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오승수 교수팀, 원하는 대로 척척… DNA·단백질도 3D 프린팅하는 시대 [오승수 교수팀, 세계 최초 3차원 나노 해상도 프린팅 핵심 기술 개발] 3D 프린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3D 프린터로 건축물을 만들기도 하고, 인공장기를 만들기도 한다. 그러나 미세 영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생체 고분자(DNA, 단백질, 효소)들은 각각 고유한 구조와 성질을 갖고 있어 이를 인위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과연 미 2023-03-29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조길원 교수팀, “단 한 마디도 놓치지 않게”…마스크 써도 잘 들리는 똑똑한 마이크로폰 [조길원 교수팀, 시끄러운 환경에서도 목소리 정확히 감지하는 피부 부착형 마이크로폰 패치 개발] [“재난 대응 시 의사소통용 마이크로폰으로 활용…향후 호흡기 질환 진단용 헬스케어 기기로 응용 기대”] 최근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소리가 정확하게 들리지 않아 큰 소리로 반복해서 이야기하다 보면 금세 목이 아파진 2022-10-17377 연구성과 화공 정규열 교수팀, 제철소 부생가스의 화려한 변신…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만든다 [한국·스페인 공동연구팀, 인공효소 이용한 이타콘산 대량 생산법 개발] [“제철소 부생가스 발효산물·농수산 부산물 등 값싼 원료 활용…생산비용 대폭 낮춰”] 간편하고 맛있는 배달 음식. 하지만 음식을 먹고 난 뒤 쌓이는 플라스틱은 환경을 급속도로 오염시키며 우리의 미래를 위협하고 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일명 ‘썩는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바이오 플 2022-10-11435 연구성과 물리 김동언 교수팀, 분광계 없이 찰나의 빛 포착한다 [POSTECH·MPK·부산대 공동연구팀, 펨토초(1,000조분의 1초) 단위 레이저 펄스 파헤치는 측정 기술 개발] 바쁜 일정에 쫓겨 정신없이 하루를 보내다 보면 빠르게 지나가는 1분 1초가 아깝게 느껴진다. 그보다 짧은 찰나의 순간에도 쉴 새 없이 벌어지는 일이 있다. 바로 전자, 원자, 분자의 움직임이다. 펨토초(fs, 1,000조분의 1초), 아토초 2022-10-05300 연구성과 화학 최창혁 교수팀, 양이온이 길러내는 ‘산업의 쌀’ 에틸렌 [POSTECH·KAIST 공동 연구팀, “전기이중층 양이온 종류·농도가 이산화탄소 전환 성공의 핵심 열쇠”] 무색(無色)의 기체 에틸렌이 ‘산업의 쌀’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에틸렌이 플라스틱과 비닐, 합성고무 등 다양한 석유화학 물질의 원료가 되기 때문이다. 최근 석유 대신 이산화탄소로 에틸렌을 만드는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기술이 화제 2022-10-04540 연구성과 신소재 이종람 교수팀, ‘금속’ 괴롭히는 산화 반응 이용해 친환경 화합물 “펑펑” [POSTECH·서울대 공동연구팀, 촉매의 이종 접합 구조와 이산화탄소 환원 효율 상관관계 규명] [“접합 계면에서 생기는 응력으로 포름산 전환 효율 극대화”] 귀걸이나 목걸이를 오래 보관하다 보면 거뭇하게 색이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금속이 산소에 닿으면 일어나는 산화 반응 때문이다. 이 산화 반응은 이산화탄소(CO2)를 유용한 연료로 바꿀 때 쓰이 2022-09-29433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1회 충전으로 ‘630km’ 달리는 ‘이 배터리’는?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에너지밀도 극대화한 무(無)음극 배터리 개발…에너지 밀도 ‘40%’ 높여] 작년 한 해에만 국내 신규 등록 전기차가 ‘10만 대’를 돌파했다. 전 세계에서 이 같은 기록은 한국과 노르웨이 둘 뿐이다. 이제는 흔히 볼 수 있는 전기차의 배터리 수명과 충전 속도를 좌우하는 핵심 소재가 바로 ‘음극재’다. 국내 배터리 업계 2022-09-27485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팀, 1억분의 1m 위로 데이터 그리는 ‘마법의 펜’ [POSTECH·숭실대·서울대 공동연구팀, 뾰족한 탐침 ‘콕’ 찍어 나노미터 크기에 데이터 저장하는 방법 제시] [준안정 상태 물질 활용…기존 연구 대비 데이터 저장 용량 10배 높여] SNS 팔로워가 수만 명에 달하는 해외 예술가 ‘프랭크 홀젠버그(Frank Holzenburg)’는 생동감 넘치는 그림을 손톱보다 작은 크기로 그려 화제를 모았다. 종이 위 2022-09-26375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당신의 건강은 무슨 색?”…건강·움직임 정보 색깔로 볼 수 있을까 [최수석 교수팀, 스트레처블 광 소자의 전기 조절 색 변화 원리 최초로 밝혀] [“전류 세기에 따라 달라지는 색 정확히 표현할 수 있어… 신축성 웨어러블 기기·차세대 디스플레이에 활용 기대↑”] 모든 사람의 공통적인 바람은 ‘건강한 삶’일 것이다. 최근 웨어러블 기기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심박수뿐만 아니라 심전도 등 다양한 건강 정보와 운동 상태 확인이 가 2022-09-21439 연구성과 화공 이기라 교수팀, 흩어지는 빛에서 원하는 ‘색’만 뽑는다 [이기라 교수팀, 미(Mie) 산란 강하게 일으키는 구형 나노입자 대량 생산 기술 개발]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위조 방지 장치·라이다 센서에 활용 가능성 ↑] 하늘의 구름은 왜 하얗게 보일까? 우유는 왜 흰색일까? 이는 빛이 구름 속 물방울 또는 우유 속 기름방울과 만나 생기는 미 산란(Mie Scattering) 때문이다. 미 산란은 물질을 구성하는 2022-09-20385 연구성과 IT융합·기계·전자 박성민 교수팀, 스마트폰 카메라로 내 몸 건강도 ‘찰칵!’ [박성민 교수팀, 일반 카메라 센서만으로 생체 신호 정확히 측정하는 알고리즘 개발] 일상에서 즐거운 순간을 기록해주는 스마트폰의 카메라. 이 카메라로 내 몸속 건강도 들여다볼 수 있다면 어떨까? 국내 연구팀이 스마트폰의 카메라 센서로 생체 신호를 정확히 측정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별도의 센서 없이도 스마트폰만 있으면 손쉽게 혈압이나 혈관 나이를 측정하고, 2022-09-16299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