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기계 안지환 교수팀, 그린 수소, 해답은 반도체 기술에 있다 [POSTECH·서울과학기술대·UC Merced 공동 연구팀, 반도체 공정으로 고체 산화물 수전해 전지 효율 향상] 최근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2030년을 기점으로 석탄과 석유, 천연가스의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리고, 그 근거로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 에너지 기술의 눈부신 발전을 언급했다. 이러한 친환경 에너지 기술 중 2023-09-2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 연구팀, 부작용 없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POSTECH 연구팀이 대표적 자가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통합과정 박정홍 씨는 하이드로젤을 통해 자가면역 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 일산화질소에 감응할 수 있는 하이드로젤을 류마티스 관절염 부위에 주입하면 주변 일산화질소를 선별적으로 제거해 자가면역 이상 반응을 2017-10-121,038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화공 오준학 공동연구팀, 분자인지와 유기반도체 소자 기반 고감도 휴대용 마약 센서 개발 [필로폰 등 암페타민 계열 마약 감지, 기존 분석기 보다 만 배 정밀] 암페타민 계열 마약*1은 강력한 중추신경 흥분제로 합성이 쉽고 저렴해 불법 유통이 늘고 있다. 최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애더럴’은 국내 판매 허가가 나지 않았음에도 집중력을 높이는 약으로 알려져 운동선수부터 수험생에 이르기 까지 사회전반에 침투하고 있다. 현재 마 2017-09-291,261 연구성과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수술 후엔 실 아닌 “빛” [나노입자-빛으로 피부 접합하는 새로운 시스템 개발] SF영화나 애니메이션, 게임 속에서 주인공이 입은 깊은 상처는 언제나 성스러운 빛을 쐬고 나면 말끔하게 낫는다. 이런 판타지 같은 의료기술이 조금씩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POSTECH이 나노입자에 장(長)파장의 빛과 단(短)파장의 빛, 2가지의 빛을 이용해 상처를 치유하는 새로운 광의약 (photome 2017-09-281,369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고소한 호두향으로 태양전지 만든다 [고안정-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친환경 공정 가능 물질 개발] 페로브스카이트는 빛을 잘 흡수해 전하를 만들어 내는 물질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햇빛을 받으면 전자와 정공을 형성하게 되고, 정공을 전극에 빨리 전달하기 위해서는 정공 전달층이 필요하다. 프린트나 코팅 등 이후 공정을 위해선 먼저 정공 전달층에 쓰이는 유기 재료를 녹여 액체로 만드 2017-09-2594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비대칭 메타물질 이용해 선편광 광학 다이오드 개발 [광학 다이오드 ‘자유롭게 빛 제어’] 핸드폰이나 TV와 같은 전자기기는 회로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작동된다. 많은 과학자는 전자기기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정보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면서 기계 장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 왔다. 광학 다이오드를 이용하면 빛을 이용해서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는 한층 빨라지고 에너지 손실은 적게, 크기도 2017-09-241,006 연구성과 물리 김지훈 교수팀, 190년 만에 옴의 법칙 깨는 ‘블랙스완’ 금속 발견 [옴의 법칙 깨는 바일금속 성질 밝혀] 전기회로에서 전지의 전압이 달라지면, 같은 전구라도 밝기가 변한다. 똑같은 전압의 전지를 달고 저항이 다른 전구를 켜도 밝기가 달라진다. 전압은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이런 전압, 전류, 저항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법칙이 바로 ‘옴의 법칙’이다. 1827년, 독일의 과학자 옴 2017-09-2210,108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반도체-금속 성질 자유자재로 제어해 고성능 2차원 반도체 만든다 [원자층에 반도체-금속 접합 구조 첫 구현…접촉 저항 크게 줄인 전자소자 개발]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염한웅 단장(물리학과)과 조문호 부연구단장(신소재공학과) 연구팀은 반도체성과 금속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새로운 2차원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 동일한 2차원(원자층) 물질로 일부는 금속성을 띠게 하고, 일부는 2017-09-191,421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버널적층 그래핀으로 밴드갭 제어 성공 [‘브레이크’ 모르는 그래핀, 다층구조로 “길들인다”] 흑연의 원자 한 층인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반도체로 주로 쓰이는 실리콘 보다 100배 이상 전자를 빨리 이동시킨다. 그런가 하면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고, 최고의 열전도성을 가진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전도성이 높을 뿐 아니라 투명하며 신축성까지 뛰어나 전자 2017-09-192,270 연구성과 생명 김경태 교수팀, 자폐증 모델 생쥐 만들어 자폐 치료 물질 개발에 한 발 다가가 [자폐증 치료 실마리, 자폐 모델 생쥐로 찾는다] 전 세계적으로 1%의 인구가 자폐증 환자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아동의 발병률은 2.6%로 세계 평균보다 높다. 자신의 세계에 갇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자폐증은 증상과 원인이 다양한데다 효과적인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았다.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해선 전 임상 단계의 동물 실험이 필수적인데 자폐증 동물 모 2017-09-191,178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밸리 제어’ 핵심 원천 과학 기술 개발 [나노 박막 해테로 구조로 전자와 정공 분리해 밸리 제어 성공] 전자의 특성을 이해하고 제어하는 기초 과학 기술은 인류 사회에 혁명적인 변화를 일으켰다. 70년 전 전자가 갖는 전하(charge)를 제어해 만든 트랜지스터는 오늘날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심장에 해당하는 핵심부품이다. 전자의 스핀(spin)을 제어해 만든 하드디스크는 30년 전 정보화 혁명을 이 2017-09-041,11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