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생명 박상기 교수팀, ‘조현병’ 태아 신경발달 과정에서 발생한다 [POSTECH-한국뇌연구원-KAIST 공동 연구팀, 조현병 원인인자 MAD1에 의한 대뇌피질 발생 중 신경세포 이동성 조절]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와 행동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관심이 필요한 병이다. 여기서 조현(調絃)이란 사전적인 의미로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 라는 뜻으로, 조현병 2023-02-02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식물면역 높여 바이오매스 식물개발 길 연다 (2010.8.20) 식물 생장호르몬 ‘사이토카이닌’의 새로운 작용 발견···바이오매스용 식물 증산 ‘기대’ POSTECH과 고려대 연구팀이 ‘작은 고추가 맵다’는 통설을 뒤집을 수 있는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성과는 바이오매스 생산용 식물에 적용,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친환경 에너지 확보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POSTECH 생명과학과 황일두 교수팀‧고려대 백경희 교수팀은 한국연구재단‧농림수산식품부의 지원으로 식물의 대표적인 발달 생장호르몬인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이 생장에 관여할 … 더 보기 "식물면역 높여 바이오매스 식물개발 길 연다 (2010.8.20)" 2010-11-151,463 연구성과 대기에서도 안정적인 n형 유기반도체 개발 (2010.8.23) 화학공학과 박찬언 교수팀,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 절연층 도입으로 동작수명 크게 늘려세계적 소재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표지논문 소개 신문처럼 돌돌 말아 쓰는 디스플레이, 달력처럼 벽에 붙이는 TV, 입는 컴퓨터 등에 이용되는 유기 전자 소자의 필수 기술이 POSTECH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화학공학과 박찬언 교수‧박사과정 장재영씨 연구팀은 내열성이 뛰어난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를 절연층으로 이용해 대기 중에서도 안정적인 … 더 보기 "대기에서도 안정적인 n형 유기반도체 개발 (2010.8.23)" 2010-11-151,172 연구성과 POSTECH, ‘이글아이’처럼 스스로 판단하는 감시 카메라 개발 (2010.7.26) 무단 방치・도난 물체 자동 검출하는 기술 개발···지하철, 공항 등 테러・범죄 방지 기대 D.J. 카루소의 2008년 영화 <이글아이>에서는 인공 지능을 갖춘 컴퓨터가 전세계에 설치된 CCTV를 통해 상황을 분석해 감시하고 통제한다. 이처럼 스스로 상황을 판단해 테러, 절도 등의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가 등장한다. 컴퓨터공학과 김대진 교수팀은 지하철 역, 공항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무단 방치된 물건을 … 더 보기 "POSTECH, ‘이글아이’처럼 스스로 판단하는 감시 카메라 개발 (2010.7.26)" 2010-08-161,003 연구성과 POSTECH 공동연구팀, ‘모래시계’개념 약물전달장치 개발 (2010.7.29) 한 번 체내 투여로 2달간 지속적 약물 전달 가능··· 성장호르몬, 항암 치료에 큰 도움학제간 융합연구로 성과 올려··· 美 ACS Nano 7월호 ‘우수 성과’로 소개 ‘모래시계’처럼 일정한 양의 단백질 약물이 2달 이상 지속적으로 흘러 나오도록 하는 새로운 약물전달 장치가 국내 연구진들에 의해 개발됐다. 이 장치는 매일 인간성장 호르몬을 투여해야 하는 왜소증 환자이나 인터페론 등의 약물을 일주일에 … 더 보기 "POSTECH 공동연구팀, ‘모래시계’개념 약물전달장치 개발 (2010.7.29)" 2010-08-162,790 연구성과 국가과학자 김광수 교수·황인철 교수팀, 비소 99.9% 제거 기술 개발 (2010.7.20) 국가과학자 김광수・황인철 교수팀, 비소 99.9% 제거 기술 공동 개발자석으로 낚시하듯 비소를 제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해외 관련 매체서도 “눈길” 최근, 각종 중금속에 의한 수질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미래정보기술을 이끌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그래핀(graphene)을 이용해 대표적인 환경독소인 ‘비소’를 99.9%까지 제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해외 학계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화학과 김광수 교수(국가과학자)・황인철 교수팀은 … 더 보기 "국가과학자 김광수 교수·황인철 교수팀, 비소 99.9% 제거 기술 개발 (2010.7.20)" 2010-08-161,480 연구성과 물리학과 염한웅 교수, 빛처럼 빠른 실리콘 소자 실현기술 개발 (2010.6.17) 국내 연구진이 반도체 소자기술의 새로운 미래를 여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실리콘 소자를 가능하게 하는 원천기술개발에 성공하였다. 염한웅 교수(POSTECH 원자선 원자막 연구단장)의 주도 하에, 김근수 박사, 강명호 교수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 사업(창의적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물리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과학저널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Physical Review Letters)’誌 … 더 보기 "물리학과 염한웅 교수, 빛처럼 빠른 실리콘 소자 실현기술 개발 (2010.6.17)" 2010-07-141,629 연구성과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 고집적 강유전 나노구조 구현 (2010.5.10) 블록 공중합체 나노 구조를 이용한 초고집적 강유전 나노 구조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구현되어, 강유전 기반 소자의 집적도 한계 극복에 한 걸음 더 다가서게 되었다.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의 주도 하에, △김영석 석박사 통합 과정생 △백성기 교수(POSTECH 신소재공학과) △한희 박사 등이 참여하고,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 및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박찬모)이 … 더 보기 "화학공학과 김진곤 교수 고집적 강유전 나노구조 구현 (2010.5.10)" 2010-06-17979 연구성과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적혈구’만한 펌프 개발 (2010.5.17) – POSTECH-미시건대 연구팀, 나노크기 절연체 전도현상 규명 및 전기운동학적 펌프 개발 – Nature Nanotechnology 16일 온라인판서 주목할 만한 연구로 선정돼 혈액 한 방울의 1%로 뇌졸중의 전조를 진단할 수 있는 마이크로 유체칩, 적혈구만한 작은 세포도 치료할 수 있는 치료기구 등 공상과학 영화에 나오는 이 모든 기술을 현실화할 수 있는 적혈구크기의 펌프(pump)가 한국-미국 공동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기계공학과 … 더 보기 "세상에서 가장 작은 ‘적혈구’만한 펌프 개발 (2010.5.17)" 2010-06-171,049 연구성과 얼음이 햇빛과 결합해 바다에 철분을 공급하는 메커니즘 규명 (2010.6.1) 얼음 속에 존재하는 산화철 분진입자가 햇빛에 의해 미세조류에게 필요한 철분으로 쉽게 변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환경공학부 최원용 교수·김기태(박사과정생) 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박찬모)이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도약연구), 우수연구센터(SRC)사업 및 극지연구소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환경 분야 최고 권위의 과학 전문지인 ‘환경과학과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지 온라인 판(5월 6일자)에 발표되었고, 세계 최고의 과학 … 더 보기 "얼음이 햇빛과 결합해 바다에 철분을 공급하는 메커니즘 규명 (2010.6.1)" 2010-06-171,250 연구성과 韓·美 연구팀, 소형 해수담수화 장치 개발 (2010.3.22) – 농도 분극 현상 활용한 새로운 메커니즘 개발…재난지역․군사용 활용 ‘기대’– MIT-POSTECH 공동연구팀 개발…Nature Nanotechnology 온라인판 게재 아이티와 칠레가 연이은 강진으로 생활용수 공급에 곤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미 연구팀이 휴대용으로 제작 가능한 해수담수화 장치를 개발해 눈길을 모으고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한종윤 교수와 김성재 박사(POSTECH 졸업)팀과 POSTECH 강관형 교수와 박사과정 고성희 씨가 개발한 이번 연구는 소금, 가성소다의 … 더 보기 "韓·美 연구팀, 소형 해수담수화 장치 개발 (2010.3.22)" 2010-06-171,20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7172737475767778798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