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안교한 교수팀, 치매 발병여부와 진행경과 알려주는 생체표지 물질 발견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치매 인구는 현재의 3배를 넘어 무려 1억3500만명에 육박할 예정이다. 그 중 70~80% 가량이 알츠하이머 환자인데, 발병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알츠하이머 질환은 조기 진단을 통한 완화치료가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과 안교한 교수팀과 서울대 묵인희 교수팀이 이광자 현미경¹*을 이용 2016-12-231,619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화공 조길원 교수팀, 잉크젯프린터로 만든 3차원 유기반도체 회로 제작 성공 팔에 차는 스마트워치, 반지처럼 끼울 수 있는 스마트기기 등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의 변신은 끝이 없다. 이런 스마트기기의 주요 부품인 트랜지스터를 가정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로 찍어낼 수 있게 된다면? 그 가능성을 연 기술이 POSTECH 연구팀을 통해 발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권지민씨, 정성준 교수,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연구팀은 2016-12-231,253 연구성과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 국제공동연구팀과 염기쌍 복구 단백질들의 상호작용 원리 네이처(Nature)지서 발표 [물리 이종봉 교수팀, DNA의 오류를 스스로 복원하는 원리 30여년 논쟁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다.] 또 하나의 생명의 신비가 밝혀졌다.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리차드 피셸 (Richard Fishel) 교수팀이 단백질 효소 간의 신호 전달로 DNA 염기쌍의 오류를 바로잡는 메커니즘을 밝히며 수십 년간 논란이 되어온 큰 난제를 풀어냈 2016-11-242,067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표면 접착력 변화되는 홍합 접착 메커니즘 규명 [바다 속 홍합이 표면에 붙을 수 있는 접착단백질 메커니즘 최초로 밝혀] 부러진 플라스틱 제품을 다시 붙이고 싶을 때 우리는 보통 본드를 포함한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한다.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도 있는데 이는 찢어진 장기 접합과 같은 수술에 사용된다. 더 나아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접착력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밝혀져 향후 생체 접 2016-11-221,653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소금으로 친환경 초발수코팅제 개발 [기계 최동휘 박사 ・ 유재원 학생, 쉽고 빠르고 저렴한 초소수성 표면 제작공정 개발] 기계공학과 학부 4학년 유재원 학생이 김동성 교수와 최동휘 연구교수의 지도 아래 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내는 초소수성 표면을 간단히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소금과 물만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을 이용해 복잡한 기존 공정의 2016-11-082,705 연구성과 창의 김철홍 교수팀, 혈관수술 등 미세수술 적용 가능한 영상 시스템 기술 개발 [창의 김철홍 교수팀, 광음향 및 광간섭 두 가지 영상기술을 수술용 현미경과 결합한 영상 시스템 개발.. 영상 속도 개선한 광음향 현미경 개발에도 성공해] 녹내장이나 백내장과 같은 안과수술, 미세혈관수술, 신경수술과 같은 미세수술에 활용되는 수술용현미경은 이비인후과 수술에 사용된 이래 많은 수술에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현미경은 환부의 표면을 확대한 영 2016-10-211,761 연구성과 ‘원자시계’처럼 정밀하게 표면 플라즈몬 제어한다. [ 김동언교수팀, 표면 플라즈몬 제어기술 개발 ] 원자가 복사하거나 흡수하는 에너지의 주기가 일정한 것을 이용해 만드는 현존하는 가장 정밀한 시계 ‘원자시계’. 김동언교수팀이 광학기술에 활용되고 있는 표면 플라즈몬을 레이저로 이 시계처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 연구소 김동언 교 2016-09-29851 연구성과 박태호 교수팀, 통념 뒤집고 부드러워도 똑똑한 고분자 만들었다 낮은 결정성에도 우수한 전하이동도 보이는 고분자 개발 – 손목에 찰 수 있는 휴대폰, 신문처럼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 SF영화에서 존재하던 웨어러블 전자기기들은 이제 우리 사회에 한층 더 가까워졌다. 바로 유연하게 잘 구부러지는 고분자들이 전자소자로 만들어지면서부터다. 하지만, 더욱 첨단화되는 기기에 비해 고분자의 물성에는 한계가 있어 아직 2016-07-281,706 연구성과 이산화탄소 잡을 더 강력한 ‘효소’ 만들었다.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팀, 탄소자원화 위한 열안정성 높인 탄산무수화 효소 개발, 친환경성과 경제성으로 높은 주목.. 화공 차형준 교수팀, 탄소자원화 위한 열안정성 높인 탄산무수화 효소 개발 지구가 더워지고 있다. 지구의 열기 때문에 기후가 급격하게 변화하며 태풍과 홍수, 한파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그래서 그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인 화석연료 사 2016-07-072,367 연구성과 ‘태풍 발원지’ 웜풀의 팽창 범인, 인간의 ‘지문’ 찾았다 관측에 나타난 인도–태평양 웜풀 팽창(1953-2012) 여름의 상징이기도 한 태풍과 폭우는 인도–태평양에 위치한 지구에서 가장 뜨거운 바다 ‘웜풀(warm pool)’로부터 나온다. 이 웜풀 주변은 엄청난 폭우가 쏟아지며 이를 통해 지구의 대기와 물의 순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이 웜풀 주변의 국가들은 강한 2016-07-051,24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