’ 그래핀으로 밝히다 [그래핀-실리콘 포토디텍터의 광검출능 향상법] 디지털카메라나 휴대전화기에 내장된 포토센서는 이제 이미지를 인식하는 차원을 넘어 지문인증이나 얼굴인식 등 생체 인식도 가능해졌다. 물체의 이미지를 인식해 ‘이미지 센서의 눈’이라고 불리는 광검출기, 즉 포토디텍터는 그만큼 더 정교하고 안정된 인식능력이 요구된다. 간편한 방법으로 포토디텍터의 광검출 능을 높이는 2021-06-281,170 포항강소특구, 예비창업자를 위한 창업역량강화교육 성료 포항강소특구 이노폴리스캠퍼스사업단(단장 POSTECH 산학협력단 김상우)이 6월 25일 ‘2021 이노폴리스캠퍼스 창업역량강화교육’을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창업에 관심 있는 POSTECH, 한동대 등 지역 대학생, 일반인이 참여해 23일부터 25일까지 3일에 걸쳐 비대면으로 진행된 이번 역량강화교육에서는 76명의 수료생이 배출됐다. 이번 역량강화교육에서는 2021-06-28408 화공 조길원 교수팀, “와인의 눈물” 역이용해 반도체 인쇄 성능 높인다 [POSTECH∙성균관대 공동연구팀, 고성능 유기반도체 단결정 인쇄기술 개발] 와인이 담긴 잔을 흔든 다음 그대로 두면 얇은 막이 형성되어 와인이 눈물같이 밑으로 흘러내리는데 이것을 “와인의 눈물”, 또는 “마랑고니 효과”라고 한다. 이는 물과 알코올처럼 서로 다른 표면장력을 가진 액체들이 만날 때 즉시 혼합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 2021-06-25533 POSTECH-KB국민은행, 디지털혁신 연구센터 문열어 POSTECH이 6월 23일 POSTECH 공학4동에서 ‘디지털혁신 연구센터’ 현판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다. POSTECH은 KB국민은행과 손잡고 핀테크(Fintech) 분야 연구개발 협업, 공동연구 및 고급인력 교류를 통해 금융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디지털혁신 연구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이날 현판식에는 김무환 총장, 박준원 부총장, 장봉규 2021-06-23392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 ‘메디포스트 신진과학자상’ 수상 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장진아 교수가 한국조직공학·재생의학회에서 수여하는 ‘메디포스트 신진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조직공학재생의학 분야에 있어 탁월한 연구업적을 나타낸 연구장 중 45세 이하 신진과학자의 연구역량 고취를 위해 마련된 상이다. 장진아 교수는 연구자의 연구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H-지수(H-index)와 최근 5년간 논문실적을 바 2021-06-22577 환경 이기택 교수팀, “해양 탄산칼슘 증가하면 탄소흡수력 복원된다” [POSTECH-美해양대기청…해양 탄산칼슘이 탄소흡수력에 미치는 영향 밝혀] 대기와 맞닿은 해양 표층(euphotic zone)에서 서식하는 미생물(pteropods, foraminifera and coccolithophores)의 탄산칼슘 형성 과정은 해양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로 작용한다. 그러나 산업혁명 이후 2021-06-21604 기계 이승철 교수-KRISS 공동연구팀, “살려주세요” 산속 조난 위치 소리로 찾는다 – 실시간 음원 위치 추적기술 개발 – 소리 위치‧크기를 실시간으로 파악,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도 향상 국내 연구진이 소리가 나는 곳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보다 10배 이상 정확하며, 연산시간은 10분의 1 수준이다. 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 이수영 박사과정 연구팀은 2021-06-18545 화학 이은성 교수팀, 120년 유기 라디칼 역사를 새롭게 쓰다 [생체 내 안정한 첫 유기 라디칼 개발] 라디칼은 화학변화가 일어날 때 분해되지 않고 다른 분자로 이동하는 원자의 무리로, 짝지어지지 않은 홀전자를 가진 원자나 분자를 말한다. 전자가 짝지어지지 않았기에 매우 불안정하여 반응성이 큰 특징이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유기 라디칼을 개발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라디칼은 생체 2021-06-1855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