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의료보국 위한 의사과학자 양성하겠다” [19일, 의사과학자 양성 출범식…23년 개원 의과학대학원도 공개] 교육보국(敎育報國)의 뜻으로 세워진 POSTECH이 의사과학자 양성을 통한 의료보국(醫療報國)에 나선다. 19일, POSTECH은 경상북도, 포항시 등 지자체와 과학‧의료계 인사들과 함께 의사과학자 양성 출범식을 가졌다. 이 출범식에서는 2023년 개원하는 의과학대학원도 처음으로 공개됐다. 2022-05-19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우리대학 야구 및 농구 선수단, 포카전 대비 연세대에서 구슬땀 우리대학 야구 및 농구 선수단이 연세대학교에서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합숙훈련을 진행했다. 농구부 14명, 야구부 6명은 오는 9월에 열리는 포스텍-카이스트 학생대제전(포카전)의 승리를 위해 연세대의 국가대표급 코치 및 선수들로부터 밀착 지도를 받으며 기량을 끌어올리고 있다. 우리대학과 연세대는 개방공유캠퍼스를 선언하며 교육, 연구 뿐 아니라 학생분야에 2019-06-28959 연구성과 생명 김상욱 교수팀, 유전자 변이의 질병유발 확률 계산이 가능한 정밀의료기술 개발 [유전자변이 질병확률 예측] 생명과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변이로부터 질병확률을 예측할 수 있는 정밀의료 기술을 개발했다.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법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환자의 유전자 변이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정밀의료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음에 따라 유전자 변이의 질병 확률을 정확하게 계산 할 수 있는 생물정보학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팀 2019-06-261,604 대학소식 세포막단백질연구소, 독일과 미국에 이어 세계 3번째 설립 ☞동아일보 기사 바로가기 (19.06.05) 2019-06-25769 연구성과 [POSTECH의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구멍 숭숭 뚫린 초분자로 신약 만든다 분자의 세계에는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가 있다. 그런데 왼손 분자는 병을 고치는 능력이 있지만, 오른손 분자는 오히려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약을 만들 때는 왼손과 오른손이 둘 다 생겨나는데, 이 중 필요한 것만 만드는 획기적인 방법이 없을까. ‘왼손잡이 분자’만 걸러낸다? 김기문 화학과 교수는 지난 2000년 5월, 분자계의 왼손과 오 2019-06-21872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전자 정윤영 교수 공동연구팀, 어떤 상황에서도 정확하게 내 목소리 인식하는 ‘시리(Siri)’‘빅스비’ 패치형 센서 [피부 부착형 음성인식용 진동센서 개발] 사무실에서 대화하거나 회의하는 도중 갑자기 스마트폰의 음성비서 앱이 켜지며 대화를 반복하는 오류나, 시끄러운 카페에서 아무리 불러도 앱이 반응하지 않는 오류는 이제 흔한 해프닝이 됐다. 핸드폰 속에 들어 있는 마이크가 소음이나 방해물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박사과정 이시영 씨, 전자전기공학과 2019-06-20918 대학소식 POSTECH-RIST, 신성장 기술개발 및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협약 체결 POSTECH과 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 원장 유성)가 포스코그룹 신성장 기술개발,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해 힘을 합치기로 했다. POSTECH과 RIST는 양 기관의 우수한 R&D 및 기술사업화 역량을 결집하여,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상업화하기 위한 ‘학연 일체화 협약’을 체결했다. 6월 19일(수) POSTECH 대회의실에서 진 2019-06-19989 대학소식 박사과정 윤관호씨, 미 SPIE서 장학금 수상 [미래 광공학 분야 기여 기대…포브스지 ‘30세 이하 영향력 있는 아시아리더’ 선정도] 기계공학과 박사과정 윤관호 씨가 광공학 분야 최대 규모의 학술단체인 국제광공학회(SPIE)로부터 ‘2019 광공학 장학금(2019 Optics and Photonics Education Scholarship)’을 수상했다. 윤관호 씨는 노준석 교수의 지도를 받아 ‘투명망 2019-06-181,041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배터리의 긴 수명 책임질 새로운 전극 소재 찾았다 [POSTECH-KAIST, 금속간 상태도에 따라 불규칙적 금속배열 갖는 금속물질 개발] 2017년 애플의 ‘아이폰 배터리 게이트’는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되면 휴대폰의 성능이 자동으로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큰 문제가 됐던 사건이다. 이 논란은 스마트폰에 탑재되어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에 수명이 있으며, 배터리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충전 효율이 떨 2019-06-111,089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온도’ 변화로 ‘세포시트’ 만드는 새로운 3차원 플랫폼 개발 [온도감응형 하이드로젤 기반 3차원 세포배양 플랫폼 개발] ‘세포시트 (cell sheet)’ 공학 기술은 세포배양 플랫폼에 세포를 시트(sheet)처럼 키운 후 ‘세포시트’만을 수확하여 손상부위에 이식하는 기술로, 재생의료기술 중에서도 외부물질 이식에 따른 면역반응이나 거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큰 관심을 모으고 있는 분야다.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박사 2019-06-10858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몸 속 일산화질소 잡아먹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나노젤’ [일산화질소 포집해 염증성질환 치료하는 나노젤 개발] 일산화질소는 몸 속에서 혈압 상승을 방지하거나, 동맥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지만, 한편으로는 전신 홍반 루푸스나 크론병은 물론,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심각한 염증성 질환을 유발하는 ‘두 얼굴’을 가진 분자다. POSTECH 연구팀이 이 일산화질소를 잡아먹는 새로운 개념의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2019-06-0498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5152535455565758596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