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POSTECH-UTS 연구진, 상온에서 작동하는 hBN 점결함 기반 ‘양자 광원’ 기술 구현] 최근 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통합과정 박규나 씨 연구팀은 시드니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이고르 아로노비치(Igor Aharonovich)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하여 2025-01-10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 김형섭 교수팀, 인공지능과 함께 여는 금속 연구의 미래 [POSTECH ·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연방대, 금속 항복강도 예측 AI 기술 개발] 최근 친환경소재대학원 ·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 통합과정 이정아 씨 연구팀은 브라질 미나스제라이스 연방대(Federal University of Minas Gerais) 금속재료공학과 피게이레두(Figueiredo)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기존의 비용과 시간 제 2024-06-25351 연구성과 물리 이대수 교수·신소재 최시영 교수팀, 사소한 변화가 만든 소재 연구의 혁신 [이대수 · 최시영 교수팀, 원자 수준 제어로 차세대 고효율 메모리 소재 개발] 나비의 날갯짓처럼 미세하고 작은 변화가 때로는 우리의 삶에서 예상치도 못한 큰 성과와 변화를 만들기도 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아주 사소한 부분을 바꾸어 차세대 DRAM 메모리 분야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는 ‘스핀-궤도 토크(spin-orbit torque, 2024-06-25325 연구성과 화공 박태호 교수팀, 이온-이온 덜 친해야 전지 효율 높인다 [POSTECH · 성균관대 · 충남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 ] 친한 관계에서도 적당한 거리가 중요하다. 친밀한 관계가 모든 것을 해결하지는 못하며, 개인적인 공간과 독립성이 필요할 때가 있다. 이는 화학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POSTECH · 성균관대 · 충남대 연구팀은 양쪽성 이온(Zwitterion) 분자 간 친밀도를 낮춰 2024-06-21475 연구성과 화공 이효민 교수·신소재 정성준 교수팀, 투명 기판의 오염과 김 서림 막는 다기능성 테이프 [이효민·정성준 교수팀, 김 서림 방지와 자가 세정 가능한 테이프 개발] 최근 화학공학과 이효민 교수 · 통합과정 김형정 씨, 신소재공학과 정성준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미터 규모로 패턴화된 탄성중합체 위에 부분적으로 하이드로젤 패턴을 잉크젯 프린팅하여 다양한 환경에서도 투명도를 유지할 수 있는 테이프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 2024-06-21312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전해질을 지배하는 자, 전기차 시장을 선도한다 [박수진 교수팀, 상용성 · 안전성 모두 확보한 리튬 배터리용 겔 전해질 개발] 화학과 박수진 교수 · 통합과정 남서하 씨 · 손혜빈 박사 연구팀은 안정성과 상용성을 모두 갖춘 겔 전해질 기반 배터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스몰(Small)’에 최근 게재됐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전기차를 포함해 휴대용 전자제품이나 에너지 저장 2024-06-19511 연구성과 환경 감종훈 교수팀, 인간의 활동, 가뭄 앞에서는 양날의 검 [감종훈 교수, 봄철 극심한 가뭄에 대한 인간 활동의 상충되는 영향 분석] 지구-환경과학자들은 인간의 사회 · 경제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늘어 가뭄과 홍수와 같은 기상 이변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런데, POSTECH 연구팀이 인위적인 온실가스가 오히려 가뭄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를 발표하며, 인간 활동이 자연에 미 2024-06-17306 연구성과 화공 전상민 교수팀, 당신의 한숨이 사람과 자연을 살린다면 [전상민 교수팀, 수분으로 구동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개발] 힘들거나 어려운 상황을 마주했을 때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한숨을 내쉬는데, 이는 신체적 · 심리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그런데, 이 한숨으로 사람과 자연을 지킬 수 있다는 POSTECH팀의 흥미로운 연구가 최근 발표돼 학계의 주목을 모으고 있다. 화학 2024-06-14433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대면적 3차원 메타물질, 광학 센싱에 혁신 불러올까 [POSTECH · 서울대 · 한밭대, 3차원 메타물질 성능 높일 새로운 방법 제시] 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양영환 · 김홍윤 씨, 서울대 기계공학과 최만수 교수 · 허창녕 씨, 한밭대 창의융합학과 정우익 교수 연구팀은 3D 에어로졸(aerosol) 나노 프린팅으로 빛의 편광과 진행 방향을 센싱하는 메타 2024-06-13440 연구성과 첨단원자력 김동언 교수팀, 초고속 이미징 기술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지평을 열다 [POSTECH·MPK·우한연구소, 단일 주기 펄스로 전자 홀로그램 패턴 추출 및 조작 성공] 생물체를 이루는 세포나 분자 간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밝히거나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물질의 구조 분석하는 연구는 원자 규모에서 진행된다. 이때, 미세한 변화를 거의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초고속 이미징 기술이 필수적인데,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김 2024-06-12501 연구성과 기계/생명/IT융합/융합 장진아 교수팀, 두 기술의 시너지, 바이오프린팅 분야 혁신 이끌다 [장진아 교수팀, 인공 심장 모델 최초로 좌심실 비틀림 재현 성공] 1 더하기 1은 때로는 2를 초과해 3이나 그 이상의 결과를 만들어낸다. 개인의 힘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를 팀이 이룬 사례처럼 단순한 계산으로 보이지 않는 시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이처럼 두 기술의 시너지로 생명과학 분야에서 큰 성과를 내 주목을 모으고 있 2024-06-12568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