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안지환 교수팀, 그린 수소, 해답은 반도체 기술에 있다 [POSTECH·서울과학기술대·UC Merced 공동 연구팀, 반도체 공정으로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 효율 향상] 최근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의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언급했다.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 중 2023-09-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전기 먹는 하마 ‘알파고’ 단점 보완할 인공지능 시냅스 개발 [강유전체 물질 도입해 고성능의 아날로그 메모리 특성 구현] 인간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바둑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인간을 이긴 알파고의 등장은 전 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알파고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에 비해 하드웨어는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둑 한판을 두는데 엄청난 전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알파고가 바둑 한 2019-04-011,526 연구성과 전자 홍원빈 교수팀, “5G 미래형 스마트폰”…세계 첫 ‘안테나 디스플레이’로 한 발 더 앞서나간다 – 동우화인켐‧SKT‧LG전자‧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와이테크와 미래형 5G 단말 안테나 시스템 개발 – 5G 28GHz 신호로 안테나 실제 측정 확인…신개념 5G스마트폰 탄생 기대 높여 버튼을 없애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키패드를 옮겨놓은 ‘풀터치폰’은 어느 나라에서 최초로 출시됐을까? 정답은 우리나라다. 지금은 우리에게 ‘당연한’ 휴대폰의 2019-03-271,842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 회수용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성공] 우리나라 산업 폐열량은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4분의 1 정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진다. 이 폐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것이 열전소자인데, 이렇게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를 열전소자라고 부른다. POSTECH 연구팀이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 2019-03-26929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난치성 뇌암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 –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암 세포 환경과 동일한 칩 제작, 항암 치료 재현 – 향후 환자별 최적 항암치료 조합 도출 가능 5년 이내 생존률이 2%에 불과한 난치성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항암 치료로 증세가 호전된 환자와 암이 2019-03-22784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벌집 구조 활용해 리튬-황이온전지 전극 개발 [5배 높은 용량 리튬·황배터리 개발로 전기자동차 대중화 앞당겨] 크기는 줄이고 효율은 획기적으로 높인 성능이 뛰어난 배터리를 만드는 일은 전 세계 과학자들의 숙제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엔 배터리의 성능이 산업의 성공 여부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 연구팀이 층층이 쌓인 벌집 모양의 구조체를 만들어 2019-03-21943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 공동연구팀, 나방 눈 모사 유리로 흐린 날씨에도 태양광 발전 맑음 [김동성 교수와 기계연 임현의실장 공동연구팀, 태양광 패널 보호 유리에 나방 눈 모사한 무반사 자가세정 유리 및 마찰전기 수확장치 개발] 야행성인 나방은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야행성 동물들과 달리 깜깜한 밤에 작은 빛을 받아도 눈이 반짝이지 않는다. 나방 눈 안에 나노 크기의 작은 돌기가 가득 덮여 있어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작고, 겹눈으로 여러 방향의 빛 2019-03-191,070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용기중 교수 공동연구팀, ‘연잎’과 ‘홍합’의 강력한 콜라보…몸속 의료 기구에 적용하면 혈전과 유착 방지 [복합적 생체모방을 통한 고내구성 초발수 표면 개발] 홍합 연구와 연잎 연구의 두 권위자가 만났다. 거센 파도가 몰아치는 바다에서 바위에 딱 붙어있는 홍합의 접착 단백질을 연구하는 차형준 교수와 폭우에도 젖지 않고 물방울을 또르르 흘려보내 깨끗함을 유지하는 연잎을 연구하는 용기중 교수가 손을 잡고 몸속에 넣을 수 있는 초발수 표면(superhydrophob 2019-03-14711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를 일산화탄소로…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이 분해하는 촉매 개발 [이산화탄소 제거 고체산화물 전해전지용 촉매 개발]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불리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은 지구촌의 큰 관심사다. 이산화탄소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에도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더 높은 효율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분해해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다른 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촉매 개발에 국내 연구팀이 2019-03-11883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버려지는 달걀 껍질·거미줄로 전기 만든다 [무독성·생분해 가능한 생체적합 나노발전소자 개발] 가정마다 냉장고 한쪽에 꼭 자리하고 있는 친근한 식자재인 달걀의 껍데기와 거센 바람과 폭우에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탄력 좋은 거미줄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연구팀이 거미줄 섬유와 달걀껍질의 단백질을 이용해 친환경 압전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화학공학과 블록공중합체 자기조립연구단 2019-03-11703 연구성과 화학 장영태 교수 공동연구팀, 동맥경화 진단을 위한 새로운 형광물질 발견 [살아있는 조직에서 활성화대식세포만 선택적 염색…동물실험으로 효능 확인] 동맥에 퇴행성 변화가 일어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동맥경화는 나이가 들수록 발병하기 쉬운 질환이다. 최근에는 생활습관 변화로 인해 젊은 나이에 발생하거나, 증상이 없는 뇌혈관 동맥경화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정확한 진단이 치료와 예방에 중요하다는 의미다. 동맥경화 2019-03-08627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5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