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화공 김진곤 교수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들어갈 고강도 젤 전해질 개발 [POSTECH · 서울시립대 연구팀 별모양 블록공중합체 기반 차세대 전해질 제조] 팔에 태블릿을 휘감고 다니고 몸에 부착된 카메라로 상황을 실시간 전달하는 모습, 이미 SF 영화 속에선 낯설지 않다. ‘PMC:더 벙커’ 등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유연한 플렉시블 디바이스나 옷이나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작고 외형이 잘 변형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유연하지만 2019-02-18789 대학소식 POSTECH, 휴먼테크논문대상서 특별상 등 대거 수상 [대학 특별상 휩쓸어…금상 3명, 은상 2명, 동상 4명 등 13명 수상] POSTECH이 삼성전자가 주최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중앙일보가 공동 후원하는 ‘제25회 휴먼테크논문대상’에서 대학 특별상을 휩쓰는 한편, 학생들도 대거 수상하는 기쁨을 누렸다. 특히 창의IT융합공학과는 대학 대상 특별상 ‘교수당 최다 논문제출학과’, ‘교수당 최다 수상학과’상을 2019-02-181,297 대학소식 ‘미주리대, 아시아 최초 수장’ 최문영 총괄총장 POSTECH 명예 공학박사 됐다 [“If I can do it…you can do it, too” 포스테키안 격려 메시지 남겨] 177년 전통의 미주리대에서 아시아인 최초로 총괄 총장이 된 최문영 총장이 POSTECH 명예 공학박사가 됐다. POSTECH은 최문영 미주리대 총장을 명예 공학 박사학위(기계공학과) 수여자로 결정하고, 2월 15일 열린 2019학년도 입학식에서 학위 2019-02-14946 대학소식 철강 김낙준 교수, 미국 금속재료학회 TMS 펠로우 선임 철강대학원 김낙준 교수가 미국금속·재료학회 TMS(The Minerals, Metals & Materials Society) 최고 영예인 펠로우(석학회원ㆍFellow)에 선임됐다. 김 교수는 신 철강소재 개발, 마그네슘 합금 관련 기술 개발 등 환경 보존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성능 구조재료 개발에서 혁신적이고 탁월한 연구성과를 거둬 펠로우에 선정됐 2019-02-12653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철과 니켈 합금으로 값싸고 성능 뛰어난 친환경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 만든다 [실현가능성 있는 저비용·고성능 니켈 합금 촉매 제안] 이산화탄소 농도를 낮추는 것이 주요 연구 주제로 대두되는 요즘, 고체산화물 수전해전지(Solid Oxide Electrolyzer Cell)는 물과 이산화탄소를 친환경적으로 합성 연료로 전환할 수 있어 각광받고 있다. 수전해전지란 전기를 수소로 바꿔 저장해두고 이를 필요할 때 연료로 다시 발전할 수 있 2019-02-11916 대학소식 2018학년도 POSTECH 학위수여식 개최 [박사 230·석사 206·학사 317명 배출] POSTECH은 2월 8일, 졸업생과 학부모, 교내외 인사 3,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학체육관에서 2018학년도 학위수여식을 가졌다. 이번 학위수여식에는 박사 230명, 석사 206명, 학사 317명 등 모두 753명이 학위를 받았다. 학사과정 전체 수석에게 수여되는 ‘설립이사장상’은 평균 평점 4.1 2019-02-071,869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CB램, 질소 도핑으로 간단하게 성능 높여 [질소 도핑한 GST 물질 이용해 CB램 소자 제작] 의료기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폰 등의 손안의 기기가 늘어나면서 그 안에 들어가는 작고 성능 좋은 차세대 메모리 개발에 전 세계 많은 과학자가 나서고 있다.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그대로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는 F램, Re램 등이 있는데 POSTECH 연구팀이 Re램의 일종인 CB램(CBRAM)의 2019-02-07744 대학소식 인문사회학부, 포항 시민대상 ‘문명시민강좌’ 개최 <칼의 노래>, <남한산성>의 소설가 김훈, <알쓸신잡> 속 물리학자로 알려진 김상욱 경희대 교수,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미생>의 만화가 윤태호 등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작가’들이 POSTECH에 모인다. 인문사회학부는 3월,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포스텍 문명시민강좌(이하 문명시민강좌)’를 2019-01-311,124 연구성과 창의IT 정성준・화공 조길원 교수 공동연구팀, 플렉시블 반도체, 이젠 3D프린터로 인쇄한다 [3D 프린팅 기술로 반도체 소자 맞춤·대량생산] 3D 프린터 인쇄 공정을 통해 이제 반도체도 만들 수 있게 됐다. 국내 연구팀은 그동안 얇게만 만들었던 반도체 인쇄 기술에 3D 프린팅 기술을 접목해 전자소자와 회로를 3차원으로 쌓아 올려 인쇄해냈다. 이때 사용된 기술은 유기인쇄전자 기술인데, 신문을 인쇄하듯 프린팅 기술로 전자소자와 회로를 맞춤형으로 대량 2019-01-301,099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 공동연구팀, “몸값 비싼” 금속 촉매, ‘결함’ 있는 지지체로 효율 높인다 [POSTECH-KAIST 공동연구팀, 단일원자촉매 설계 높일 기술 제안] 금, 백금은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산출량이 적어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 귀금속이다. 한편으로, 이런 귀금속은 대기 중에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다양한 화학 촉매로도 활용되고 있다. 차량 배기관에 백금촉매를 설치하면, 일산화탄소나 탄화수소 등 배기가스를 이산화탄 2019-01-281,068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