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이승철 교수팀, 물리식 접한 AI, 배터리 용량 예측 향상시킨다 [POSTECH·한양대 공동연구팀, AI에 물리 지식 더해 배터리 용량 예측 성능 최대 20% 높여] 자가용과 버스, 택시에 이르기까지, 최근 도로에서는 전기자동차를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전기자동차는 친환경적이면서 유지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배터리가 방전된다거나 수명이 다 되면 치명적인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전기자동차에 2022-05-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 ‘북극의 눈물’이 동아시아 꽁꽁 얼린다 [POSTECH·취리히대학 공동연구팀, 북극 온난화와 동아시아 한랭 피해 연관성 분석] [“동아시아 식물 이산화탄소 흡수 감소·개화 지연 등 생태계 영향] 입춘을 훌쩍 넘긴 지금까지도 전국에 영하 15℃를 밑도는 강추위가 찾아오고 있다. 이처럼 동아시아에 때아닌 한파가 닥친 이유가 역설적으로 수천킬로미터(km) 밖에 있는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 2022-02-28174 연구성과 신소재·IT융합 정성준 교수팀, ‘머리카락보다 얇은’ 패치로 맥파 잴 수 있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잉크젯 인쇄 기술 이용해 맥파 신호 센서 패치 개발] 맥파는 심장 박동에 의한 혈액의 흐름이 몸에 전달되는 파동으로, 심혈관 건강 상태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생체 신호다. 맥파 신호를 분석하면 고혈압, 동맥 경화 등 각종 심혈관 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맥파 측정 기기는 사용 시 혈압을 잴 때 쓰는 커프 2022-02-27284 연구성과 물리 김윤호 교수팀, ‘작고 연약한’ 양자,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김윤호 교수팀, 양자얽힘 없이 하이젠베르크 한계 도달하는 약한 값 증폭 방법 발견] 슈퍼컴퓨터 이상의 컴퓨터로 불리는 양자컴퓨터, 원천적으로 해킹이 불가능한 양자통신 등 대부분의 양자정보기술은 양자얽힘*1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얽힘은 아주 작은 미시 세계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측정하기만 해도 충격을 받는 ‘연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022-02-24326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빛나는 렌즈’로 당뇨성 망막 병증 막는다 [한세광 교수팀, “렌즈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안질환 예방”] 평생 관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여러 합병증을 불러일으키는 당뇨병은 현대인이 가장 경계해야 할 질병 중 하나다. 당뇨병을 오래 앓을수록 망막 병증이 생길 위험성도 높아지는데, 이 경우 시력이 점차 낮아지고 심하면 실명까지도 이를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망막 병증을 LED 콘택트렌즈로 예방 및 조 2022-02-23240 연구성과 물리 김태환 교수, 딱정벌레 구별 원리로 꿈의 솔리톤 소자 길 연다 [POSTECH‧한양대‧獨 율리히연구소, 준1차원 전하밀도파 나선상 적층배열의 원편광 이색성 발견] 세계 각지에서 볼 수 있는 딱정벌레는 외관으로 각 종류를 구별할 수 있기는 하지만, 더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딱정벌레의 외피를 편광*1을 이용해 살펴보는 방법을 이용한다. 원편광*2을 비추면 오른-편광과 왼-편광 아래에서의 외피의 빛깔이 서로 다르게 보 2022-02-2186 연구성과 신소재 정운룡 교수팀, 바로바로 ‘느끼는’ 전자 피부 나왔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스파이크 신호 발생형 인공 수용체 이용해 동적 감각 시스템 개발] [“실제 피부와 비슷하게 실시간 반응…구조 단순화 장점”] 우리는 손의 감각으로 물체를 잡고, 발의 감각으로 안정적으로 걸어 다닐 수 있다. 즉, 피부의 감각이 외부 환경이나 자극과 인체를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 기능이 떨어지면 2022-02-17276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 교수, ‘인플루엔자’ 막는 ‘손’ 단백질 찾았다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팀, “CIC 단백질이 바이러스 감염 조절하는 B-1세포 형성 억제해”] B세포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 발생과 밀접하게 관련된 면역세포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세포는 바이러스 감염을 막기 위해 항체를 만들어내지만, 과하게 많아지면 오히려 암을 자라나게 하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 2022-02-16162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철(Fe) 든’ 이중 원자 촉매로 이산화탄소 전환 효율 높인다 [POSTECH·포항가속기연구소 공동연구팀, 간단한 합성법으로 이중 원자 Fe 포함된 촉매 설계법 개발] [“단일 원자 촉매 전환 효율의 2.8배 달해”]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자원으로 바꾸는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꼭 필요한 기술이다. 다만 전기화학적 전환 과정에는 촉매가 사용되는데, 구조가 단순한 기존의 단일 원자 2022-02-15341 연구성과 기계 김준원 교수팀, 은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패터닝 하는 무용매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나왔다 [자외선 경화형 필름 이용해 용매 필요 없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개발] 자외선을 만나면 경화되는 필름을 이용해 투명전극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AgNW)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패터닝하는 기술이 나왔다. 단면 지름이 수십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미터)인 가늘고 긴 막대 형태의 은 나노와이어는 투명하면서도 전 2022-02-09382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위상물질로 메모리 소자 소비 전력 낮춘다 [이길호 교수팀, 위상물질·자석 합쳐 스핀 전류를 높은 효율로 발생시키는 구조 개발]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면서 자전하듯이, 전자도 원자핵 주위를 돌며 스스로 회전하는 것과 비슷한 성질을 가진다. 전자의 자전에 해당하는 ‘스핀’이란 성질을 이용해 자성 메모리 소자의 소비 전력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물리학과 이길호 교수·통합과정 신인섭 2022-02-08297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