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눈으로 볼 수 없는 영역에서도…?” ‘메타’로 [노준석 연구팀, 가시광선-자외선 동시 사용 가능한 가변형 메타 홀로그램 구현] ‘메타(meta)’란 ‘더 높은’, ‘초월하는’이라는 뜻으로 메타물질(meta-material)은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도록 인위적으로 설계된 물질을 말한다. 메타물질로 만든 메타표면은 매우 가볍고 얇아 휴대용 AR · VR기기에 접목하여 홀로그램을 구현할 소재로 2023-06-05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자연의 색 그대로 담는 퀀텀닷 비밀 풀렸다 – POSTECH-연세대 공동 연구팀, QLED TV소재 친환경 양자점 생성 원리 밝혀 – 초미세 나노결정 진화 거듭할수록 양자점 구조에 가까워져 최근 자연의 색을 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로 QLED가 주목받고 있다. QLED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크기와 전압에 따라 스스로 다양한 빛을 내는 수나노미터(1나노미터=10 2020-06-241,143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방광 질환 치료하는 ‘나노모터’ [생체효소-도파민고분자 나노모터 개발] 체내에 장치를 삽입하여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막는 장치 삽입술은 피임이나 당뇨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생체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병을 치료하는 나노로봇은 가능할까?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방광 속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나노모터를 개발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최현식 박사 연구팀은 인체 2020-06-18951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나노섬유 마스크’ 알코올 뿌리기만 해도 여러 번 사용 가능하다 [POSTECH – 일본 신슈대학교 공동연구팀, 나노섬유 필터와 멜트블로운 필터의 에탄올 세정에 따른 여과 성능 평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다. 이제 마스크는 비말(침방울)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호흡기를 일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필수 개인 위생품이 됐다. 마스크, 한 번 쓰고 버리기에는 2020-06-171,417 연구성과 환경 홍석봉 교수팀, 이산화탄소 골라 먹는 값싼 제올라이트 합성 – 새로운 고효율 CO2 흡착제 개발 – 경제적이고 높은 선택도를 갖는 ‘이산화탄소 제올라이트 흡착제’ 합성 발전소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로 쓰이던 제올라이트는 ‘이산화탄소를 먹는 하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제올라이트를 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싼 비용이 걸림돌이 됐는데, 최 2020-06-152,036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강철의 연금술’ 2000% 늘어나는 합금 설계 – 고강도 초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 다상 헤테로구조 합금 개발로 가용비용 줄이고 부가가치 10배 올린다 연금술은 납이나 구리 같은 값이 싼 금속을 금이나 은으로 만들려고 했던 전근대 화학술을 말한다. 결국 연금술사의 시도가 모두 실패함으로써 부자로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나 이룰 수 없는 허황된 꿈을 대신하는 말이 됐다. 최근 2020-06-11960 연구성과 기계 김기현 교수팀, 우연한 발견,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 [ASCRS에서 ‘Best of Best’ 선정] 뢴트겐은 캄캄한 실험실 안에서 음극선 실험을 하다 우연히 아내의 손을 찍었는데 검판에는 반지를 낀 아내의 손가락뼈가 보였다. 최초의 X선 발견은 이렇게 우연한 계기로 이뤄졌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 김성한, 이중빈 2020-06-10826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나노다공성 막, 원하는 형태로 미세 장치에 손쉽게 제작한다 – ‘3차원 나노 유체역학 장치’ 실현 –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 분야에 고효율·대용량 장치 개발 가능성 제시 POSTECH 연구팀이 미세유체 장치에 원하는 형상과 두께의 나노다공성 막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의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적용되는 나노 유체역학 장치의 제작 공정 2020-06-08858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더 강하고 더 다루기 쉬운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단상 균질구조에서 벗어난 다상 헤테로구조 합금 개발] 더 강하면서 잘 늘어나는 합금을 향한 산업현장의 끝없는 고민에 답이 될 수 있을까. 합금계의 이단아, 고엔트로피 합금을 만드는 새로운 설계방식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팀이 고강도·고연성·고가공성의 고엔트로피 합금을 개발했다. 고엔트로피 합금은 주된 금속에 보조원소를 더하 2020-06-021,115 연구성과 POSTECH-연세대 공동연구팀, 태양광을 활용한 과산화수소 생산용 고효율·고내구성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 태양광을 이용, 물과 산소에서 동시에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는 광전기화학전지 개발 – 세계적인 학술지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IF: 33.250) 표지논문으로 선정 POSTECH과 연세대학교가 개방·공유 Campus 협력 사업을 통한 공동연구를 기반으로 친환경적인 과산화수소(H₂O₂) 생산용 고 2020-06-021,327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오는 날 스스로 밝아지는 ‘스마트 윈도’ 구현한다 –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자가발전 가능한 색변화 습도센서개발 – 스마트 윈도우, 헬스 케어, 안전 관리 등 다양한 분야 응용 가능 햇빛의 강도에 따라 자동으로 창문의 색이 변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는 여름철 가시광선 투과를 차단하여 냉방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20-05-2782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