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용기중 교수 공동연구팀, ‘연잎’과 ‘홍합’의 강력한 콜라보…몸속 의료 기구에 적용하면 혈전과 유착 방지 [복합적 생체모방을 통한 고내구성 초발수 표면 개발] 홍합 연구와 연잎 연구의 두 권위자가 만났다. 거센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에서 바위에 딱 붙어있는 홍합의 접착 단백질을 연구하는 차형준 교수와 폭우에도 젖지 않고 물방울을 또르르 흘려보내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잎을 연구하는 용기중 교수가 손을 잡고 몸속에 넣을 수 있는 초발수 표면(superhydrophob 2019-03-14646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이 분해하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제거 고체산화물 전해전지용 촉매 개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불리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은 지구촌의 큰 관심사다. 이산화탄소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도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 개발에 국내 연구팀이 2019-03-11812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버려지는 달걀 껍질·거미줄로 전기 만든다 [무독성·생분해 가능한 생체적합 나노발전소자 개발] 가정마다 냉장고 한쪽에 꼭 자리하고 있는 친근한 식자재인 달걀의 껍데기와 거센 바람과 폭우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탄력 좋은 거미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연구팀이 거미줄 섬유와 달걀껍질의 단백질을 이용해 친환경 압전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연구단 2019-03-11649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 공동연구팀,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새로운 형광물질 발견 [살아있는 조직에서 활성화대식세포만 선택적 염색…동물실험으로 효능 확인] 동맥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동맥경화는 나이가 들수록 발병하기 쉬운 질환이다. 최근에는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젊은 나이에 발생하거나, 증상이 없는 뇌혈관 동맥경화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정확한 진단이 치료와 예방에 중요하다는 의미다. 동맥경화 2019-03-08573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산호 닮은 실리콘으로 전기자동차 5배 빠르게 충전한다 [에너지 밀도와 출력 문제 모두 해결…고속 충전 가능한 전기자동차 상용화 기대]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용량을 높이면서도 더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신소재가 개발됐다. 새로 개발된 소재는 산호와 꼭 닮은 모양의 실리콘 소재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흑연 음극 소재를 대체할 수 있다. 화학과 박수진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김두철) 로드니 루오프(Ro 2019-03-06735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 공동연구팀, 엘니뇨·열대 대양의 상호작용, 엘니뇨 장기예측의 key [환경 국종성 교수·전남대 함유근 교수 등 전 세계 35명의 전문가 엘니뇨와 열대 대양간 상호작용 밝혀 엘니뇨 장기 예측과 기후 활동 예측] 열대 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는 엘니뇨가 발생하면 세계 곳곳에서 극심한 기상 이변이 일어난다. 엘니뇨는 가장 잘 알려지고 강력한 기후 변동 현상으로 폭염과 혹한, 가뭄과 홍수 등 전지구적으로 큰 피해를 불러 일으 2019-03-04565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리튬 금속 전지 폭발 문제점 잡고 안전성·성능 높여 상용화 앞당긴다 [리튬 금속 음극 단점 극복 가능한 복합 보호층 개발] 전기차의 가장 큰 과제는 배터리 성능이다. 한번 충전에 주행할 수 있는 거리를 대폭 늘일 수 있길 때문이다. 배터리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올리려는 방안에 대해 세계 각국이 고민 중인 가운데,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10배 이상 높지만, 폭발의 우려 때문에 상용화할 수 2019-02-221,068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들어갈 고강도 젤 전해질 개발 [POSTECH · 서울시립대 연구팀 별모양 블록공중합체 기반 차세대 전해질 제조] 팔에 태블릿을 휘감고 다니고 몸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황을 실시간 전달하는 모습, 이미 SF 영화 속에선 낯설지 않다. ‘PMC:더 벙커’ 등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유연한 플렉시블 디바이스나 옷이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작고 외형이 잘 변형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유연하지만 2019-02-18788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철과 니켈 합금으로 값싸고 성능 뛰어난 친환경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 만든다 [실현가능성 있는 저비용·고성능 니켈 합금 촉매 제안]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는 것이 주요 연구 주제로 대두되는 요즘,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Solid Oxide Electrolyzer Cell)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친환경적으로 합성 연료로 전환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수전해전지란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해두고 이를 필요할 때 연료로 다시 발전할 수 있 2019-02-1191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CB램, 질소 도핑으로 간단하게 성능 높여 [질소 도핑한 GST 물질 이용해 CB램 소자 제작] 의료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등의 손안의 기기가 늘어나면서 그 안에 들어가는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개발에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나서고 있다.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그대로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는 F램, Re램 등이 있는데 POSTECH 연구팀이 Re램의 일종인 CB램(CBRAM)의 2019-02-0774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