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학과 박문정 교수팀, 전기차, 지구와 운전자 모두를 지켜라 [박문정 교수팀, 이온 전도성과 안정성이 높은 전고체 배터리 개발] 소방청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작년 한 해 동안 발생한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는 44건이다. 이는 전년도인 2021년에 발생한 24건보다 약 두 배 많으며, 올해 상반기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 사고는 이미 40건을 넘었다.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전기차, 지구와 운전자 모두 지킬 수 2023-09-21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학 김성지 교수, 몸 속 깊은 곳에 숨은 암을 적외선으로 알려주는 퀀텀닷(양자점) 탐침 개발 [POSTECH-아산생명과학연구원 연구팀, 암 진단 양자점 탐침 개발] 최근 미세한 색 차이까지 정확하게 표현하는 등 뛰어난 화질로 프리미엄 TV에 활용되며 크게 주목을 모으고 있는 ‘퀀텀닷(quantum dot, 양자점)’은 형광을 내는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nm) 크기의 반도체 결정을 의미한다. 이 퀀텀닷의 발광신호를 조절해 몸 속 깊은 곳의 암을 발 2017-03-091,616 연구성과 화학 김기문 교수팀, ‘단백질 낚시법’으로 고순도・고효율 단백질 정제 [초분자화학¹* 기반의 새로운 정제법… 신약개발, 약물기전 연구에 도움] 암과 같은 질병은 체내 단백질이 변형을 일으켜 생긴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원리와 발병 기작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세포 내 존재하는 수많은 단백질 중 약물과 상호작용하는 특정 단백질을 선택적으로 얻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기존 단백질 정제법은 반응에 첨가되는 다량의 첨가물이 2017-03-092,472 연구성과 물리 염한웅,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 시대 위한 신개념 ‘4진법’ 연산소자 구현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자제어저차원전자계연구단 염한웅 단장과 물리학과 김태환 교수 공동연구팀이 ‘0’과 ‘1’의 두 상태를 나타내는 ‘2진법 소자’를 넘어서 4진법 연산이 가능한 전자소자를 제안했다. 이를 활용하면 향후 두뇌 신경망을 구현한 인공지능 컴퓨터에 새로운 소자로 적용할 수 있을 것 2017-02-131,412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차세대 초저전력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 개발 [코어-셸 나노선 구조와 터널링 방식의 동작 원리 통한 초저전력・고성능 트랜지스터 개발]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태블릿PC등의 휴대용 전자기기를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초저전력 트랜지스터¹*가 개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백창기 교수, 미래IT융합연구원 윤준식 박사, 김기현 박사 연구팀은 기존 학계에서 발표된 실리 2017-02-011,448 연구성과 기계 이상준 교수 연구팀, 바다식물 ‘맹그로브’ 뿌리 모방한 해수담수화 기술 개발 기계공학과 이상준 교수 연구팀이 바다 염생식물 뿌리의 메커니즘을 모방해 별도 후처리 공정이 필요없는 생체모방형 해수담수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염분이 많은 해안지역에서 자라는 대표적인 염생식물인 맹그로브 뿌리를 생체모방해 실험한 결과, 96.5%의 염분 제거가 가능한 물 정화 성능을 보였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해수담수화 기술과 유사한 수준이다. 맹 2017-02-012,369 연구성과 화학 안교한 교수팀, 치매 발병여부와 진행경과 알려주는 생체표지 물질 발견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망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치매 인구는 현재의 3배를 넘어 무려 1억3500만명에 육박할 예정이다. 그 중 70~80% 가량이 알츠하이머 환자인데, 발병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알츠하이머 질환은 조기 진단을 통한 완화치료가 유일한 해결책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과 안교한 교수팀과 서울대 묵인희 교수팀이 이광자 현미경¹*을 이용 2016-12-231,689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화공 조길원 교수팀, 잉크젯프린터로 만든 3차원 유기반도체 회로 제작 성공 팔에 차는 스마트워치, 반지처럼 끼울 수 있는 스마트기기 등 웨어러블 스마트기기의 변신은 끝이 없다. 이런 스마트기기의 주요 부품인 트랜지스터를 가정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잉크젯프린터로 찍어낼 수 있게 된다면? 그 가능성을 연 기술이 POSTECH 연구팀을 통해 발표됐다. 창의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권지민씨, 정성준 교수,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 연구팀은 2016-12-231,315 연구성과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 국제공동연구팀과 염기쌍 복구 단백질들의 상호작용 원리 네이처(Nature)지서 발표 [물리 이종봉 교수팀, DNA의 오류를 스스로 복원하는 원리 30여년 논쟁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다.] 또 하나의 생명의 신비가 밝혀졌다. 물리학과 이종봉 교수팀과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리차드 피셸 (Richard Fishel) 교수팀이 단백질 효소 간의 신호 전달로 DNA 염기쌍의 오류를 바로잡는 메커니즘을 밝히며 수십 년간 논란이 되어온 큰 난제를 풀어냈 2016-11-242,143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표면 접착력 변화되는 홍합 접착 메커니즘 규명 [바다 속 홍합이 표면에 붙을 수 있는 접착단백질 메커니즘 최초로 밝혀] 부러진 플라스틱 제품을 다시 붙이고 싶을 때 우리는 보통 본드를 포함한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한다. 인체에 사용할 수 있는 생체접착제도 있는데 이는 찢어진 장기 접합과 같은 수술에 사용된다. 더 나아가 철 이온 결합에 따라 접착력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밝혀져 향후 생체 접 2016-11-221,790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소금으로 친환경 초발수코팅제 개발 [기계 최동휘 박사 ・ 유재원 학생, 쉽고 빠르고 저렴한 초소수성 표면 제작공정 개발] 기계공학과 학부 4학년 유재원 학생이 김동성 교수와 최동휘 연구교수의 지도 아래 물을 흡수하지 않고 튕겨내는 초소수성 표면을 간단히 제작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우리 주변에서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소금과 물만을 활용한 친환경적인 방법을 이용해 복잡한 기존 공정의 2016-11-082,821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