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최창혁 교수팀, 연료전지 백금 촉매의 수명연장 실마리 찾아 [최창혁 교수팀, 백금 부식 완화를 통한 연료전지 내구성 향상 전략 제시] 백금은 견고하고 아름다운 백색의 금속으로, 부식이 잘되지 않아 장신구에 널리 사용되는 최고의 귀금속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신구로서의 사용은 전체의 30%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다양한 산업에 걸쳐 화학 촉매로서 주로 활용된다. 특히, 백금은 수소경제 사회의 핵심으로 여겨지는 연료전지 2023-03-23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POSTECH, 버려지는 폐열 이용한 발전시스템 상용화 나선다 [미래부 ‘스마트 산업에너지 ICT융합 컨소시엄’ 선정 2년간 총액 89억원 투입] POSTECH은 철강산업, 열병합발전, 열화학공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해 전기를 만들어내는 친환경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ICT융합 미이용 에너지 열전발전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열전발전’은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기술로 2017-05-162,36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한 땀 한 땀’ 만들던 하이퍼렌즈, 대량생산이 눈 앞에 보인다! [초고해상도 광학현미경 실용화 공정 개발] 생명체의 탄생과 소멸을 함께하는 미생물부터 투명망토와 같은 꿈의 기술을 현실로 만드는 나노물질까지. 작디작은 미세물체들은 인간의 눈엔 보이지 않지만 세상을 움직이는 중요한 존재들이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이런 물체들을 수천~수백만배까지 확대해서 볼 수 있게 되면서 더욱 더 작은 세상을 들여다보려는 연구자들의 시도는 2017-04-251,418 연구성과 환경 민승기 교수팀, 열대지역 넓어지는 이유는 ‘인간 탓’ 첫 발견 [인간 활동에 의한 해들리순환 확대 밝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속 생태계는 지구 전역의 대기의 순환에 따라 유지되고 있다. 그리고, 급격한 기후변화는 생태계의 혼란은 물론, 우리 삶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지구의 대기 대순환을 주도하고 있는 ‘해들리순환(Hadley cell)’이 확대되면서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동이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변 2017-04-24820 연구성과 물리 윤건수 교수팀, 안전한 ‘인공태양’에 한걸음 더 [플라즈마 경계면 폭발 전 ‘섭동’ 현상 발견] 태양이 1초 동안 만들어내는 에너지는 지구 상의 모든 발전소가 만들어내는 발전용량의 1조 배나 많은 에너지다. 이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핵융합 현상을 모방해 만들어내는 ‘인공태양’은 언젠가 고갈될지 모를 화석연료, 그리고 항상 수많은 논란의 중심에 있는 원자력을 대체할, 고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대체 에너지 자원 2017-04-041,794 연구성과 화공 오준학 교수팀, 웨어러블 스마트기기 상용화 앞당길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 [포토리소그래피 적용 가능한 고분자 반도체 개발] 종이처럼 접히는 전자책, 팔찌처럼 편리하게 몸에 찰 수 있는 스마트 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는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소재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스마트기기가 소형화되고 더 많은 기능을 탑재하게 됨에 따라, 고성능 차세대 반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경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핵심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고분자 반도체 2017-03-271,151 연구성과 화공 김동표 교수팀, 효율 높은 이산화탄소 동시 포집•전환시스템 개발 [액체-기체의 ‘계면흐름’으로 ‘온실가스’를 바로 자원으로 만든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기가톤이나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수많은 기상이변을 일으키는 지구온난화의 주범 ‘온실가스’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최근에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에너지를 만드는 식물처럼 이산화탄소로 자원을 만들기 위한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 2017-03-161,086 연구성과 생명 이승재 교수팀, RNA와 노화의 상관관계 규명 [RNA의 상태 관리가 장수에 필수적임을 최초로 밝혀내] 탱탱한 동안 피부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피부 관리와 미용 시술이 필요하듯 늙지 않고 오래 살려면 우리 몸 속의 유전자도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유전정보전달물질인 RNA와 노화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새로운 연구결과가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와 박사과정 손희화씨, 서미화 박사는 기초 2017-03-091,478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 몸 속 깊은 곳에 숨은 암을 적외선으로 알려주는 퀀텀닷(양자점) 탐침 개발 [POSTECH-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팀, 암 진단 양자점 탐침 개발] 최근 미세한 색 차이까지 정확하게 표현하는 등 뛰어난 화질로 프리미엄 TV에 활용되며 크게 주목을 모으고 있는 ‘퀀텀닷(quantum dot, 양자점)’은 형광을 내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을 의미한다. 이 퀀텀닷의 발광신호를 조절해 몸 속 깊은 곳의 암을 발 2017-03-091,513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단백질 낚시법’으로 고순도・고효율 단백질 정제 [초분자화학¹* 기반의 새로운 정제법… 신약개발, 약물기전 연구에 도움] 암과 같은 질병은 체내 단백질이 변형을 일으켜 생긴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원리와 발병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존재하는 수많은 단백질 중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얻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기존 단백질 정제법은 반응에 첨가되는 다량의 첨가물이 2017-03-092,369 연구성과 물리 염한웅,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 시대 위한 신개념 ‘4진법’ 연산소자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 염한웅 단장과 물리학과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이 ‘0’과 ‘1’의 두 상태를 나타내는 ‘2진법 소자’를 넘어서 4진법 연산이 가능한 전자소자를 제안했다. 이를 활용하면 향후 두뇌 신경망을 구현한 인공지능 컴퓨터에 새로운 소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 2017-02-131,359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