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환경 민승기 교수 ‘세계기상의 날’ 국무총리 표창 수상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가 23일 열린 2021년 ‘세계기상의 날’ 기념식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행사를 주최한 기상청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 온도 상승이 기상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해양에 대한 더 나은 이해와 해양과 기후 및 기상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기 위해 ‘해양, 우리의 기후와 날씨’를 세계기상의 날 주제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념식에서는 2021-03-26392 대학소식 POSTECH 청암 10주기 추모행사 이어간다 POSTECH은 故 청암 박태준 설립이사장 서거 10주기를 맞아 고인의 삶과 정신을 기리는 추모 행사를 한 해 동안 이어가기로 했다. POSTECH 박태준미래전략연구소는 첫 번째 행사로 ‘팬데믹과 한국사회의 대전환’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미래변화 좌담회를 개최했다. 좌담회에는 이진우 교수(POSTECH 인문사회학부), 김병연 교수(서울대 경제학부), 장대익 2021-03-24377 대학소식 POSTECH, 2021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대구·경북 주관기관 선정 POSTECH이 ‘2021년 창업도약패키지 지원사업’ 대경(대구·경북) 지역 주관기관에 선정됐다.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주관 이 사업은 도약단계 혁신 창업기업의 매출 및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사업기간은 2+2년이며, 사업비는 연 70억 원 수준이다. 주관기관 선정 대상은 특화기술 및 인프라, 협업네트워크 등 지원역량을 갖춘 대학, 공공기관, 2021-03-23654 연구성과 신소재 정성준 교수-생명 유주연 교수 공동연구팀, 몸 밖에서 숨 쉬는 “인공 폐” 최초 개발 [인공 폐 모델 개발…호흡기 감염병 치료 플랫폼 활용 可] 한층 따뜻해진 기온과 봉우리를 띄우는 봄꽃으로 봄기운이 느껴진다. 하지만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때문에 호흡기 질환에 대한 걱정도 많아지고 있다. 호흡에 관여하는 폐는 복잡한 구조와 얇은 두께 때문에 실험용 인공 폐를 만들기 어려웠으나,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 2021-03-22817 연구성과 화학 김덕영 교수-심지훈 교수팀, 지구 깊숙한 곳에는 양성자 강이 흐른다 [POSTECH-HPSTAR 연구팀, 지구 하부 맨틀 조건에서 철 수산화물의 초이온 상태 확인] 해왕성이나 천왕성 같은 얼음 행성들의 깊은 내부는 고온과 고압의 상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얼음은 초이온 상태로 고체 구조의 산소 원자들 사이를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양성자로 구성되어, 행성 내부의 구조와 자기장의 형성에 영향을 준다.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 2021-03-17811 연구성과 포항가속기연구소, 미시세계 탐험할, 세상에서 가장 밝은 빛 “밝혔다”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소장 고인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선형)의 셀프시딩(Self-Seeding) 시스템을 개발하여 인류 사상 최고 밝기의 빛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이는 광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3월 15일자(현지시간)로 게재됐다. 포항가속기연구소의 4세대 방사광가속기(이후 PAL-XFEL)는 2021-03-16752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장기에 생긴 구멍, 홍합으로 메운다 [POSTECH-고려대 공동연구팀, 홍합수중접착제 활용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 제시] 최근 국내 연구팀이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소변에 노출된 상황에서도 장기에 생긴 누공(瘻孔)을 효과적으로 꿰맬 수 있는 혁신적인 방광 누공 치료기술을 개발했다.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김효정 박사(현, 한국화학연구원), 박태윤 박사 연구팀은 고려대 안암병원 비뇨의학 2021-03-15901 연구성과 화학 심지훈 교수팀, “인공지능(AI) 연금술”을 향하여 [확장가능 인자로 무작위 다원소 합금 결정구조 예측] 납이나 구리 같은 값싼 금속을 금으로 만들려고 했던 연금술은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근현대에 들어 으뜸이 되는 원소에 두세 가지의 보조 원소들을 섞는 합금이 개발되면서 현대판 연금술은 고엔트로피 합금과 같이 강도가 높은 최첨단 금속재료를 만들 수 있게 됐다. 이제는 인공지능과 함께 여러 번의 실험 2021-03-11869 대학소식 전자 김철홍 교수, SPIE주최 PHOTONICS WEST 학회 국내 최초 기조강연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가 3월 6일부터 11일까지 개최된 국제광전자공학회(SPIE,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 PHOTONICS WEST 학회에서 국내 학자 중 처음으로 기조 강연 (Hot Topics)을 했다. 김철홍 교수는 차세대 광음향‧초음파 융합영상 시스템 2021-03-11436 연구성과 전자 김철홍 교수팀, 초음파 한번에 4중 융합 영상 얻는다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활용한 4중 융합 영상 시스템 개발] 초음파 검사 한 번만으로 안질환, 종양은 물론 몸속 환경을 들여다볼 수 있는 ‘4중 융합 영상 시스템’이 개발됐다.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 김철홍 교수·박별리 박사·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박정우씨 연구팀과 IT융합공학과 김형함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는 경북대 의과대학 2021-03-0955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