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환경 조강우 교수팀, 수소 생산을 위한 “싸고 빠른” 촉매 개발 [POSTECH-GIST 공동 연구팀, 니켈-철 스피넬 산화물의 이리듐 도핑을 통한 산소발생 활성과 안정성 향상] 세계 곳곳에서는 나타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이나 가속화되는 지구온난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그 속도를 늦추는 것이 인류의 과제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온실가스의 주성분인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 대신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기 2023-02-01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미지의 신소재’ 합성하는 비밀 밝히다 [원자구조 이미징을 통해 물질 합성의 근원 밝혀] 반도체나 모바일 기기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기 위해서는 소재를 먼저 찾아야 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를 관찰해 소재의 본질을 꿰뚫는 ‘소재 이미징’을 통해서 신소재가 발굴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소재 이미징 기술을 통해 품질이 뛰어난 신소재 합성의 근본적인 구조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최 2020-07-271,421 대학소식 전자 박준호 씨, IEEE 전파 분야 ‘그랜드 슬램’ 전자전기공학과 박사과정 박준호 씨(지도교수 홍원빈)가 2020 국제전기전자기술협회 (IEEE) 산하 안테나 앤드 프로퍼게이션 학회(2020 IEEE AP-S/URSI, 2020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ennas and Propagation and USNC-URSI Radio Science Meeting)에서 우리나라 2020-07-241,648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팀, 딥러닝 이용해 ‘2D를 3D홀로그램으로’ 간단하게 변환한다 – 백색광을 사용한 딥러닝 기반 홀로그래피 기법 개발 – 현미경에 값비싼 장비 추가 없이 2D 광학영상을 3D 홀로그램으로 본다 기존의 광학현미경(bright—field microscopy) 기법에서는 염색 과정을 포함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잘 보이지 않는 세포들을 관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오염되어 생물리학적 특성이 2020-07-23739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암 ‘표적 단백질’만 노리는 ‘암살자’ 분해제 – N-데그론 경로 이용해 단백질 분해제 개발 – 세포 종류에 관계없이 원하는 단백질 분해…다양한 암 발생 및 전이 방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는 날아가면서도 표적을 이리저리 끝까지 추적해 표적을 정확히 명중시킨다고 해서 마법의 탄환이라 불리는 ‘스마트 탄환’을 만들었다. 이 탄환은 표적이 이동하거나, 모래바람이 불어도 2020-07-221,201 대학소식 POSTECH의 여름 2020-07-211,036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분자 끈끈이 원리를 이용한 고순도 고효율 항바이러스, 항암 단백질 의약품 정제 기술 개발 [바이러스 잡는 ‘분자 끈끈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 추세가 누그러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바이러스 감염을 차단하는 백신 개발만이 코로나19 종식의 근원적 해결책으로 꼽힌다. 하지만 어렵게 백신이 개발된다고 하더라도 이를 잘 정제된 의약품으로 제조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새로운 전염병에 대처할 수 2020-07-21825 대학소식 철강대학원 최주 교수, 현송공학상 수상 철강대학원 최주 교수가 (사)대한금속·재료학회가 개최한 춘계학술대회에서 ‘2020년도 현송공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 16일에는 “에너지 강재로서의 고Mn강에 관한 최근의 진보”를 주제로 수상 강연을 이어갔다. ‘현송공학상’은 현송교육문화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으로 기계 부문과 금속재료 부문으로 나눠 매년 수상자 2020-07-17468 대학소식 POSTECH, 국가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SBS문화재단 장학생 배출 POSTECH 학생이 국가의 동량(棟梁)으로 성장할 인재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SBS문화재단 2020년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환경공학부 박소원씨, 기계공학과 이정락씨가 최종 선정됐으며, 이에 따라 연구를 마칠 때까지의 등록금 전액과 월 100만원의 연구지원금(최대 9천7백만원, 최대 5.5년)을 지원받게 된다. 한편, SBS문화재단은 대학 졸업 예정 학생이나 2020-07-161,452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거저리 유충, ‘환경 골칫덩이’ 플라스틱 먹어치운다 [산맴돌이거저리 유충 이용한 폴리스타이렌 생분해 확인] 북태평양에는 한반도의 7배의 크기에 달하는 거대 플라스틱 쓰레기 섬이 존재한다.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라고 불리는 이 쓰레기섬은 1초마다 2만 개가 소비되는 플라스틱이 매년 1300만 톤씩 바다로 유입되며 생겨난 것이다. 플라스틱은 자연적으로 썩 2020-07-151,258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헤어지면’ 효율 올라가는 연료전지 [POSTECH-KAIST-GIST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엑솔루션 현상 제어] 삼성전자가ᅠ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ᅠ일환으로ᅠ지원한ᅠ엑솔루션ᅠ연구가ᅠ결실을 맺었다. 엑솔루션*1 기술은 산화, 환원에 따라 금속산화물의 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현상은 특별한 공정과정 없이 환원 분위기에서 자발적으로 고성능·고안정성의 나노 2020-07-1486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