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 기술경영혁신 최고경영자과정(PAMTIP), 재학생들을 위해 ‘천원의 아침밥’ 후원 기술경영혁신 최고경영자과정(PAMTIP) 43기, 45기, 46기 졸업생들이 ‘천원의 아침밥’ 사업을 위해 후원금 각 1천만원을 전달했다. ‘천원의 아침밥’은 정부와 대학이 재원을 분담하여 학생들에게 아침 식사를 단돈 천 원에 제공하는 사업으로 그 규모가 정해져 있어 모든 학생들에게 넉넉히 지원하는 데 한계가 있다. POSTECH은 이번 후원을 통해 연간 2023-05-3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위(胃)에 ‘쏙’ 들어가서 ‘쑥’ 빠지는 경구 약물 전달용 모터 나왔다 [한세광 교수팀, 헬리코박터균 모사 마이크로모터 개발] 국내 연구팀이 위점막을 통과해 24시간 이상 위에 머물면서 약물을 전달한 후 완전히 몸 밖으로 배출되는 마이크로모터를 개발했다. 위점막과 점액 사이에서 기생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효과적으로 위점막을 통과하는 특성이 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최현식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2021-11-1016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커피 증발하는 원리로 눈 ‘번쩍’ 뜨이는 반도체 입자 만든다 [노준석·조항진 교수팀, 커피링 효과 이용해 기존 소재 대비 20배 밝은 퀀텀닷 배열법 개발] 흘린 커피를 바로 닦아내지 않으면 커피 자국의 가장자리가 다른 부분보다 진하게 남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커피링 효과(coffee ring effect)라고 한다. 연구팀은 이같은 원리를 이용해 아주 작은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퀀텀닷, quantum dot 2021-11-09144 연구성과 전자·IT융합 김철홍 교수팀, AI가 내 몸 영상 바로잡아 선명도 높인다 [김철홍 교수팀, AI 이용해 음속 차이로 인한 광음향 영상 왜곡 제거 기술 개발] 몸 안에 퍼지는 음파의 속도(음속)를 정확히 알수록 선명한 초음파나 광음향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음속은 사람마다 다를뿐더러 한 사람의 몸속에서도 근육, 뼈, 지방 등 서로 다른 음속을 가진 성분이 임의로 분포돼 있어 정확하게 예측하기 더욱 어렵다. 최근 국내 연구팀은 2021-11-08103 대학소식 신근유·국종성·노준석·유환조 교수, 국가 우수연구성과 100선 선정 신근유, 국종성, 노준석, 유환조 교수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발표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 100선’에 뽑혔다. 생명·해양 분야에서 과기부 부처의 최우수성과 연구자로 선정된 생명과학과 신근유 교수는 인체 장기를 재현한 조립형 미니 장기 ‘어셈블로이드’를 개발해 조직 재생과 암 발생 기작을 규명했다. 환경공학부·수학과 국종성 교수는 순수기초·인프라 2021-11-04154 대학소식 산업은행, 포스코‧포스텍과 함께 친환경‧미래산업에 2,000억 투자 [산-학-금융 협업으로, 대한민국을 미래로 연결하는 스타트업 발굴] [2050 탄소중립 실현, 혁신벤처를 통한 지역경제 도약에 기여] 산업은행은 포스코, 포스텍과 11월 4일 친환경·미래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산업은행 장병돈 부행장, 포스코 정창화 신성장부문장, 포스텍 김무환 총장이 참석한 가운데, 포항 체인지 2021-11-04110 대학소식 삼성SDI, 포스텍과 배터리 인재 육성에 손 모아 [맞춤형 교육 통해 배터리 소재, 셀, 시스템 전문 인력 양성 주력] [이차전지 분야 관련 주요 6개 학과 25명 이상의 교수 참여] [2022학년도부터 2031학년도까지 총 100명 이상의 삼성SDI 장학생 선발] 삼성SDI가 포항공과대학교와 함께 배터리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을 맺었다. 삼성SDI는 3일 포스텍과 함께 ‘포스텍-삼성SDI 2021-11-04195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지진에 대한 관심도 ‘부익부 빈익빈’, 빅데이터가 말한다 [감종훈·김진희·서영주 교수, 국제적 지진 관심도 분석] [사망자 多 10개 지진 중 개발도상국 발생 7개는 관심도 낮아] 2010년 아이티 대지진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중 국제 사회로부터 더 많은 관심을 받은 지진은 무엇일까? 빅데이터가 그 답을 제시했다. 흔히 피해가 클수록 관심도 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지진 발생 국가의 소득 수준에 따 2021-11-04122 대학소식 철강·에너지소재 강윤배 교수, 대한금속재료학회 ‘윤동석 상’ 수상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강윤배 교수(45)가 최근 대한금속재료학회로부터 윤동석 상을 수상했다. 강윤배 교수는 POSTECH에서 신소재공학과 박사 학위를 받고 캐나다의 에콜 폴리테크니크 대학을 거쳐, 2009년 POSTECH에 처음 부임했다. 이후 포스코 기술연구원 방문연구원, 에콜 폴리테크니크 대학 초빙교수 등을 지냈다. 철강과 금속의 고온 공정 분야에서 활 2021-11-03113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코로나바이러스의 ‘색’,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노준석 교수, 가시광 전 영역에서 작동하는 수직형 하이퍼볼릭 메타물질 기반 음굴절 슈퍼렌즈 개발] [“초고해상도 컬러 이미징 가능” 장점] 코로나바이러스의 색깔은 무엇일까? 기존의 광학현미경으로는 바이러스와 세균을 높은 해상도의 색깔 있는 이미지로 보기 어렵다. 바이러스와 세균을 실감 나게 보기 위해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만 후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2021-11-02127 연구성과 화학 박준원 교수, 피 한 방울로 암 조기진단이 눈앞에 [박준원 교수 “유전자 증폭 없이 변이유전자 검출 가능”] 혈액에서 암 유전자를 검출하는 액체생검(liquid biopsy)은 조직을 채취하는 생검(biopsy)에 비해 편할 뿐 아니라, 조직이 전체를 대표하지 못해 나타나는 문제가 없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현재는 적은 수의 암 유발 변이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해 액체생검 시 유전자를 증폭하는 방법을 사용한 2021-11-0122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