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 송창용 교수팀, 하나보다는 둘, 데이터도 이제는 팀 케미스트리 [송창용 교수팀, 다중 촬영법으로 나노 입자 3차원 기공 구조 촬영 성공] 최근 막을 내린 한국시리즈 결과가 말해주듯 팀 스포츠에서는 개인의 뛰어난 역량보다 팀워크(teamwork)가 중요하다. 책 <팀 케미스트리(Team Chemistry)> 저자인 조앤 라이언은 팀워크를 ‘팀 전력을 끌어올리는 보이지 않는 능력’이라고 말한다. 최근 POSTE 2023-11-28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과 ‘규조류’로 임플란트 회복 크게 앞당겨 [홍합접착단백질-실리카 하이브리드 소재로 2배 빠른 골 조직 재생 확인 표면 거칠기 조절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임플란트 코팅소재 개발] 충치나 사고, 노화로 인해 치아가 제 기능을 못 하게 될 때 최후의 수단으로 발치 후 임플란트 시술을 고려한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유사한 성능을 낼 수 있어 널리 적용되고 있지만, 초기 골 융합*1 이 일정 기간 내에 발 2017-12-111,127 연구성과 화학과 이은성 교수팀, ‘트리아지닐 라디칼’ 미국 화학회 ‘올해의 분자’ 선정 우리대학 화학과 이은성 교수∙통합과정 백지수씨 팀이 합성한 분자 ‘트리아지닐 라디칼’이 미국 화학회(ACS, American Chemical Society) 저널 C&EN(Chemical & Engineering News)의 ‘올해의 분자(Molecules of the Year)’로 선정됐다. 트리아지닐 라디칼은 따로 분리해내기 어려운 물질로 2017-12-071,619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자외선으로 패턴 다양하게! 고성능 반도체용 리소그라피 기술 개발 [빛으로 다중 나노 패턴 제작 쉽고 간단하게 차세대 반도체 패턴화 기술 개발] 고성능 반도체 개발을 위해선 작은 기판 위에 패턴을 매우 작고 다양하게 만드는 기술이 필요하다. 반도체 기판 위에 패턴을 새기는 공정을 리소그라피라고 하는데 지금까지는 자기조립에 의해 하나의 기판 위에 두 가지 이상의 패턴을 구현하는 것이 어려웠다. POSTECH 연구팀은 자외선 2017-12-061,127 연구성과 화학 임현석 교수팀, “아토피 멈춰” 몸 속 교통경찰이 부작용 없이 아토피 잡는다! [펩타이드 물질 활용해 아토피 치료제 개발, 면역력 담당 STAT6,NCOA1 상호작용 통해 아토피 유발 물질 억제 확인] 쉽게 낫지 않고 재발률이 높아 대표적 난치성 질환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아토피 피부염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데다 부작용 때문에 약의 장기 투여가 힘들기 때문에 치료에 한계가 있다. 국내 연구진이 아토피 피부염 원인 중 하나인 과도하게 활 2017-12-011,486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버려지는 양파 껍질로 전기 만든다 [양파껍질 셀룰로스 성분으로 스마트 압전소자 개발, 인체무해한 압전소자로 안전하게, 기침하거나 걷기만 해도 전기 생성 가능] 눈을 깜박이고 기침을 하고, 무언가를 잡고 걷는 등 움직임을 통한 압력이 전기 에너지가 되는 압전소자 기술은 차세대 에너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압전소자를 만들 때 꼭 필요한 결정 물질이 PZT*1와 BTO*2와 같은 유해물 2017-11-161,907 연구성과 화학 정성기-융합 김경태 공동연구팀, 한 번 실패했던 알츠하이머 치료제, ‘트로이 목마’로 “살렸다” 우리 몸속에도 적게 존재하는 사일로이노시톨(scyllo-inositol)은 알츠하이머를 앓고 있는 환자의 뇌에 모여 뇌세포를 죽게 하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단백질의 응집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알츠하이머 치료제로 기대를 모으던 물질이었다. 하지만, 임상실험에서 높은 농도로 투여할 경우 심각한 신장독성을 일으킨다는 결과를 얻고 결국 실패 2017-11-021,370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휴대폰 플래시에서도 선명한 홀로그램이 ‘차세대 에코 디스플레이’ 만든다 [실리콘 이용한 유전체 메타홀로그램 개발] 신용카드 뒷면에 붙은 무지개빛의 스티커나, 5만원권 지폐에 길게 붙은 은선은 모두 홀로그램을 이용한 위조방지 장치다. 이러한 홀로그램 기술은 공연이나 영상에도 활용되지만, 무엇보다 광원이 없이 외부의 빛을 그대로 반사해 영상을 띄우는, 차세대 ‘반사형 디스플레이’ 기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반사형 디스플레이는 2017-10-24985 연구성과 물리 이후종∙이길호 공동연구팀, 전사(傳寫)에 의한 그래핀 초전도접합 첫 실현 [결맞음성이 강한 그래핀 양자소자 활용 기대] 초전도 물질 사이에 얇은 전도체를 끼워 넣으면 서로 떨어져 있는 초전도 물질 사이에도 전기저항이 없는 초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조셉슨 초전도접합구조는 전도체에 초전도체를 여러 단계로 진공증착시키는 과정을 통해서만 제조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층 그래핀에 van der Waals 적층형 NbSe2 초 2017-10-181,309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구리로 태양전지 고질병 ‘히스테리시스’ 잡다 [Cul(요오드화제일구리) 코팅으로 태양전지 효율 높여] 수도꼭지를 틀 때, 수돗물이 조금 늦게 나오고, 잠그고 나서도 남은 물이 조금 떨어지는 이와 같은 지연 현상을 히스테리시스라 부른다. 이 현상이 태양전지에서 일어나게 되면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데 POSTECH 연구팀이 요오드화제일구리(CuI) 코팅이라는 단 한 번의 공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도 2017-10-161,330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 연구팀, 부작용 없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POSTECH 연구팀이 대표적 자가면역 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화학과 김원종 교수, 통합과정 박정홍 씨는 하이드로젤을 통해 자가면역 질환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 일산화질소에 감응할 수 있는 하이드로젤을 류마티스 관절염 부위에 주입하면 주변 일산화질소를 선별적으로 제거해 자가면역 이상 반응을 2017-10-121,05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