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 류순민 교수팀, “붕어빵처럼 닮았네?” 거푸집으로 만든 2차원 유기 분자 결정 [류순민 연구팀 , 질화붕소를 사용해 2차원 유기 분자 결정의 층상구조 형성] 최근 거푸집을 사용하여 약 400여 점의 명품 귀금속을 불법으로 위조한 일당이 검거되었다. 금속을 녹인 후 명품 귀금속 모양대로 제작한 거푸집에 부어 수백 점의 가짜 명품을 탄생시킨 것이다. 이처럼 거푸집 하나면 분자 세계에서도 원하는 모양의 분자 결정을 마음껏 만들어 낼 수 있 2023-06-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물리 염한웅,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 시대 위한 신개념 ‘4진법’ 연산소자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 염한웅 단장과 물리학과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이 ‘0’과 ‘1’의 두 상태를 나타내는 ‘2진법 소자’를 넘어서 4진법 연산이 가능한 전자소자를 제안했다. 이를 활용하면 향후 두뇌 신경망을 구현한 인공지능 컴퓨터에 새로운 소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 2017-02-131,382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차세대 초저전력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 개발 [코어-셸 나노선 구조와 터널링 방식의 동작 원리 통한 초저전력・고성능 트랜지스터 개발]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PC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초저전력 트랜지스터¹*가 개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윤준식 박사, 김기현 박사 연구팀은 기존 학계에서 발표된 실리 2017-02-011,418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 연구팀, 바다식물 ‘맹그로브’ 뿌리 모방한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연구팀이 바다 염생식물 뿌리의 메커니즘을 모방해 별도 후처리 공정이 필요없는 생체모방형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염분이 많은 해안지역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염생식물인 맹그로브 뿌리를 생체모방해 실험한 결과, 96.5%의 염분 제거가 가능한 물 정화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해수담수화 기술과 유사한 수준이다. 맹 2017-02-012,217 연구성과 화학 안교한 교수팀, 치매 발병여부와 진행경과 알려주는 생체표지 물질 발견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치매 인구는 현재의 3배를 넘어 무려 1억3500만명에 육박할 예정이다. 그 중 70~80% 가량이 알츠하이머 환자인데, 발병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알츠하이머 질환은 조기 진단을 통한 완화치료가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과 안교한 교수팀과 서울대 묵인희 교수팀이 이광자 현미경¹*을 이용 2016-12-231,656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화공 조길원 교수팀, 잉크젯프린터로 만든 3차원 유기반도체 회로 제작 성공 팔에 차는 스마트워치, 반지처럼 끼울 수 있는 스마트기기 등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의 변신은 끝이 없다. 이런 스마트기기의 주요 부품인 트랜지스터를 가정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로 찍어낼 수 있게 된다면? 그 가능성을 연 기술이 POSTECH 연구팀을 통해 발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권지민씨, 정성준 교수,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연구팀은 2016-12-231,286 연구성과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 국제공동연구팀과 염기쌍 복구 단백질들의 상호작용 원리 네이처(Nature)지서 발표 [물리 이종봉 교수팀, DNA의 오류를 스스로 복원하는 원리 30여년 논쟁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다.] 또 하나의 생명의 신비가 밝혀졌다.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리차드 피셸 (Richard Fishel) 교수팀이 단백질 효소 간의 신호 전달로 DNA 염기쌍의 오류를 바로잡는 메커니즘을 밝히며 수십 년간 논란이 되어온 큰 난제를 풀어냈 2016-11-242,110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표면 접착력 변화되는 홍합 접착 메커니즘 규명 [바다 속 홍합이 표면에 붙을 수 있는 접착단백질 메커니즘 최초로 밝혀] 부러진 플라스틱 제품을 다시 붙이고 싶을 때 우리는 보통 본드를 포함한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한다.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도 있는데 이는 찢어진 장기 접합과 같은 수술에 사용된다. 더 나아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접착력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밝혀져 향후 생체 접 2016-11-221,710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소금으로 친환경 초발수코팅제 개발 [기계 최동휘 박사 ・ 유재원 학생, 쉽고 빠르고 저렴한 초소수성 표면 제작공정 개발] 기계공학과 학부 4학년 유재원 학생이 김동성 교수와 최동휘 연구교수의 지도 아래 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내는 초소수성 표면을 간단히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소금과 물만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을 이용해 복잡한 기존 공정의 2016-11-082,773 연구성과 창의 김철홍 교수팀, 혈관수술 등 미세수술 적용 가능한 영상 시스템 기술 개발 [창의 김철홍 교수팀, 광음향 및 광간섭 두 가지 영상기술을 수술용 현미경과 결합한 영상 시스템 개발.. 영상 속도 개선한 광음향 현미경 개발에도 성공해] 녹내장이나 백내장과 같은 안과수술, 미세혈관수술, 신경수술과 같은 미세수술에 활용되는 수술용현미경은 이비인후과 수술에 사용된 이래 많은 수술에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 현미경은 환부의 표면을 확대한 영 2016-10-211,798 연구성과 ‘원자시계’처럼 정밀하게 표면 플라즈몬 제어한다. [ 김동언교수팀, 표면 플라즈몬 제어기술 개발 ] 원자가 복사하거나 흡수하는 에너지의 주기가 일정한 것을 이용해 만드는 현존하는 가장 정밀한 시계 ‘원자시계’. 김동언교수팀이 광학기술에 활용되고 있는 표면 플라즈몬을 레이저로 이 시계처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막스플랑크 한국–포스텍 연구소 김동언 교 2016-09-2988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