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생명 황일두 교수팀, 식물 생산성 높이는 에너지 분배 단백질 규명 [체관 수 조절로 생산성 대폭 늘려… 식량 부족 문제 해결 실마리 제시] 식물 체내의 에너지 이동 통로 숫자를 늘려서, 더 많은 열매를 맺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보고되었다. 생명과학과 황일두 교수, 조현우 박사, 박사과정 조현섭 씨는 식물 속 광합성 산물이 지나가는 체관*1 발달을 조절하는 과정을 규명했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식량부족 문제에 대응하여, 식물의 2018-06-07886 연구성과 화공 이진우 교수팀, 500회 충전해도 초기 성능 유지하는 이차전지 개발 [안정적 수명 지닌 리튬-황 이차전지 독보적 기술 확보] 화석연료로 움직이는 일반자동차와 달리 전기자동차는 이차전지가 전원을 공급해 모터를 움직이기 때문에 이차전지가 매우 중요하다. 짧은 시간에 충전이 되면서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시간이 지나도 계속 초기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차전기를 개발하는 일은 전기자동차 뿐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 전력의 안정적인 2018-05-281,072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무어의 법칙’ 넘어설 스핀-밸리 전류 찾았다 [POSTECH-美 UC버클리, 스핀-밸리 전류 시공간 분해 측정 성공…‘사이언스(Science)’ 지] 2년마다 마이크로칩의 성능이 두 배로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 처음 제안된 1965년에는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평가가 있었지만 1975년부터 비교적 최근까지 주기에 맞게 발전해오며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기준이 되어 왔다. 하지만, 이를 제안했던 고 2018-05-251,296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화공 이진우 교수팀, 암 깊숙이 침투해 항암제 폭탄 투여하는 미사일 역할의 나노머신 개발 [나노입자 담긴 큰 나노입자 전략으로 암 공략] 항공모함에서 전투기를 발사하고, 전투기가 표적을 향해 미사일을 발사해 명중시키듯 우리 몸속 암세포를 표적으로 깊숙이 파고들어 암 속에 항암제 폭탄을 투여하는 나노 머신이 개발돼 나노입자 항암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와 화학공학과 이진우 교수는 김진환 박사, 조창신 박사와 함께 암조직 2018-05-231,135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정확한 질병 동물모델, 빅데이터‧유전자 스위치는 ‘알고 있다’ [질병 동물모델 정밀 제작 위한 유전자 스위치 진화원리 규명] 당뇨 치료제를 찾거나 우리 몸에 부작용이 없는 다이어트 방법을 찾을 때는 어떤 방법을 사용할까? 쥐와 같은 동물의 유전자를 편집해 당뇨를 앓거나 비만인 동물, 즉 질병 동물모델을 만들어내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런데,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를 조작하더라도, 실제로 똑같이 병을 앓지 않는 경우가 많 2018-05-091,226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나노 아코디언으로 ‘투명망토’ 더 간단히 만든다 [블록공중합체 이용 메타물질 제작법 개발] 유명 판타지 소설 ‘해리포터’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법 물품 중 하나인 ‘투명망토’는 오랜 시간 SF소설 속에나 등장하는 존재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인공물질인 메타물질이 그 꿈을 이뤄줄 물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진 메타물질은 자기공명이나 음의 굴절률을 조절하는 등 독특한 2018-05-081,166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공동연구팀, 펩타이드를 이용한 거울 대칭 금 나노 기하구조 합성 [자연계에 존재하나 금속에서 인공적으로 구현할 수 없었던 구조 국제적 주목 받는 중요 연구성과로 <네이처> 표지논문에 선정 차세대 광학 재료 및 촉매 분야의 학문적 진보]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전자 김욱성 교수, 서울대학교 남기태 교수팀, LG디스플레이 연구소 장기석 박사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은 펩타이드를 이용하여 생체분자만의 고유 기하구조로 2018-04-192,644 연구성과 전자 홍원빈 교수팀, 소방관의 눈과 귀 되어줄 ‘통신헬멧’ 개발 [POSTECH-포항남부소방서 무전기 일체형 소방 헬멧 개발] 지난해 12월, 29명의 목숨을 앗아간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참사는 진압 현장에서 노후화된 무전기가 먹통이 되며 ‘골든타임’을 놓쳐 피해를 더 키운 것으로 지적됐다. 2층에 구조를 필요로 하는 사람이 많다는 정보가 무전기 고장으로 대원들에게 전달되지 않았던 것이다. 이처럼 화재나 재난 현장에서 2018-04-181,408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 단분자 관찰 플랫폼 개발 [단백질, RNA와 같은 복잡한 구조의 단분자 검출 · 분석 가능] 생로병사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세포를 분자 단위로 하나하나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수 나노미터(nm) 크기의 작은 세포 구조를 단분자로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는 기기를 개발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꿈이자 숙제다. 하지만 한데 뭉쳐있는 세포들 중에서 단분자 하나를 따로 검출하고 자 2018-03-281,251 연구성과 환경 홍석봉 교수팀, 거울로 대칭되는 한 쌍의 기본유닛들로 만들어진 독특한 구조의 제올라이트 합성 성공 [새로운 구조의 제올라이트 합성으로 다양하게 활용 전망] 제올라이트는 원유정제과정에서 휘발유 및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 생산을 위한 석유화학 촉매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주 작은 구멍이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배열된 나노구조체인 제올라이트는 촉매제뿐 아니라 이온 교환제, 분리제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핵심 소재다. 특히 이들 물질의 물리화학적 성질은 2018-03-1999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