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눈으로 볼 수 없는 영역에서도…?” ‘메타’로 [노준석 연구팀, 가시광선-자외선 동시 사용 가능한 가변형 메타 홀로그램 구현] ‘메타(meta)’란 ‘더 높은’, ‘초월하는’이라는 뜻으로 메타물질(meta-material)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도록 인위적으로 설계된 물질을 말한다. 메타물질로 만든 메타표면은 매우 가볍고 얇아 휴대용 AR · VR기기에 접목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소재로 2023-06-05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 대한의용생체공학회 최우수 연구논문상 수상 IT융합공학과‧전자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43세)가 대한의용생체공학회(KOSOMBE)로부터 루트로닉 의공학상 최우수 연구논문상을 수상했다. 김철홍 교수 연구팀은 투명한 초음파 트랜스듀서(transducer)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초음파·광학 4중 융합 영상시스템을 구축했다. 그동안 초음파 영상을 얻는 기기인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불투명하게 제작돼 2021-12-14109 대학소식 신소재 김형섭 교수, 재료금속 분야 학회장 등에 잇달아 선임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 한국소성가공학회 회장]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58세)가 국내 재료·금속 분야를 대표하는 학회 회장 등에 잇달아 선임됐다. 김형섭 교수는 국내 재료·금속 분야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인 대한금속재료학회 부회장으로 선출돼 2년간 활동하는 것을 비롯, 소성가공 기술 학술단체인 한국소성가공학회 회장으로 선출돼 1년간 활동하게 된다. 임기 2021-12-13120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넘치지도 모자르지도 않게’…연료전지가 최적 성능 갖기 위한 조건은? [한정우 교수팀, 금속 첨가 비율 따라 달라지는 SOFC 성능 밝혀] [오염물질 배출 없이 수소에너지 활용하는 SOFC, 기후위기 극복 위한 대안으로 주목] 연료전지가 최적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도 ‘중용(中庸)’이 필요하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금속인 코발트(Co)의 첨가 비율에 따라 연료전지의 성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혔다. 향후 최적의 비율을 찾기만 2021-12-1213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잘 막는’ 보안 장치란 무엇일까…빛으로 보안 문제 잡는 POSTECH 연구팀이 답한다 [노준석 교수팀, 정보량·보안도에 따른 메타표면 시변각장치 집대성] [나노기술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 Chemical Reviews 표지논문·하이라이트 논문 선정 쾌거] 점차 교묘해지는 위·변조 문제를 ‘잘 막는’ 보안 장치란 무엇일까? 지금까지 없던 기술을 보안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졌지만, 성능을 측정하는 별다른 기준이 없어 강점을 2021-12-09124 연구성과 IT융합‧전자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몸속 깊은 곳 고통 없이 들여다보자 [김철홍 교수팀, 계면활성제 제거된 반도체 고분자 이용한 광음향 영상법 개발] 빛을 이용해 몸속 깊은 곳을 고통 없이 들여다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레이저를 생체 조직에 쬐었을 때 생기는 초음파를 이용해 몸속을 볼 수 있게 하는 광음향 영상은 고통을 주지 않는 영상 장비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 광음향 영상으로 생체의 심부(深部) 조직까지 보기는 2021-12-08113 대학소식 창원한마음병원, “의사과학자 양성 힘써달라” POSTECH에 100억원 발전기금 약정 [하충식 이사장 “국민과 인류 건강증진 공동목표 달성 노력해달라”] 창원한마음병원이 의사과학자 양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 POSTECH에 발전기금 100억원을 쾌척한다. 최근 하충식 창원한마음병원 이사장과 김무환 총장은 그랜드 머큐어 앰배서더 창원에서 두 기관 관계자들이 배석한 가운데 발전기금 기부 약정식을 가졌다. 이 발전기금은 2023년 개원을 예정한 P 2021-12-06119 대학소식 인공지능·컴공·IT융합 한욱신 교수, 빅데이터 분야 최고 권위의 VLDB 국제학술재단 이사 선출 인공지능대학원·컴퓨터공학과·IT융합공학과 한욱신 교수(49세)가 빅데이터 분야 최고 권위의 VLDB(Very Large Data Bases) 국제학술재단 이사(Trustee)로 최근 선출됐다. 한욱신 교수는 2001년 KAIST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KAIST, 경북대학교 등을 거쳐 2013년 POSTECH에 처음 부임했다. 작년 9월에는 POSTECH의 2021-12-06355 대학소식 故 박태준 POSTECH 설립이사장 서거10주기 추모 심포지엄 개최 [3일 서울 포스코센터…영원한 울림, Spirit for the Future 주제 사회 발전방향 논의] POSTECH은 3일 오후 2시부터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포스코와 POSTECH 설립자인 청암 박태준 회장의 서거 10주기를 추모하는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12월 13일은 청암 박태준 회장이 서거한지 10주기가 되는 날로, 기업가로서 잘 알려진 그는 ‘제철 2021-12-02113 대학소식 이길호·정대성·홍원빈 교수, 한림원 ‘Y-KAST’ 회원 선정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 화학공학과 정대성 교수, 전자전기공학과 홍원빈 교수가 2022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KAST) 회원으로 선정됐다. 먼저,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는 POSTECH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토폴로지물질연구센터와 하버드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17년 7월 POSTECH에 부임했다. 이 교수는 그래핀, 초전도, 위상물질 등을 기반으로 2021-12-02122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이종 나노섬유 매트로 ‘펄떡펄떡’ 뛰는 인공 심장 근육 패치 개발 [김동성 교수팀, 아주 얇은 두께의 이종 나노섬유 매트 이용해 심장 근육 패치 개발] 끊임없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혈액을 전신으로 공급하는 심장은 심근의 3차원 이방성 구조를 통해 공간을 ‘쥐어짜는‘ 수축 기능을 구현한다. 이러한 심장의 쥐어짜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3차원 심근조직을 모사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그 복잡성으로 인해 인공적으로 3차원 심근 2021-11-2412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