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오승수 교수팀, 원하는 대로 척척… DNA·단백질도 3D 프린팅하는 시대 [오승수 교수팀, 세계 최초 3차원 나노 해상도 프린팅 핵심 기술 개발] 3D 프린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3D 프린터로 건축물을 만들기도 하고, 인공장기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미세 영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생체 고분자(DNA, 단백질, 효소)들은 각각 고유한 구조와 성질을 갖고 있어 이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과연 미 2023-03-2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200번 늘였다가 줄여도 끄떡 않는 배터리 – POSTECH-UNIST, 야누스 전극 이용해 연신성 아연-은 이차 전지 개발 – 하나의 전극에 양극과 음극이 공존…고무줄 같은 배터리 실현 가능성 열어 이제는 IT 기술을 몸에 착용하는 시대가 왔다. 통화, 문자를 송수신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에서부터 운동량이나 심박수를 측정해주는 바이오 센서, 약물이나 호르몬을 조절해 2020-09-10795 연구성과 신소재 이동화 교수팀, “태양이 싫어” 햇빛 알아서 피하는 똑똑한 창문 나온다 [신개념 스마트 윈도우용 신소재 개발] 햇볕이 쨍하게 내리쬐는 날에는 유리창이 어두워지고, 흐린 날에는 알아서 밝아지는 창문이 있다면 어떨까. 커튼이나 블라인드도 필요 없고, 조명을 따로 조절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런 ‘똑똑한 창문’은 꾸준하게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 사용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2020-09-09721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 ‘빛의 연금술’ 총설 논문 잇단 발표 [새로운 광학 ‘위상광학’ 연구‧카이랄분자 광특성 이해 논문으로 주목] ‘빛’은 우리 눈에 들어와 사물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존재다. 다양한 학문이 빛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빛의 성질을 응용해 지금까지 우리가 생각하지 못했던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빛의 모든 성질을 무시하는 ‘투명망토’ 물질로도 불리는 인공소재 메타물질 연 2020-09-08484 연구성과 화공 노용영 교수팀, 투명 잉크로 투명 디스플레이 실현되나? [고성능 P형 반도체·트랜지스터 개발] 미국드라마 <히어로즈>나 영화 <아바타> 등에서 등장한 투명한 모니터, 투명한 휴대폰, 아침마다 날씨 정보를 보여주는 스마트 창문 등 투명한 전자회로와 투명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은 점차 커지고 있다. 그간 낮은 성능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던 투명 P형 반도체*1 소재가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2020-09-0373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전자 정윤영 교수 공동연구팀, 뇌구조 모방한 전자소자로 “팔색조 컬러” 구현 [구조색 가변형 컬러필터 개발] 구조색 기술은 염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색이 바래지 않고, 외부의 강한 광원 없이 저전력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는 미래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색 기술의 단점은 소자를 한 번 제작하고 나면, 그 특성을 바꿀 수가 없어서 재현할 수 있는 색이 고정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 POSTECH 연구 2020-09-01512 연구성과 생명 이유정-김상욱 교수 공동연구팀, 선천성 T 세포의 아형 및 발달경로 규명 [항원 만나기 전 기억세포로 분화…새로운 면역세포 치료법 개발 실마리] 이전에 겪었던 병원균을 기억하고, 재차 이 병원균에 노출시 빠르고 강하게 반응하도록 돕는 기억세포. 그런데 병원균을 만나지 않고도 기억세포를 미리 만드는 강력한 면역세포의 발생과정이 밝혀졌다. 폐, 장, 피부 등 병원균과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서 생체방어를 담당하는 이 세포의 2020-09-011,256 연구성과 POSTECH, 융합연구로 과학 패러다임을 바꾸다 [기계공학과 조동우·창의IT융합공학과 장진아·생명과학과 신근유·창의IT융합공학과 정성준 교수, 바이오프린팅 및 오가노이드 연구로 세계를 선도하다] 인공장기 개발을 향한 노력은 1970년대 줄기세포 연구로부터 시작돼 2000년대 3D 프린팅기술과 만나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탄생시키며 본격적인 가속화에 접어들었다. 3D 바이오프린팅은 살아 2020-08-312,878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이산화탄소도 재활용한다 [이산화탄소 재활용하는 구리 합금 촉매 개발] 산업 현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매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전 지구적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15년부터 탄소배출권 거래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정부에서 제안한 2030년 온실가스 감축 시장 규모가 약 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 2020-08-261,086 연구성과 화학 김경환 교수팀, 빛이 밝힌 가벼운 물과 무거운 물 [POSTECH-스웨덴 공동연구팀, 4세대 가속기로 본 물 분자의 구조동역학 분석] 태양계의 여러 행성 중에 지구는 물이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 우주에서 지구를 바라볼 때 푸른색을 띠는 것도 바로 이 물 때문이다. 물은 자연 상태에서 액체, 고체, 기체 상태로 존재하며 다양한 생명, 화학, 물리 현상의 근원이 된다. 한없이 투명해 보이는 이 물은 사실 액체 2020-08-25941 연구성과 화학 이인수 교수팀, ‘샌드위치’ 촉매로 더 많이, 더 오래 [수소 발생 촉진하는 나노 다공성 백금 겹 촉매 개발] 18세기 귀족들이 오랜 시간 동안 카드 게임에 열중하기 위해 빵과 빵 사이에 고기나 채소를 넣어 간편하고, 빠르게 먹을 수 있도록 만든 음식이 바로 ‘샌드위치’다. 이 효율적인 음식은 열량이나 영양도 뛰어나다. 화석연료의 대체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는 수소에너지를 얻는데도 이 샌드위치 방식이 뛰어나다는 2020-08-1973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