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 임지순 교수팀, 이산화탄소와 유해가스 골라 먹는 다공성 물질 개발 [OSTECH 연구팀, 저밀도 기둥구조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POSTECH 연구팀이 이산화탄소와 각종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공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화합물 합성에 성공했다. 물리학과 임지순 교수와 화학공학과 조길원, 박석환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이 물질(SPOIC, Sparsely Pillared Organic-Inorganic 2023-03-24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고소한 호두향으로 태양전지 만든다 [고안정-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친환경 공정 가능 물질 개발] 페로브스카이트는 빛을 잘 흡수해 전하를 만들어 내는 물질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전자와 정공을 형성하게 되고, 정공을 전극에 빨리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공 전달층이 필요하다. 프린트나 코팅 등 이후 공정을 위해선 먼저 정공 전달층에 쓰이는 유기 재료를 녹여 액체로 만드 2017-09-25914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대칭 메타물질 이용해 선편광 광학 다이오드 개발 [광학 다이오드 ‘자유롭게 빛 제어’] 핸드폰이나 TV와 같은 전자기기는 회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작동된다. 많은 과학자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정보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기계 장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광학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는 한층 빨라지고 에너지 손실은 적게, 크기도 2017-09-24958 연구성과 물리 김지훈 교수팀, 190년 만에 옴의 법칙 깨는 ‘블랙스완’ 금속 발견 [옴의 법칙 깨는 바일금속 성질 밝혀] 전기회로에서 전지의 전압이 달라지면, 같은 전구라도 밝기가 변한다. 똑같은 전압의 전지를 달고 저항이 다른 전구를 켜도 밝기가 달라진다. 전압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런 전압, 전류, 저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 바로 ‘옴의 법칙’이다. 1827년, 독일의 과학자 옴 2017-09-229,805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반도체-금속 성질 자유자재로 제어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만든다 [원자층에 반도체-금속 접합 구조 첫 구현…접촉 저항 크게 줄인 전자소자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염한웅 단장(물리학과)과 조문호 부연구단장(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은 반도체성과 금속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새로운 2차원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동일한 2차원(원자층) 물질로 일부는 금속성을 띠게 하고, 일부는 2017-09-191,361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버널적층 그래핀으로 밴드갭 제어 성공 [‘브레이크’ 모르는 그래핀, 다층구조로 “길들인다”] 흑연의 원자 한 층인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실리콘 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빨리 이동시킨다. 그런가 하면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최고의 열전도성을 가진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전도성이 높을 뿐 아니라 투명하며 신축성까지 뛰어나 전자 2017-09-192,189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자폐증 모델 생쥐 만들어 자폐 치료 물질 개발에 한 발 다가가 [자폐증 치료 실마리, 자폐 모델 생쥐로 찾는다] 전 세계적으로 1%의 인구가 자폐증 환자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아동의 발병률은 2.6%로 세계 평균보다 높다. 자신의 세계에 갇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은 증상과 원인이 다양한데다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선 전 임상 단계의 동물 실험이 필수적인데 자폐증 동물 모 2017-09-191,108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밸리 제어’ 핵심 원천 과학 기술 개발 [나노 박막 해테로 구조로 전자와 정공 분리해 밸리 제어 성공] 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기초 과학 기술은 인류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70년 전 전자가 갖는 전하(charge)를 제어해 만든 트랜지스터는 오늘날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심장에 해당하는 핵심부품이다. 전자의 스핀(spin)을 제어해 만든 하드디스크는 30년 전 정보화 혁명을 이 2017-09-041,044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팀, ‘3D프린터’로 몸속 혈관과 똑같은 혈관 만든다 [혈관조직유래바이오잉크로 바이오혈관 제조] 심근경색 환자나 동맥경화증 환자는 손상되거나 막힌 혈관을 제거하고 새로운 혈관을 이식하는 수술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합성섬유나 콜라겐으로 만든 인조혈관이나 자기 정맥을 사용했지만 혈액 응고, 괴사와 같은 후유증으로 성공적인 이식이 어려웠다. 인체와 같은 구조의 혈관을 만들 수 있다면 이식 성공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 2017-08-312,317 연구성과 기계 김준원 교수팀, 1개 칩으로 수십 가지 약물 검사 가능해진다 [세계 최초 차세대 마이크로어레이 분석기술 개발] 왼쪽부터 김준원(교수), 이상현(석박사통합과정), 김호진(연구조교수) 하나의 칩에서 다양한 화학 및 생물학 실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이 기술로, 고병원성 질병을 진단하거나 신약 개발을 할 때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계공학과 2017-08-221,408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스마트 피펫 팁’으로 똑똑하게 “용액 농도 측정해요” [피펫으로 액체 운반할 때 농도 바로 측정하는 기술 개발] 정량의 액체를 운송하기 위해 연구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실험 장비 중 하나는 피펫(pipette)이다. 피펫으로 액체를 운송하는 동안 다른 기계 도움 없이 액체 농도를 바로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돼 용액에 대한 화학 반응을 실험 중간에 빠르고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됐다. 반응 예측이 중요한 제약 2017-08-141,27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