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hoto Essay 2: 포스텍-포스코 산학연 공동관 우리 대학은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CES에 참가하여 스타트업 전용관인 ‘유레카파크’에서 포스텍 출신 스타트업을 알리는 부스를 운영했습니다. 작년에 비해 부스 규모를 2배로 확대하고 전시참여기업을 40% 늘려, 올해는 총 21개사의 스타트업이 각자의 독창적인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기술의 최전선 CES 현장에서 그 누구보다 빛난 포스텍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2023-01-20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물리 부가연 씨, ‘2020 페임랩 코리아’ 대상 수상 물리학과 통합과정 부가연씨가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주한영국문화원이 주관하는 과학소통 경연대회인 ‘2020 페임랩 코리아’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우리대학의 3분 과학발표대회인 ‘내 연구를 소개합니다’의 제4회 우승자이기도 한, 부 씨는 이번 대회에서 ‘작은 것들을 위한 빛 집게’를 주제로 대 2020-05-122,310 연구성과 환경 국종성 교수팀, ‘식물의 반란’ 식물이 숨을 안 쉬면, 북극이 녹는다 [POSTECH-취리히대학 공동연구팀, 식생의 생리학적 작용에 의한 북극 온난화 규명] 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증기는 더운 날 마당에 물을 뿌리는 것과 같이 지면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지구 기온 상승은 온실효과가 원인으로 지적돼왔지만, 이산화탄소가 증가하면서 식물이 숨을 쉴 때 내뿜는 수분량이 감소해 북극의 온도가 올라간다는 흥미로운 연 2020-05-12952 대학소식 POSTECH ‘AI 비전’ 분야 강자로 ‘두각’ – 이승용, 조성현 교수,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 100인에 선정 – 조민수, 박재식 교수, CVPR 2020 Area Chair 선임 – 조민수, 곽수하 교수, IJCV Associate Editor 선임 전 세계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인공지능(AI) 기술 선점을 위한 연구 개발을 위해 ‘AI 인재 2020-05-071,030 연구성과 화학 박문정 교수팀, 커피 마시려고? 이제는 커피로 배터리 만든다 – 친환경 양극재와 고체 전해질 사용해 리튬유기전지 개발 – 커피 유래 자연 친화 유기원료 사용…고속 충전 차세대 리튬전지 개발 기대 커피나 코코아, 콜라, 초콜릿 등의 기호식품 등에 흔히 들어 있는 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정신을 각성시키고 피로를 줄이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런 카페인으로 고속충전이 가능한 리튬전지를 2020-05-061,155 대학소식 POSTECH, 이공계 포닥 지원하는 KIURI 사업에 선정 – POSTECH,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4개 대학 운영 – 이공계 포닥 연1억원·3년간 지원, 교원에 준하는 지원·인프라 혜택 – 과기부 3년간 총 375억원 투입, 신진 박사인재의 산업계 진출 촉진에 중점 POSTECH이 첨단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재 확보와 이들의 산업계 진출을 지원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 2020-05-041,205 대학소식 POSTECH-홍콩과기대 복수 박사학위 운영 위한 MOU 체결 [소프트웨어·인공지능·스마트 시티 분야 융복합 교류 기대] POSTECH과 홍콩과기대(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가 복수 박사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로 했다. POSTECH과 홍콩과기대는 28일, 두 대학의 공과 계열 간 복수 박사학위 프로그램(Dual Degree Ph.D Program)을 개설하기 2020-04-291,016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 교수팀, 이종구조 전극 연료전지 한계를 극복하다 – 페로브스카이트 주석 산화물 전극의 용출현상 구현 -소재 원천기술 확보…에너지 변환 및 저장 효율 개선 기대 최근 전도성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지지대 위에 금속 나노 입자를 형성하여 촉매 특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이종구조 전극(heterogeneous electrode)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POSTEC 2020-04-29806 대학소식 [인터뷰] 스펙보다 개성, ‘톡톡’ 튀는 신입생을 만나다…20학번 새내기 김민수, 정세희, 박한서 학생 POSTECH는 매년 ‘공부만 할 것 같은 공대생’이라는 편견을 깨는 다재다능한 신입생들이 입학해 화제가 되어왔다. 올해도 역시 발명에서부터 요리, 운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톡톡’ 튀는 신입생이 등장했다. 그들은 무엇보다 과학을 좋아하는 ‘과학덕후’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좋아는 것에, 꿈꾸는 것에 과감하게 도전할 줄 아는 ‘아름다운 2020-04-294,520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시냅스 형성을 이용한 암 치료법 개발 [암 덩어리, 항암제로 중무장한 자객 세포로 살해한다] 우리 몸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 즉 자연 살해 세포가 존재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 치료와 화학 요법을 융합하여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는 항암 면역요법을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은 ㈜지아이셀과 공동연구를 2020-04-28918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당뇨병 진단·치료 위한 무선 구동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당뇨병, ‘스스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스마트 콘택트렌즈] 당뇨병은 한번 발병하면 현대 의학으로 어떤 치료를 하더라도 병 자체가 없어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불멸의 질병’이라 불린다. 당뇨병이 발병하면 평생 혈당수치를 측정하며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한다. 그런데 콘택트렌즈를 끼는 것만으로 인슐린의 분비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떨까? 최근 POSTECH 연구팀 2020-04-281,07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