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화공 조길원 교수팀, ‘피부’로 귀보다 정확히 들을 수 있다 [연구팀, 소리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개발] [“크기 줄이고, 유연성 늘리고…청각 전자 피부로 활용 가능“] “시리야, 오늘 날씨 어때?” 일상의 궁금증 해소부터 음악 재생, 카카오톡 메시지 발송, 내비게이션 조작에 이르기까지 음성 인식 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 곳곳에 널리 퍼져있다. 잘 활용하면 더없이 편리하지만,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선 2022-06-2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AI‧빅데이터 아카데미, 경북 중소‧중견기업과 채용박람회 개최 정보통신연구소는 4월 4일, 청년 AI‧빅데이터 아카데미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소재 중소‧중견기업과 채용박람회를 개최했다. 정보통신연구소는 2017년부터 포스코의 지원으로 취약계층 청년 취업 지원을 위해 IoT(사물인터넷)·빅데이터·AI(인공지능) 무료 교육을 제공해왔다. 일반인들의 열띤 참여 속에 지난해부터 ‘청년 AI‧빅데이터 아카데미’로 특화되 2019-04-05527 대학소식 포브스 선정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젊은 리더’ POSTECH 3인 헬스케어·과학 분야에 선정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가 2일(한국시간) 선정한 ‘2019 아시아의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리더 30인(2018 Forbes 30 Under 30 Asia)’에 작년에 이어 POSTECH 학생과 동문이 또다시 다수 선정돼 주목을 모았다. 포브스는 매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23개국에서 10개 분야에서 30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영향력 있는 2019-04-041,280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전기자동차 배터리 성능, 젤리 만드는 ‘한천’으로 높인다 [한천(Agar) 활용해 고온에서 안정적인 고출력 차세대 전지 구현] 전기자동차나 스마트폰과 같이 지속해서 충전과 방전을 계속해야 하는 이차전지는 충전할 때 열이 나는 열화현상을 잡아야 한다. 열화현상이 일어나면 배터리 소모가 심해지는 등 효율이 떨어지고 수명까지 줄어들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팀이 젤리의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는 한천(agar)을 활용해 배터 2019-04-03801 대학소식 POSTECH-연세대 개방‧공유캠퍼스, ‘블록체인’으로 경계 허문다 국내 대학 첫 블록체인 캠퍼스 구축 지식콘텐츠 공유‧투표‧출결석‧기부금 시스템 도입…성공사례 양교 공유 지난해 3월 개방‧공유캠퍼스를 선언한 POSTECH과 연세대 두 대학이 블록체인 캠퍼스를 구축, 블록체인 분야 선도에 나선다. 두 대학은 우선 각 대학에 적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적용, 검증한 후, 서로 내용을 공유하면서 최적화 된 공통시스템으로 발전시켜 2019-04-032,024 연구성과 신소재 이장식 교수팀, 전기 먹는 하마 ‘알파고’ 단점 보완할 인공지능 시냅스 개발 [강유전체 물질 도입해 고성능의 아날로그 메모리 특성 구현] 인간만의 영역이라고 생각했던 바둑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인간을 이긴 알파고의 등장은 전 세계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하지만 알파고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비약적인 발전에 비해 하드웨어는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둑 한판을 두는데 엄청난 전력을 소모한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 알파고가 바둑 한 2019-04-011,383 연구성과 전자 홍원빈 교수팀, “5G 미래형 스마트폰”…세계 첫 ‘안테나 디스플레이’로 한 발 더 앞서나간다 – 동우화인켐‧SKT‧LG전자‧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와이테크와 미래형 5G 단말 안테나 시스템 개발 – 5G 28GHz 신호로 안테나 실제 측정 확인…신개념 5G스마트폰 탄생 기대 높여 버튼을 없애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키패드를 옮겨놓은 ‘풀터치폰’은 어느 나라에서 최초로 출시됐을까? 정답은 우리나라다. 지금은 우리에게 ‘당연한’ 휴대폰의 2019-03-271,693 연구성과 창의IT 백창기 교수팀, 반도체 공정 기반 실리콘 열전소자 대량생산 기술 개발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 회수용 고성능 실리콘 나노선 열전소자 구현 성공] 우리나라 산업 폐열량은 국내 에너지 소비량의 4분의 1 정도로, 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진다. 이 폐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것이 열전소자인데, 이렇게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를 열전소자라고 부른다. POSTECH 연구팀이 기존 반도체 공정을 활용해 대 2019-03-26788 연구성과 기계 조동우 교수-서울대병원 공동연구팀,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난치성 뇌암 치료에 한 걸음 다가서 – 3D 세포 프린팅 기술로 암 세포 환경과 동일한 칩 제작, 항암 치료 재현 – 향후 환자별 최적 항암치료 조합 도출 가능 5년 이내 생존률이 2%에 불과한 난치성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항암 치료로 증세가 호전된 환자와 암이 2019-03-22672 연구성과 화공 김원배 교수팀, 벌집 구조 활용해 리튬-황이온전지 전극 개발 [5배 높은 용량 리튬·황배터리 개발로 전기자동차 대중화 앞당겨] 크기는 줄이고 효율은 획기적으로 높인 성능이 뛰어난 배터리를 만드는 일은 전 세계 과학자들의 숙제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엔 배터리의 성능이 산업의 성공 여부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국내 연구팀이 층층이 쌓인 벌집 모양의 구조체를 만들어 2019-03-21690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 공동연구팀, 나방 눈 모사 유리로 흐린 날씨에도 태양광 발전 맑음 [김동성 교수와 기계연 임현의실장 공동연구팀, 태양광 패널 보호 유리에 나방 눈 모사한 무반사 자가세정 유리 및 마찰전기 수확장치 개발] 야행성인 나방은 주로 밤에 활동하지만, 야행성 동물들과 달리 깜깜한 밤에 작은 빛을 받아도 눈이 반짝이지 않는다. 나방 눈 안에 나노 크기의 작은 돌기가 가득 덮여 있어 가시광선의 파장보다 작고, 겹눈으로 여러 방향의 빛 2019-03-19870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6162636465666768697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