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환경 조강우 교수팀, 수소 생산을 위한 “싸고 빠른” 촉매 개발 [POSTECH-GIST 공동 연구팀, 니켈-철 스피넬 산화물의 이리듐 도핑을 통한 산소발생 활성과 안정성 향상] 세계 곳곳에서는 나타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이나 가속화되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그 속도를 늦추는 것이 인류의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온실가스의 주성분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 2023-02-0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수술 후엔 실 아닌 “빛” [나노입자-빛으로 피부 접합하는 새로운 시스템 개발] SF영화나 애니메이션, 게임 속에서 주인공이 입은 깊은 상처는 언제나 성스러운 빛을 쐬고 나면 말끔하게 낫는다. 이런 판타지 같은 의료기술이 조금씩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POSTECH이 나노입자에 장(長)파장의 빛과 단(短)파장의 빛, 2가지의 빛을 이용해 상처를 치유하는 새로운 광의약 (photome 2017-09-281,300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고소한 호두향으로 태양전지 만든다 [고안정-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친환경 공정 가능 물질 개발] 페로브스카이트는 빛을 잘 흡수해 전하를 만들어 내는 물질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전자와 정공을 형성하게 되고, 정공을 전극에 빨리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공 전달층이 필요하다. 프린트나 코팅 등 이후 공정을 위해선 먼저 정공 전달층에 쓰이는 유기 재료를 녹여 액체로 만드 2017-09-2590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대칭 메타물질 이용해 선편광 광학 다이오드 개발 [광학 다이오드 ‘자유롭게 빛 제어’] 핸드폰이나 TV와 같은 전자기기는 회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작동된다. 많은 과학자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정보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기계 장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광학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는 한층 빨라지고 에너지 손실은 적게, 크기도 2017-09-24944 연구성과 물리 김지훈 교수팀, 190년 만에 옴의 법칙 깨는 ‘블랙스완’ 금속 발견 [옴의 법칙 깨는 바일금속 성질 밝혀] 전기회로에서 전지의 전압이 달라지면, 같은 전구라도 밝기가 변한다. 똑같은 전압의 전지를 달고 저항이 다른 전구를 켜도 밝기가 달라진다. 전압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런 전압, 전류, 저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 바로 ‘옴의 법칙’이다. 1827년, 독일의 과학자 옴 2017-09-229,732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반도체-금속 성질 자유자재로 제어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만든다 [원자층에 반도체-금속 접합 구조 첫 구현…접촉 저항 크게 줄인 전자소자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염한웅 단장(물리학과)과 조문호 부연구단장(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은 반도체성과 금속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새로운 2차원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동일한 2차원(원자층) 물질로 일부는 금속성을 띠게 하고, 일부는 2017-09-191,345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버널적층 그래핀으로 밴드갭 제어 성공 [‘브레이크’ 모르는 그래핀, 다층구조로 “길들인다”] 흑연의 원자 한 층인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실리콘 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빨리 이동시킨다. 그런가 하면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최고의 열전도성을 가진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전도성이 높을 뿐 아니라 투명하며 신축성까지 뛰어나 전자 2017-09-192,165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자폐증 모델 생쥐 만들어 자폐 치료 물질 개발에 한 발 다가가 [자폐증 치료 실마리, 자폐 모델 생쥐로 찾는다] 전 세계적으로 1%의 인구가 자폐증 환자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아동의 발병률은 2.6%로 세계 평균보다 높다. 자신의 세계에 갇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은 증상과 원인이 다양한데다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선 전 임상 단계의 동물 실험이 필수적인데 자폐증 동물 모 2017-09-191,093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밸리 제어’ 핵심 원천 과학 기술 개발 [나노 박막 해테로 구조로 전자와 정공 분리해 밸리 제어 성공] 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기초 과학 기술은 인류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70년 전 전자가 갖는 전하(charge)를 제어해 만든 트랜지스터는 오늘날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심장에 해당하는 핵심부품이다. 전자의 스핀(spin)을 제어해 만든 하드디스크는 30년 전 정보화 혁명을 이 2017-09-041,02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프린터’로 몸속 혈관과 똑같은 혈관 만든다 [혈관조직유래바이오잉크로 바이오혈관 제조] 심근경색 환자나 동맥경화증 환자는 손상되거나 막힌 혈관을 제거하고 새로운 혈관을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합성섬유나 콜라겐으로 만든 인조혈관이나 자기 정맥을 사용했지만 혈액 응고, 괴사와 같은 후유증으로 성공적인 이식이 어려웠다. 인체와 같은 구조의 혈관을 만들 수 있다면 이식 성공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 2017-08-312,297 연구성과 기계 김준원 교수팀, 1개 칩으로 수십 가지 약물 검사 가능해진다 [세계 최초 차세대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기술 개발] 왼쪽부터 김준원(교수), 이상현(석박사통합과정), 김호진(연구조교수) 하나의 칩에서 다양한 화학 및 생물학 실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이 기술로, 고병원성 질병을 진단하거나 신약 개발을 할 때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공학과 2017-08-221,39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