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암 조직에 달라붙는 스프레이형 나노항암제 [생체접착 나노입자의 간편한 스프레이 분사만으로 항암치료효과 극대화] 화공 차형준 교수팀은 홍합접착단백질을 기반으로 하는 생체접착 나노입자를 스프레이형 제제로 적용, 원하는 부위에만 약물을 전달하여 항암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암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 후에 약물치료를 진행하지만, 약물의 전신적 투여로 인한 2018-09-211,020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김동성 공동연구팀, 인간의 근육 모방한 체외 인공근육 재생 기술 개발 [기존보다 2배 유사한 인공 근육 개발 성공] 근육 질병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 세계에서 동물을 상대로 실험하고 있지만 윤리적인 논쟁과 효과에 대한 의문은 늘 따라다니고 있다. 루게릭병과 같은 근육관련 질병의 경우 동물 실험에서는 성공적이었지만 인간에겐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아 대체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이 시급하다. 기계공학과 조동우·김동성 교수, 2018-09-17887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빛으로 2차원 반도체 전도도 10만 배 높여 [레이저로 원자두께 반도체 도핑 성공…단일 집적회로 구현도]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기초과학연구원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염한웅) 부연구단장)은 2차원 반도체에 빛을 쪼이면 스스로 도핑*1이 되는‘레이저 도핑’기술을 개발했다. 수 초간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만으로 도핑을 할 수 있어 쉽고 경제적인 기술로, 연구진은 2차원 반도체 단일 집적 회로* 2018-09-17825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세계 최초로 화약 노화 원인과 막을 방법 찾았다 [화약 노화 기작 및 안정성 화학적 차원에서 연구] 2016년 울산의 한 군부대에서는 오래돼서 폐기해야 하는 화약 5kg을 부대원들이 한 곳에 모아두는 일이 발생했다. 알 수 없는 점화원과 접촉하자 화약이 폭발했고 근처에 있던 병사 20여 명이 다치는 일이 발생했다. 우리나라 국방비의 많은 부분이 노후로 성능이 떨어진 화약과 같은 무기를 폐기하거나 관리 하 2018-09-03933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팀, 약물이나 기능성 물질 넣는 미세입자 캡슐, 미세유체기술로 정교하게 대량생산 가능 [액적기반 미세유체기술 총설 게재한 리뷰논문 발표] 미세유체공학이란 100만분의 1m라는 마이크로미터(㎛) 속 작은 세상에서 움직이는 유체(流體, fluid)의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여기에 약물이나 고부가 가치 기능성 생체물질을 넣는 미세입자 담지(캡슐화) 기술이 더해지면 체내 약물을 전달하고 인공세포를 만드는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 가능한 바이오 기 2018-08-231,045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연료전지 상용화 걸림돌, 전기 만들 때 새어 나오는 골칫거리 스트론튬 잡았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효율 높일 7가지 방법 공개] 올여름 폭염으로 전기 사용량이 급증하고,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일상 속 전자 기기 사용이 폭발적으로 늘면서 다양한 연료를 사용해 바로 전기로 전환 할 수 있는 연료전지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극과 전해질이 모두 고체로 이루어져 안정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수소뿐만 아니라 가스와 2018-08-201,034 연구성과 POSTECH 출신 조원기박사, 유전자 발현 키 쥐고 있는 단백질 관찰 성공 [유전자 가위 기술과 광학현미경으로 메디에이터 단백질과 RNA 중합 효소Ⅱ 단백질 관찰] 암이나 유전병 등 고치기 힘든 난치병을 치료하기 위해선 유전자 발현 과정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살아있는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 관련 단백질들을 직접 관찰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숙제기도 하다. POSTECH 출신 물리학자가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광학현미 2018-08-081,531 연구성과 철강 권세균 교수팀, 고엔트로피 합금의 금속소성이론 개발 [기가스틸 뛰어넘는 강하고 유연한 금속재료 가능] 북극항로를 이용하는 배나 깊은 바닷속 석유시추와 같은 해양플랜트에 사용되는 철강은 극한 저온과 충격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추위에 매우 강해야 한다. 특히 강하면서도 부러지지 않고 압력을 받으면 부드럽게 휘어져야 부서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기가스틸을 뛰어넘을 만큼 강하면서 유연한 합금개발이 POSTECH 2018-07-261,198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레이저를 비추면 정보가 드러나는 보안 디스플레이 개발 [일반 조명에선 반사 디스플레이, 레이저 비추면 홀로그램] 한 장의 도화지에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하지만 레이저를 비추면 그림과 전혀 다른 홀로그램이 그 뒤에 나타난다. 다시 레이저를 끄면 원래의 보통 그림으로 돌아오는데, 아무런 표시가 없기 때문에 홀로그램이 내장돼 있는지 육안으론 전혀 알 수 없다. 이 기술을 명품이나 지폐에 2018-07-16985 연구성과 융합생명 김경태 교수, 신약재창출 기술로 대사성 질환 치료 효과 입증 [말라리아약이 당뇨병과 비만 치료제로?!] 70년 전에 개발된 말라리아약이 당뇨병과 비만을 치료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당뇨병과 말라리아는 병의 원인이 서로 다르지만, 말라리아 약이었던 아모디아퀸(amodiaquine)이 당뇨, 비만과 같은 대사성 질환에도 효과가 있음이 신약재창출 기술을 통해 증명됐다. 이런 신약재창출 기술은 협심증 치료제였 2018-07-1097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