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 진현규 교수팀, 폴리-양이온 산화물(PCO) 개발로 청정에너지원 ‘수소’ 쉽게 생산한다 [친환경 수소생산 가능성 제시] 수소자동차, 니켈-수소전지 등 수소는 최근 청정에너지원으로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소는 각종 연료물질 생산을 위한 원료로서도 매우 높은 부가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수소 생산량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스팀-메탄 개질 방법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물 2018-06-251,016 연구성과 창의IT 김철홍-신소재 한세광 교수 공동연구팀, 빛과 소리(광음향)로 간 질환 찾는다 [히알루론산 결합한 실리카 나노입자로 ‘간 ’촬영]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 간 질환 사망률 1위다. 일반적으로 간은 초음파 영상, 컴퓨터 단층 영상 (CT), 자기 공명 영상(MRI)로 진단하는데 최근에는 안전한 데다 저렴하고 초기 간 질환도 찾을 수 있는 광음향 영상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간은 광음향 영상 빛을 흡수하는 2018-06-15810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하이브리드’로 뻣뻣한 알루미나 주형(鑄型) 롤(roll)에 감았다 [다공성 알루미나 이용한 나노패턴 연속공정기술 개발] 스마트폰이나 웨어러블 기기에 들어가는 첨단 소자들에는 나노미터(nm)크기의 복잡한 패턴들이 새겨져 있다. 전자기기의 크기도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작아짐에 따라 소자들은 더욱 작으면서도 고도화된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어려운 도전에 봉착해 있다.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크기의 패턴을 만들어내기 위해 다양한 방 2018-06-14728 연구성과 화학 이은성 교수팀, 아세틸렌을 저렴하고 정확하게 분리하는 기술 개발 [3차원의 다공성 양이온 구조체 합성 성공] 아세틸렌은 산소와 혼합하여 용접에 사용되기도 하며, 합성섬유나 합성고무의 원료, 유기용매의 제조 등 공업적으로 용도가 다양한 물질이다. 하지만 다른 기체원료에 불순물로 존재할 때 아세틸렌은 폭발성이 매우 높고, 촉매활성을 저해시키기 때문에 아세틸렌 분리는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산화탄소와 에틸렌의 경우 분자의 크 2018-06-071,039 연구성과 생명 황일두 교수팀, 식물 생산성 높이는 에너지 분배 단백질 규명 [체관 수 조절로 생산성 대폭 늘려… 식량 부족 문제 해결 실마리 제시] 식물 체내의 에너지 이동 통로 숫자를 늘려서, 더 많은 열매를 맺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 생명과학과 황일두 교수, 조현우 박사, 박사과정 조현섭 씨는 식물 속 광합성 산물이 지나가는 체관*1 발달을 조절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식량부족 문제에 대응하여, 식물의 2018-06-07800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500회 충전해도 초기 성능 유지하는 이차전지 개발 [안정적 수명 지닌 리튬-황 이차전지 독보적 기술 확보] 화석연료로 움직이는 일반자동차와 달리 전기자동차는 이차전지가 전원을 공급해 모터를 움직이기 때문에 이차전지가 매우 중요하다. 짧은 시간에 충전이 되면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도 계속 초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차전기를 개발하는 일은 전기자동차 뿐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 전력의 안정적인 2018-05-281,000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무어의 법칙’ 넘어설 스핀-밸리 전류 찾았다 [POSTECH-美 UC버클리, 스핀-밸리 전류 시공간 분해 측정 성공…‘사이언스(Science)’ 지] 2년마다 마이크로칩의 성능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 처음 제안된 1965년에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1975년부터 비교적 최근까지 주기에 맞게 발전해오며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다. 하지만, 이를 제안했던 고 2018-05-251,221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화공 이진우 교수팀, 암 깊숙이 침투해 항암제 폭탄 투여하는 미사일 역할의 나노머신 개발 [나노입자 담긴 큰 나노입자 전략으로 암 공략] 항공모함에서 전투기를 발사하고, 전투기가 표적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해 명중시키듯 우리 몸속 암세포를 표적으로 깊숙이 파고들어 암 속에 항암제 폭탄을 투여하는 나노 머신이 개발돼 나노입자 항암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와 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는 김진환 박사, 조창신 박사와 함께 암조직 2018-05-231,065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정확한 질병 동물모델, 빅데이터‧유전자 스위치는 ‘알고 있다’ [질병 동물모델 정밀 제작 위한 유전자 스위치 진화원리 규명] 당뇨 치료제를 찾거나 우리 몸에 부작용이 없는 다이어트 방법을 찾을 때는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 쥐와 같은 동물의 유전자를 편집해 당뇨를 앓거나 비만인 동물, 즉 질병 동물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조작하더라도, 실제로 똑같이 병을 앓지 않는 경우가 많 2018-05-091,147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나노 아코디언으로 ‘투명망토’ 더 간단히 만든다 [블록공중합체 이용 메타물질 제작법 개발] 유명 판타지 소설 ‘해리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법 물품 중 하나인 ‘투명망토’는 오랜 시간 SF소설 속에나 등장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물질인 메타물질이 그 꿈을 이뤄줄 물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진 메타물질은 자기공명이나 음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등 독특한 2018-05-081,10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