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헤어지면’ 효율 올라가는 연료전지 [POSTECH-KAIST-GIST 연구팀,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엑솔루션 현상 제어] 삼성전자가ᅠ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ᅠ일환으로ᅠ지원한ᅠ엑솔루션ᅠ연구가ᅠ결실을 맺었다. 엑솔루션*1 기술은 산화, 환원에 따라 금속산화물의 상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금속 나노입자를 만드는 방법이다. 이 현상은 특별한 공정과정 없이 환원 분위기에서 자발적으로 고성능·고안정성의 나노 2020-07-14864 대학소식 산업경영공학과 동문들, ‘릴레이 기부’ 나서 산업경영공학과 동문들이 학번별로 릴레이 기부에 나서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7월 10일, 산업경영공학과 90학번 동문들은 입학 30주년을 기념해 대학에 방문, 학과 발전을 위한 발전기금 1,000만원을 전달하는 전달식을 가졌다. 지난 2019년, 89학번 졸업생이 입학 30주년을 기념해 발전기금을 전달한 것에 여러 동문이 크게 호응, 이번 전달로 이루어 2020-07-13721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 교수팀, 잉크젯 프린팅으로 ‘방광암’ 만들다 [잉크젯 세포프린팅을 이용해 방광암 이질성 분석] 3D 바이오프린팅은 3D 프린팅과 생명공학이 융합된 기술로서, 살아 있는 세포를 원하는 형상으로 쌓아 올려 생체조직이나 인공장기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질병을 극복하고, 손상된 조직을 치료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약물에 대한 안정성 및 유효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2020-07-13622 연구성과 물리 이길호 교수팀, 예측만 무성한 미스테리 속 ‘물질’, 실제로 존재했다 [韓‧美‧獨‧香 공동연구팀, 고차원 위상부도체 실존 여부 최초로 관측] ‘겉과 속이 다른 물질’로도 불리는 위상부도체(topological insulator)는 고체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물질이다. 위상부도체는 원래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이지만, 위상이 다른 두 물질의 경계에서 전도성을 갖는다. 이 독특한 성질 때문에 양자 컴퓨터 등 미래 과학 분야의 2020-07-091,312 연구성과 신소재 김용태 교수팀, 수소차 내구성 문제 말끔히 해결한다 [선택적 전극촉매반응을 통한 자동차용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자전거가 비에 젖으면 프레임과 체인 등이 부식되거나 녹이 슬어 오래 쓸 수 없게 된다. 이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기름칠을 해줘야 한다. 전지(cell, 電池)는 이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1이 분리되어 일어나도록 고안한 장치로 전자를 이동시켜 전기에너지를 만든다. 하지만 이 역시 산소를 만나면 부 2020-07-081,809 대학소식 POSTECH-한국생산기술연구원, AI로 제조혁신 나선다 POSTECH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원장 이낙규)이 AI(인공지능)를 기반으로 한 제조 혁신에 함께 나선다. POSTECH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7일 POSTECH에서 AI기반 제조 혁신을 통한 생산기술 개발과 실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교육, 연구, 교류와 장비 상호 활용 등 공동협력 체제를 구축키로 했다. 한편, 이번 협약은 POS 2020-07-07446 대학소식 수학 김현광 교수, 대한수학회 교육상 수상 [다년간 수학 교육, 저술 활동 등 수학 인재양성에 공헌] 수학과 김현광 교수가 3일 ‘2020년도 대한수학회 봄 연구발표회’에서 교육상을 받았다. 김현광 교수는 학생지도와 후학 양성에 전력하여 정수론, 부호이론, 조합론 분야에서 박사학위 12명, 석사학위 21명을 배출했다. 200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위촉한 ‘과학엠버서더’ 활동 2020-07-06656 대학소식 POSTECH, ICT혁신인재4.0사업 선정 [대학원 교육과정에 연구교육 일체형 프로그램 운영] POSTECH이 2020년 ‘ICT혁신인재4.0사업’에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전문기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와 협약체결을 하고 본격적으로 사업 수행을 시작한다. 이 사업은 문제해결 역량을 갖춘 미래 공학자들을 육성하기 위해 새롭고 도전적인 산학 연구 프로젝트를 교육 과정에 녹여내는 ‘연구교육 일체형 프로 2020-07-06830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실리콘보다 전도성 4배 높은 ‘유사 그래핀’ 합성 [활용 목적에 맞게 물성 조정 가능…‘맞춤형’유기 반도체 소재 기대] 그래핀과 똑 닮은 새로운 유기 반도체 소재가 개발됐다. 화학과 김기문 교수팀(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이 이끄는 국제공동연구진은 분자의 자기조립 자기조립(Self-assembly)*1 특성을 활용해 실리콘보다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2차원 전도성 고분자 2020-07-03737 대학소식 POSTECH, 과기부 기초연구지원 리더연구 4명·우수연구센터 1개 선정 우리대학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내 최고수준의 기초연구자를 지원하는 리더연구 지원대상과 우수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우수연구센터에 다수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리더연구 지원대상 17명과 우수연구집단을 지원하는 우수연구센터 18개를 선정했다. 그중 우리대학은 리더연구 4명, 우수연구센터 1개가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 개인연구 사업인 리더연구에서 POSTE 2020-07-031,23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