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용기중 교수팀, 수소 경제를 위한 그린 암모니아 생산, 황이 보여준 새로운 가능성 [용기중 교수팀, 친환경 · 고효율 암모니아 생산 공정 시대 열어] 겨울이 제철인 홍어의 톡 쏘는 맛과 향은 삭히는 과정에서 생기는 암모니아(NH3) 때문이다. 호불호가 갈리는 맛의 세계와 달리 산업계에서는 암모니아가 없어서는 안 될 존재다. 암모니아는 비료나 나일론 등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며, 수소 함량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친환경 수소 에너지 기술 분야 2023-12-0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POSTECH-KCC, 국내 최초 공장 폐열로 전기 만든다 – 무기단열재 생산 김천공장에서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만드는 열전발전 실증 실험 성공 –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연구팀의 ‘열전모듈 기반 에너지 회수기술’ 적용 – 산업 현장의 폐열 활용한 열전발전 가능성 확인,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주목 POSTECH과 KCC가 산학협력을 통해 공장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에 2020-07-02937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효과적으로 빛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포피린-풀러렌 4분자체 발견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살아가는데, 이는 잎에 있는 엽록소가 빛에너지를 흡수해 양분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식물의 광합성을 모방한 ‘인공광합성’ 기술은 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태양에너지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광합성을 모방해 빛을 양분으로 만드는 태양전지용 초분자체를 발견 2020-07-021,564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첨단재료 이동화 교수 공동연구팀, 차세대 메모리 위한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설계 [낮은 동작 전압, 고성능 저항변화메모리 ··· 차세대 정보저장매체 상용화 앞당긴다] 전 세계에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넷플릭스(Netflix)는 총 4,200만여 편의 영상물을 보유하고 있고, 가입자만 약 1억 6천만 명에 달한다. 30분짜리 시트콤 한 편을 내려받는데 단 몇 초면 되고, 방영 중인 드라마가 끝나고 15분 이내 다시보기가 2020-06-29937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팀, 자연의 색 그대로 담는 퀀텀닷 비밀 풀렸다 – POSTECH-연세대 공동 연구팀, QLED TV소재 친환경 양자점 생성 원리 밝혀 – 초미세 나노결정 진화 거듭할수록 양자점 구조에 가까워져 최근 자연의 색을 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중 하나로 QLED가 주목받고 있다. QLED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도 크기와 전압에 따라 스스로 다양한 빛을 내는 수나노미터(1나노미터=10 2020-06-241,233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방광 질환 치료하는 ‘나노모터’ [생체효소-도파민고분자 나노모터 개발] 체내에 장치를 삽입하여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거나 막는 장치 삽입술은 피임이나 당뇨 치료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렇다면 생체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병을 치료하는 나노로봇은 가능할까? 최근 POSTECH 연구팀이 방광 속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나노모터를 개발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최현식 박사 연구팀은 인체 2020-06-181,037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나노섬유 마스크’ 알코올 뿌리기만 해도 여러 번 사용 가능하다 [POSTECH – 일본 신슈대학교 공동연구팀, 나노섬유 필터와 멜트블로운 필터의 에탄올 세정에 따른 여과 성능 평가]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에 확산되고 있다. 이제 마스크는 비말(침방울)을 통해 공기 중으로 전파되는 바이러스나 세균으로부터 호흡기를 일차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필수 개인 위생품이 됐다. 마스크, 한 번 쓰고 버리기에는 2020-06-171,469 연구성과 환경 홍석봉 교수팀, 이산화탄소 골라 먹는 값싼 제올라이트 합성 – 새로운 고효율 CO2 흡착제 개발 – 경제적이고 높은 선택도를 갖는 ‘이산화탄소 제올라이트 흡착제’ 합성 발전소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는 흡착제로 쓰이던 제올라이트는 ‘이산화탄소를 먹는 하마’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제올라이트를 산업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비싼 비용이 걸림돌이 됐는데, 최 2020-06-152,230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강철의 연금술’ 2000% 늘어나는 합금 설계 – 고강도 초소성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 다상 헤테로구조 합금 개발로 가용비용 줄이고 부가가치 10배 올린다 연금술은 납이나 구리 같은 값이 싼 금속을 금이나 은으로 만들려고 했던 전근대 화학술을 말한다. 결국 연금술사의 시도가 모두 실패함으로써 부자로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이나 이룰 수 없는 허황된 꿈을 대신하는 말이 됐다. 최근 2020-06-111,038 연구성과 기계 김기현 교수팀, 우연한 발견,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 [ASCRS에서 ‘Best of Best’ 선정] 뢴트겐은 캄캄한 실험실 안에서 음극선 실험을 하다 우연히 아내의 손을 찍었는데 검판에는 반지를 낀 아내의 손가락뼈가 보였다. 최초의 X선 발견은 이렇게 우연한 계기로 이뤄졌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항생제가 결막술잔세포만 골라 염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기계공학과 김기현 교수, 김성한, 이중빈 2020-06-10872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나노다공성 막, 원하는 형태로 미세 장치에 손쉽게 제작한다 – ‘3차원 나노 유체역학 장치’ 실현 –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 분야에 고효율·대용량 장치 개발 가능성 제시 POSTECH 연구팀이 미세유체 장치에 원하는 형상과 두께의 나노다공성 막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했다. 이 방법에 따르면 에너지 수확, 담수화 등의 다양한 적용 분야에서 적용되는 나노 유체역학 장치의 제작 공정 2020-06-0891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