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친환경/신소재 김형섭 교수, 인도공학한림원 외국인 석학회원 선정 친환경소재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가 최근 인도공학한림원(이하 INAE, India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외국인 석학회원(foreign fellow)으로 선정되었다. 김 교수는 고엔트로피 합금*1 연구를 통해 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합금을 개발했으며, 소성 변형과 금속 3D 프린팅, 그래핀 합성법 확 2023-12-0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팀, “나쁜 식용유는 이제 그만”…‘형광의 연금술’로 폐식용유 거른다 [장영태 교수팀, 형광물질 이용한 폐식용유 검출 센서 개발] [“누구나 쉽게 식용유 사용 시간 측정…모든 종류 식용유에 적용 가능”] 2010년 중국에서는 하수도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추출한 ‘쓰레기 식용유’가 대량으로 유통됐다는 사실이 밝혀지며 온 나라가 발칵 뒤집혔다. 실제로 우리가 먹는 식용유는 얼마나 깨끗할까? ‘형광의 연금술사’로 불리는 연구팀이 형 2022-04-27494 대학소식 수학 조성문 교수, 대한수학회 논문상 수상 수학과 조성문 교수(44)가 2022년도 대한수학회 논문상을 수상했다. 조성문 교수는 조-야마우치 공식(Cho-Yamauchi formula)과 이를 사용한 새로운 연구 접근 방법으로 정수론의 유명한 난제인 쿠들라(Kudla) 가설과 쿠들라-라포포트(Kudla-Rapoport) 가설 해결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나아가, 쿠들라 가설의 확장된 2022-04-26594 대학소식 화학과 장영태 교수, 대한화학회 학술상 수상 화학과 장영태 교수(54, IBS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 부단장)가 최근 대한화학회 유기화학분과회로부터 ‘심상철 학술상’을 수상했다. POSTECH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장영태 교수는 미국 뉴욕대, 싱가포르 국립대 교수를 거쳐 2017년 POSTECH에 부임했다. 형광 분자를 이용해 살아있는 세포를 구분하는 혁신적 연구 분야를 개척한 그는 유기화학 분야에 2022-04-21374 연구성과 화공 용기중 교수팀, “햇빛 비추면 수소가 펑펑”…고효율 광촉매 나왔다 [용기중 교수팀, 가시광선과 적외선 영역에서 모두 작동하는 광촉매 개발] [기존 Pt/TiO2 광촉매 대비 수소생산 효율 12배 높여] 식물이 햇빛을 받아 광합성을 하듯, 햇빛을 받으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촉매를 광촉매라 한다. 그중에서도 우리 주변에서 풍부하게 있는 물을 분해해 수소를 만들어내는 광촉매는 수소경제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손꼽힌다. 최 2022-04-19708 대학소식 철강·에너지 이종수 교수-KTL, 수소에너지 핵심기술 ISO 국제표준 제정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이종수 교수가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과 공동으로 수소에너지 핵심기술 중 하나인 소재의 수소취성 안전성 평가에 관한 국제표준을 2건 제정했다. 두 건의 국제표준은 수소취성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고압 시험, 전기화학적 시험, 염수분무 시험 등 종합적인 수소취성 시험방법의 표준이다. 이는 수소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할 때 사용되는 재료의 2022-04-18277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엎친 데 덮친’ 폭염 잇따른 기록적 장마, 온실가스가 주범! [민승기 교수팀, 2020년 폭염·호우 연속 발생에 미치는 지구 온난화 영향 분석] [“온실가스 증가로 폭염·호우 복합 극한현상 일어날 가능성 커져”] 짧은 봄이 지나고 나면 어느새 찌는 듯한 더위와 함께, 한동안 비가 쏟아지는 여름이 온다. 특히나 최근 몇 년은 우리나라 기상 관측상 최악의 폭염과 끝나지 않는 장마가 번갈아 나타나며 다가오는 여름을 더욱 2022-04-18283 연구성과 화공 노용영 교수팀, “다 비켜!”…걸림돌 없이 전자 질주하는 트랜지스터 나왔다 [노용영 교수팀, 할로겐 음이온 혼합해 P형 트랜지스터 개발] [“문턱전압 0V 달성…성능 높으면서도 이력현상 없어”] 생활을 윤택하게 해주는 3대 가전 중 하나인 로봇청소기는 편리하기는 하지만 방 문턱이 큰 장애물 중 하나다. 신나게 돌아가다가도 그다지 높지 않은 문턱에도 걸리기 때문이다. 전류가 흐르는 트랜지스터에도 이와 비슷한 문턱전압이 존재한다. 전 2022-04-13523 연구성과 물리 이종봉·전재형 교수팀, ‘구름다리’처럼 세포 잇는 통로 만들어지는 원리 밝혔다 [이종봉·전재형 교수팀, 세포 폐쇄형 터널링 나노관 형성 원리 규명] 산과 산 사이에 둥실 떠 있는 구름다리는 아슬아슬해 보이지만 사람들이 안전하게 산을 건너갈 수 있도록 돕는다. 우리 몸속에도 이처럼 멀리 떨어져 있는 세포와 세포를 연결하는 아주 작은 통로가 있다. ‘세포 터널링 나노관’이 그것이다. 생명 현상에 필수적인 칼슘부터 해로운 바이러스까지 다양 2022-04-1272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투명망토’ 소재로 카이랄 물질 신호 ‘쑥’ 높인다 [POSTECH·서울대·독일 파더본대 공동연구팀, 인공 카이랄 메타물질 통해 비선형 신호 증대] [카이랄 물질 신호 증폭해 거울 대칭성 활용 가능성 높여] 왼손을 거울에 비추면 오른손처럼 보이지만 왼손용 고무장갑을 오른손에 낄 수는 없다. 이처럼 어떤 물체와 그 물체의 거울 이미지가 겹치지 않는 성질을 카이랄리티(Chirality, 거울 대칭성)라고 한다. 2022-04-11572 연구성과 기계 김기현 교수팀, 결막 술잔세포, 손상부터 회복까지 영상 추적한다 [POSTECH‧서울대병원‧을지대병원 공동연구팀, 살아있는 토끼 눈에서 비침습 결막 술잔세포 검사 성공] 국내 연구진이 사람과 비슷한 토끼의 결막 술잔세포를 영상으로 검사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안구건조증 토끼 모델에서 손상부터 회복까지를 추적한 이 연구성과는 향후 사람의 안구건조증 진단‧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통합과정 김 2022-04-0749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