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용자 맞춤 서비스 바로가기
  • 입학안내
  • 연구활동
  • 학사안내
  • 발전기금
  • 주요사이트
  • POVIS
  • Contact
  • 학생
    • 개설과목정보
    • 국제교류
    • 대학요람
    • 문화행사
    • 의료공제
    • 장학제도
    • 증명서발급
    • 학사일정
    • 학칙
  • 교직원
    • 규정집
    • 공지사항
    • 대학기구표
    • 새소식
  • 예비 포스테키안
    • 대학소개
    • 입학정보
    • 오시는길
    • 포스테키안
  • 동문
    • 총동창회
    • 포스텍 발전기금
    • 포스텍 뉴스레터
  • Facebook
  • Twitter
  • Instagram
  • Youtube
  • SITEMAP
  • 한국어
  • ENGLISH
  • Facebook
  • Twitter
  • Instagram
  • Youtube
  • Search
  • SITEMAP
  • LOGIN
  • 한국어
  • ENGLISH
search LOGIN

가치창출대학 POSTECH

target menu
  • 대학소개button
    • 총장실
      • 인사말
      • 약력
      • 동정
      • 미디어 클리핑
      • 연설문
      • 역대총장
    • 학교법인
      • 이사회
      • 법인본부
    • 대학현황
      • 건학이념/설립배경
      • 포스텍 비전
      • 주요연혁
      • 주요현황
      • 포스텍 상징
        • 포스텍 상징
        • 포스텍 상징
        • 포스텍 상징
        • 포스텍 상징
      • 경쟁력
      • 홍보동영상
      • 홍보 브로슈어
    • 대학조직
      • 대학기구표
      • 규정집
    • POSTECH-연세대
      개방∙공유 캠퍼스
    • Apple Developer
      Academy @ POSTECH
    • Apple 제조업 R&D 지원센터
    • 캠퍼스 안내
      • 캠퍼스맵
      • 오시는 길
      • 캠퍼스 투어
  • 입학・교육button
    • 입학정보
    • 대학
    • 대학원
    • 교육환경
    • 국내외 교류
      • 국제화환경
      • 국제화프로그램
      • 외국인교환학생초청
      • 해외자매대학
      • 외국인지원센터
  • 학사지원button
    • 학사안내
      • 학사일정
      • 학적안내
      • 학점교류
      • 개설과목정보
      • 증명서발급
    • 학사자료
      • 학사 규정 및 지침
      • 교과과정
        • 교과과정
        • 교과과정
        • 교과과정
    • 장학제도
    • 병무행정
      • 전문연구요원
      • 일반병무행정
  • 연구・산학button
    • 연구활동
      • 개요
      • 연구통계
      • 교원검색
      • 연구인프라
    • 연구기관
      • 부설연구소
      • BK21 / IBS
    • 연구윤리
      • 연구윤리
      • 생명윤리
      • 생물안전
      • 동물실험윤리
    • 산학협력단
      • 산학협력단 소개
  • 대학생활button
    • 포스테키안생활
      • 문화프로그램
      • 연구프로그램
      • 봉사활동
      • 해외탐방
      • 멘토제도
      • 학생의료공제회
      • 상담센터
      • 졸업생 진로
    • 도서관
    • 복지시설
      • 주거시설
      • 체육시설
      • 지곡회관
      • 학생회관
      • POSCO 국제관
      • 평해연수원
    • 학생활동
      • SES 프로그램
      • 축제
      • 동아리활동
      • 주요학생단체
      • 포카전
  • 뉴스센터button
    • 공지사항
    • 새소식
    • 행사안내
    • 뉴스레터
    • 포스테키안
    • LabCumentary
  • 교수초빙
이용자 맞춤 서비스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해주세요.
  • 학생
    • 개설과목정보
    • 국제교류
    • 대학요람
    • 문화행사
    • 의료공제
    • 장학제도
    • 증명서발급
    • 학사일정
    • 학칙
  • 교직원
    • 규정집
    • 공지사항
    • 대학기구표
    • 새소식
    • 증명서발급
  • 예비 포스테키안
    • 대학소개
    • 입학정보
    • 오시는길
    • 포스테키안
  • 동문
    • 총동창회
    • 포스텍 발전기금
    • 포스텍 뉴스레터
타켓메뉴 닫기
  • 입학안내
  • 연구활동
  • 학사안내
  • 발전기금
  • 주요사이트
  • POVIS
  • Contact
퀵메뉴 닫기
  • 일반검색
  • 전화번호 검색
  • 연구인력/교원검색
뉴스센터

새소식

  • home
  • 뉴스센터
  • 새소식
  • SHARE
    공유하실 서비스를 선택해주세요.
    • facebook
    • twitter
    닫기
  • PRINT
  • ZOOM확대축소

새소식

  • 타일형
  • 리스트형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건국대, ‘각막궤양’ 각막 이식 없이 빛으로 꽉 채워 치료한다

[POSTECH 조동우, 장진아‧건국대 김준영 교수팀, 각막재건 위한 세포외기질 기반 점착성 실란트 개발] 콘택트렌즈는 우리나라 인구의 약 10%(5~600만명, 대한안과학회 통계)가 사용하는 대중적인 시력 교정기구다. 콘택트렌즈 사용자가 흔히 저지르는 실수가 바로 렌즈를 낀 상태에서 잠을 자는 행위인데, 이는 눈 각막 상피의 저항력을 약화시켜 감염을 일으

2023-01-19
READ MORE
연구성과
  • 전체
  • 대학소식
  • 연구성과
  • 웹툰으로 보는 POSTECH
  • 카드뉴스
전체
  • 전체
  • 제목
  • 내용
연구성과

김대진 교수 연구팀, ‘3D 신체 관철 정밀 추적기술’로 구현

춤 동작 오류 콕 집어주는 ‘K-Pop 춤 선생’ 만들었다 POSTECH이 누구나 손쉽게 가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따라 할 수 있는 ‘가상 춤 선생’ 기술을 개발해 대중들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POSTECH 지능형 미디어 연구실 김대진 교수 연구팀은 3D 신체관절 정밀 추적 기술을 기반으로 누구나 손쉽게 각 가정에서 유명 가수의 춤을 배울 수 있는 … 더 보기 "김대진 교수 연구팀, ‘3D 신체 관철 정밀 추적기술’로 구현"

2015-10-15651
연구성과

김철홍 교수팀, ‘다중컬러 광음향 림프절 조영술’ 개발

몸 속에 숨어있는 림프절‘광음향’으로 샅샅이 들여다본다 * 사진설명(좌로부터) 김철홍 교수, 이창호 교수, 김지수 박사과정 크기가 1~2cm 정도에 불과하면서도 우리 몸 속 전체에 퍼져 있는 면역기관 ‘림프절(lymph node)’*1은 건강의 바로미터다. 예를 들어 감기에 걸렸을 때 편도가 붓는 것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왔을 때 목구멍 근처의 림프절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 몸속에는 수많은 … 더 보기 "김철홍 교수팀, ‘다중컬러 광음향 림프절 조영술’ 개발"

2015-10-01707
연구성과

보행자 알아채는 자동차, 외국어 바로 번역하는 안경, POSTECH이 만든다

POSTECH-(주)스트라드비젼, 인식기술 ‘세계최고’ 평가 보행자가 나타나면 멈추고, 앞서가던 자동차가 가까워지면 자동으로 속도를 줄이는 자동차, 외국어를 보면 바로 번역해 눈에 보여주는 안경은 이제 현실로 가까이 다가왔다. 실생활에선 아직 거리감이 있었던 이 기술을 POSTECH과 POSTECH 동문이 창업한 한 기업이 우리 생활에 더 가깝게 다가서게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POSTECH 지능형 미디어연구실(지도교수 컴퓨터공학과 김대진)과 POSTECH … 더 보기 "보행자 알아채는 자동차, 외국어 바로 번역하는 안경, POSTECH이 만든다"

2015-09-23688
연구성과

이시우 교수팀, ‘표면 개질’ 양자점으로 유기발광 소자 시연

스스로 빛나는 탄소 ‘탄소 양자점’의 색 순도 확 높였다 양자점(Quantum Dot)은 화학적 공정을 통해 만드는 나노미터 크기의 반도체 결정체로, 주로 초미세 반도체, 질병진단 시약이나 디스플레이에 활용된다. 이 중 탄화수소화합물로 만드는 ‘탄소 양자점(carbon nanodot)’은 중금속으로 만드는 기존 양자점보다 독성이 적고 공정이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해, 광발광(photoluminescence) 현상을 이용한 바이오 이미징과 발광 소자 관련 응용 연구가 학계의 … 더 보기 "이시우 교수팀, ‘표면 개질’ 양자점으로 유기발광 소자 시연"

2015-09-22820
연구성과

세계 최초, 내부 장기(臟器) 수술용 의료접착제 개발

– 물속에서도 우수한 접착력으로 방광, 대장 등도 안전한 접합 가능 – 해양수산부(장관 유기준)는 해양생물을 모티브로 한 ‘의료용 단백질 수중접착제’를 개발해 세계 최초로 수중 접착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 사 업 명 : 해양 섬유․복합 및 바이오플라스틱 소재 기술개발 사업(’10~’19)연구책임 : 해양바이오산업신소재연구단(포항공대 차형준) 그동안 대장이나 방광 등 내부 장기 수술 후에는 수술용 실로 봉합을 … 더 보기 "세계 최초, 내부 장기(臟器) 수술용 의료접착제 개발"

2015-09-171,661
연구성과

전자에 의한 ‘음의 굴절’, 그래핀으로 세계 첫 실현

이후종 교수팀, ‘탄도성 전자소자’ 등에 활용 기대 물체가 갑자기 시야에서 사라지게 만드는 광학 투명망토, 아주 작은 물체라도 구면 수차*1 없이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초고해상도 슈퍼렌즈.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허황된 이야기에 불과했다. 그러나 최근 물리학자들은 메타물질*2 등을 통한 ‘음의 굴절’*3이란 현상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어떤 물질이 음의 굴절이 가능하면, 빛이 일반적인 굴절 방향과 다른 … 더 보기 "전자에 의한 ‘음의 굴절’, 그래핀으로 세계 첫 실현"

2015-09-151,939
연구성과

김진곤 교수팀, 차세대 반도체용 리소그라피기술 개발

나노패턴 만드는 ‘별’ 만들었다 더 작은 크기로, 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판 위에 회로를 더욱 더 얇게 인쇄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현재 빛을 이용한 광 리소그라피 공정(Photolithography)이 이용되고 있지만 20nm(나노미터) 이하의 아주 얇은 인쇄에는 한계가 있었다.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나노 크기의 패터닝(patterning) 공정에 응용할 수 있는, ‘별’ … 더 보기 "김진곤 교수팀, 차세대 반도체용 리소그라피기술 개발"

2015-09-14673
연구성과

제정호 교수팀, 초고속 X-선현미경으로 순간 포착…30년 정설 뒤집어

시냇물이 흐를 때, 배가 풍랑을 헤쳐 나갈 때, 태풍이나 토네이도가 몰아칠 때, 그리고 심지어 우주의 성운을 관찰하기에 이르기까지 물체가 빙빙 돌면서 나선형으로 흐르는 현상인 ‘소용돌이’는 자연 현상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다. 이러한 소용돌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 이지산 박사 연구팀은 물방울이 액체 표면에 떨어지는 순간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찰나의 모습을 … 더 보기 "제정호 교수팀, 초고속 X-선현미경으로 순간 포착…30년 정설 뒤집어"

2015-09-09768
연구성과

이상준 교수팀, 기공 움직임 모사 ‘수화젤 멤브레인’ 개발

동물에만 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식물에도 코가 있는데, 바로 ‘기공’*1 이다. 사람의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식물은 하루에도 수없이 잎에 분포한 ‘기공’을 여닫으며 생존에 필요한 기체와 수분을 주고받는다. 긴 시간 동안 한 자리를 지키며 살아가는 식물은 기공 덕분에 생존을 위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연구팀이 이 역동적인 기공의 형태와 기능을 옮겨 낸 기능성 막(멤브레인)*2을 … 더 보기 "이상준 교수팀, 기공 움직임 모사 ‘수화젤 멤브레인’ 개발"

2015-09-092,010
수술용 실 대체 가능한 홍합 유래 순간조직접착제 개발
연구성과

수술용 실 대체 가능한 홍합 유래 순간조직접착제 개발

이제는 수술 후에도 염증이나 흉터 걱정을 덜 수 있게 됐다.해양수산부(장관 유기준)는 홍합이 바다 속 바위 등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 단백질을 활용하여 수술용 실을 대체할 수 있는 홍합유래 순간조직접착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에 사용하던 수술용 실은 몸속에서 이물질로 작용하여 염증이나 흉터를 남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약한 조직에는 사용하기 어려운

2015-09-071,097
  • 첫페이지로 이동
  • 이전페이지로 이동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다음페이지로 이동
  • 마지막페이지로 이동
새소식menuclose1
  • 공지사항
  • 새소식
  • 행사안내
  • 뉴스레터
  • 포스테키안
  • LabCumentary

Tags

  • #German university league
  • #한국경제
  • #컬래보노믹스
  • #대학발전기금
  • #Botirjon ASADOV
  • #김용학 총장
  • #시대정신
  • #충남교육청
  • #산학일체교수
  • #가치창출대학
  • #포스코청암재단
  • #명명식
READ MORE
2022. 12. Vol.123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꿈의 전지” 산화물 전고체전지, ‘LiSICON’구조로 해법 찾는다
화공 차형준 교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선출 수학/인공지능 황형주 교수, 올해의 최석정상 수상 POSTECH-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 수료식 및 Apple 제조업 R&D 지원센터 기념 행사 진행

* 뉴스레터 정기 구독을 위해 이메일주소를 입력해주세요.

동의합니다

YouTube

YouTube
유튜브 동영상 재생 버튼
2022 제8회
VIEW MORE+

Flicker

Flickr
[CES 2023] 6. 성영철 회장 주최 만찬 (9)
[CES 2023] 6. 성영철 회장 주최 만찬 (8)
VIEW MORE+
top
  • POSTECH 발전기금
  • 윤리헌장
    • 전문
    • 윤리강령
    • 실천규범
  • 예결산/기타공시
  • 정보공개
  • 옴부즈만
  • 대학정보공시
  • 개인정보처리방침
  • 이메일 무단수집거부
  • 저작권정책
  • 전자구매
  • 증명서발급
POSTECH
(3767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효자동 산31) TEL. 054-279-0114E-Mail. webmaster@postech.ac.kr
COPYRIGHT 2016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
(사)한국장애인단체총연합회 한국웹접근성인증평가원 웹 접근성 우수사이트 인증마크(WA인증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